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위기에 빠진 제주지역 카지노 업계의 실상을 감안해 카지노 감독기관에서는 채찍뿐 아니라 당근도 함께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롯데시티호텔 제주에서 ‘2017 제주 국제카지노 정책포럼’이틀째 열린 ‘제주 카지노산업의 경쟁력 방화 방안’ 세션에 토론자로 나선 문성종 한라대학교 교수는 “제주도 카지노감독과는 업계의 어려움을 감안해 활로도 모색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카지노감독과 설치이후 지나치게 감독 위주로 나가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업계가 더욱 힘들어 졌다”며 “공동 마케팅 등 업계에 당근도 함께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김형직 게이밍코리아 대표는 “개장 7년에 불과한 싱가포르 카지노는 매출이 6~7조 원에 달하지만 반세기 역사의 국내 외국인 전용 카지노 매출은 1조3000억 원에 불과하다”며 “특히 제주도는 2000억 원도 미달하는 여건에서 현실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카지노감독과는 전문 인력을 확충해 제대로 관리감독을 해야 할 것”이라며 “카지노 경영의 투명성을 위해 중앙관제시스템을 갖추고 직원실명제와 직원들의 외국어 능력도 제대로 갖춰 근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일용 제주관광대학교 교수는 ‘제주카지노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제주실정에 적합한 국제기준의 법과 제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며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카지노의 투명성과 건전성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제주카지노 진흥을 위해 제주도가 공동마케팅 지원활동을 강화하고 VIP비중보다 일반 이용객의 비중을 높여주는 운영이 필요하다”며 “카지노전문가 양성프로그램 개발운영으로 전문 인력을 수급하는 방안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제주지역 카지노업계와 카지노협회는 제주지역 카지노정책이 가뜩이나 규제위주에 그치고 있는 여건에서 투명성을 빌미로 규제강화를 강조하는 것은 모순이라는 지적도 하고 있다.
익명을 원하는 제주지역 모 대학교의 교수는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카지노 매출 저조로 직원 급여도 주지 못할 정도로 최악인 상황인데 규제만 강화하려는 것은 문제”라며 “규제도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