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단의 강력한 반발과 "언론통제 의도가 본격화된 게 아니냐"는 비난여론에 따른 부담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이다.
"대통령 근접취재 줄여라"…'사고' 막으려고?
당초 갈등은 청와대가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하는 청와대 내·외부 행사를 취재하는 방송 카메라 기자들의 숫자를 제한하면서 불거지기 시작했다.
통상 이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는 행사에는 방송 카메라 두 팀, 신문사 소속 사진기자 두 명, 통신사 사진기자 한 명이 풀(Pool) 기자로 동행한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방송 카메라는 한 팀으로, 신문·통신용 사진기자는 각각 한 명 씩으로 제한해 줄 것을 기자단에 요구했다.
이같은 요구는 일단 반영됐고, 이달 초부터 풀 취재는 청와대가 제시한 기준에 따라 이뤄졌다. 이 기준은 남대문 시장이나 농촌지역 방문 등 이 대통령의 최근 '민생행보'에도 똑같이 적용됐다.
▲ ⓒ뉴시스 |
이에 그치지 않고 청와대는 아예 청와대에 출입하는 방송 카메라 기자들의 숫자를 줄여 줄 것을 각 언론사에 요구했다. 기자단 사이에선 "일종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효과적인 '통제'를 위한 게 아니냐"는 반발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방송을 통해 이 대통령에게 불리한 장면이 보도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었다. 민감한 이 대통령의 언행을 보도해 온 <돌발영상>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까지 나왔다.
심지어 청와대는 지난 16일 기자단에게 "당분간 풀 취재를 잠정 중단하겠다"며 "사진과 영상은 청와대 전속 직원이 찍어서 제공하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하기까지 했다. "출입기자의 숫자를 줄여 달라"는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카메라 기자뿐 아니라 사진기자, 취재기자의 풀 취재까지 원천적으로 봉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날 하루 동안 기자들은 이 대통령의 행사에 대한 직접적인 취재를 할 수 없었다.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된 이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와의 회동도 청와대가 제공한 영상과 사진, 그리고 대변인의 브리핑에 의존해야 했다.
청와대의 이같은 조치에 기자단은 즉각 반발했고, 또 일부 언론은 이번 사태 자체를 보도하기 시작했다. "청와대의 직접적인 언론통제 의도가 드러난 게 아니냐"는 의구심도 증폭됐다.
결국 청와대 이상휘 춘추관장은 간사단을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지난 16일 저녁 풀 취재 운영을 원상 회복시켰다"며 "진심으로 사과한다. 앞으로 풀 취재는 간사단과 협의해 운영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해 왔다.
간사단이 이같은 청와대의 입장을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으로 받아 들이면서 갈등은 일단락됐다. 간사단은 이날 오전으로 예정돼 있었던 출입기자 총회도 취소했다.
'이동관 홍보팀' 첫작품이 '취재제한'?
사태는 일단 봉합됐지만, 이같은 갈등이 명실상부한 '홍보의 제1인자' 이동관 홍보수석 체제가 출범한 직후 벌어졌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논란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취재제한' 조치가 정확히 어느 선까지 보고되고 결정됐는지는 아직까지 분명치 않은 상태다. 청와대 관계자들도 이와 관련해선 확인을 거부했다. 이상휘 춘추관장은 "내가 결정한 일"이라면서 논란의 확산에 선을 그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