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윤장현시장, '가뭄 속 단비' 같은 공직자 돼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윤장현시장, '가뭄 속 단비' 같은 공직자 돼야...

- 윤장현 시장, 사회복지 신규 임용 후보자와 ‘공감토크’
- 시정철학 공유, 사회적 약자 살피는 일 등 역할 강조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은 3일 광주공무원교육원에서 사회복지 신규 임용후보자들과 공감토크를 열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생명의 소리 중 하나가 가뭄으로 쩍쩍 갈라진 논과 밭에 물이 들어차는 소리다”며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를 살피는 중책을 맡게 된 사회복지 분야 공직자들은 ‘가뭄 속 단비’ 같은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윤 시장은 “새롭게 공직에 발을 내딛은 여러분을 보며 광주의 새 기운과 생명을 느낀다”며 “세상에 대한 희망, 열정 등을 품고 새 길을 시작해달라”고 당부했다.

정순임 광주장애인부모연대 광산구지회장이 보낸 편지로 만든 족자를 꺼내든 윤 시장은 “시 공직자라면 독거노인, 장애인, 시설 등 도움의 손길을 필요로 하는 곳에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예산을 지원하고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여러분은 시민들에게는 한 명의 공직자가 아닌 국가이자 정부, 광주시로 여겨진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해 11월 인도 마힌드라 그룹 회장을 만났을 때 ‘안과의사가 좋냐, 광주시장이 좋냐’는 질문을 받았는데, 단 한 순간의 망설임도 없이 ‘지금이 좋다’고 답했다”며 “시장을 하지 않고 공직사회 밖에 머물러 있었다면 800여 명에 달하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발달장애인 사회복지 프로그램 운영, 청년 지원 정책 시행 등의 일을 할 수 없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특히 “사회복지 담당의 눈높이에 따라 세상이 달라질 수 있다”며 “따뜻한 눈길과 가슴으로 도움‧손길이 필요한 곳은 어디인지, 얼마나 도와줄 수 있는지를 항상 살피며 ‘광주다움’이 담긴 ‘광주공동체’를 만들어 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윤 시장은 “4차 산업혁명 등 기술과 기후의 변화가 계속되면서 진화가 거듭되겠지만 사회복지는 여전히 로봇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분야일 것이다”며 “누구도 복제할 수 없는 자신만의 색깔과 향기로 미래에 대비해 ‘살만한 광주’를 만들자”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