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 첫날인 18일부터 장례 형식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최규하 전 대통령과 지난 5월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은 모두 국민장으로 거행됐으나 김 전 대통령의 업적과 국민 대화합의 장으로 승화시켜야 한다는 논리로 국장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국장은 건국 이래 박정희 전 대통령의 경우가 유일하다. 국민장의 경우 7일장인데 비해 국장은 9일장이고 발인날은 임시공휴일이 된다.
임시 빈소가 차려진 세브란스 병원 안팎에선 "유족들이 국장을 원한다"는 이야기가 들린다. 일부 인사들도 힘을 싣고 있다. 장성민 전 국정상황실장은 "기본적으로 국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유족들이 원하고 정부 쪽에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설훈 전 의원도 "내일은 빈소가 옮겨질 것"이라며 "국장은 국무회의에서 정하는데 결과가 내일이면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천정배 의원도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장례는 반드시 국장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족의 위대한 지도자를 떠나보내는 길이 우리 민족의 통일과 우리 사회의 통합을 이룰 수 있는 대화합의 장이 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하지만 공식 창구인 박지원 의원과 최경환 비서관은 말을 아꼈다. 박지원 의원은 "일부 언론에서 국민장으로 결정됐다고 보도가 됐지만 장례절차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대정부 창구는 박지원이 한다"고 못을 박았다. 최경환 비서관도 "결정된 것은 없다"며 입을 닫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당시에는 가족장이냐 국민장이냐를 두고 일부 논란을 빚은 바 있지만 결국 국민장으로 가닥을 잡은 바 있다.
정부는 19일 오전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김 전 대통령의 장의 형식을 확정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