조 내정자는 서울경찰청장으로 재임 중이던 지난 3월 말 기동대 특강에서 "(노 전 대통령이) 무엇 때문에 사망했나. 뛰어내리기 전 날 차명계좌가 발견됐다"며 "10만 원짜리 수표가, 거액의 차명계좌가 발견이 됐는데…"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당시 특검 이야기가 나왔으나 권양숙 여사가 민주당에 이야기해 특검을 못하게 했다"며 "그것을 하면 다 드러나니까…"라고도 했다. 조 내정자의 이 강연은 CD로 제작돼 일선 경찰서 등에 수천 장이 배포됐으나, 최근 수거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도 "비호할 생각 없다"
민주당은 당장 조 내정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며 맹비난했다. 여차하면 인사청문회 자체를 보이콧할 테세다.
전현희 민주당 대변인은 14일 "비극적으로 서거한 전직 대통령을 확인되지도 않은 사실로 욕보인 용서못할 패륜적 망언"이라며 "조 내정자는 즉각 국민 앞에 사죄한 뒤 스스로 사퇴해야 하며 이명박 대통령은 조 내정자 지명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친노(親盧) 인사인 백원우 민주당 의원은 "조 내정자는 확인되지 않은 허위사실을 날포하는 패륜적 망언으로 고인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반성의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는 조 내정자는 청문회 자리에 앉을 가치조차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무현재단 역시 보도자료를 통해 "조 내정자의 주장은 명백한 허위사실이자, 전직 대통령을 능멸한 망언"이라며 "정치검찰의 표적수사로 이미 고인이 된 전직 대통령과 유족을 또다시 욕보이는 행태를 더 이상 용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무현재단은 "끝까지 법적, 도의적 책임을 묻겠다"며 "조 내정자에 대해 허위사실 유포와 명예훼손으로 민형사상 법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도 "조 내정자를 비호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며 당혹스러운 분위기다.
안형환 대변인은 "하지만 모든 일에는 선후가 있지 않느냐"며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한 후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 정도"라고 했다.
특히 안 대변인은 조 내정자가 애초에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발언 자체를 부인했다가, 동영상이 공개하자 이를 인정한 대목을 언급하며 "조 내정자도 무책임한 자세에서 벗어나 이러한 내용이 사실이라면 즉각 국민과 노무현 전 대통령 유가족에게 사죄하고 책임있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여야를 막론하고 비난이 쏟아지자 조 내정자는 "내부적으로 한 얘기가 보도돼 노 전 대통령께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집회·시위가 많아지는 4, 5월을 앞두고 경찰 부대가 위축되지 않고 엄정하게 법 집행을 하라는 차원에서 한 이야기"라고 해명했다.
▲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막말 파문, 위장전입 시인 등으로 낙마 위기에 몰린 조현오 경찰청장 내정자. ⓒ뉴시스 |
위장전입·쌍용자동차 과잉진압·고문 의혹과 항명 파문까지…
조 내정자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파문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막말 파문'뿐 외에도 그를 둘러싼 잡음이 한두 가지가 아니라는 점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결국 조 내정자를 '자진사퇴'시키는 방식으로 내정을 철회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조 내정자는 자신의 맏딸이 중학교 3학년이었던 지난 1998년 11월 남녀공학 대신 여학교를 가고 싶다는 딸의 요청에 따라 주거지를 서대문구 홍제동에서 종로구 사직동으로 옮겼다.
이어 그는 딸이 여학교인 대화여고에 진학하게 된 이듬 해 2월 다시 주소지를 서대문구 홍제동으로 옮긴 것으로 확인됐다. 전형적인 위장전입의 사례다.
조 내정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할 말이 없다"며 "딸아이의 학교 문제 때문에 그랬는데, 부적절한 행위였다. 사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재테크'에도 능한 면모를 보였다. 그는 모친상을 당한 지난 2007년 경찰정 경비국장으로 재직하면서 모두 1억7400만 원이라는 거액의 부조금을 받고, 이를 다시 펀드에 투자해 높은 수익을 기록하기도 했다.
조 내정자는 경기지방경찰청장으로 재직하던 지난 2009년 쌍용자동차 파업을 무자비하게 진합했던 당사자이기도 하다. 그는 '시위 진압의 전문가'라는 세간의 평가처럼 노조원들에 대한 식수 및 의약품 반입 등을 차단해 과잉진압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이어 서울경찰청장 시절 불거진 양천경찰서 고문의혹, 무리한 실적주의로 인한 '항명 파문' 등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