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동관 대변인이 사라졌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이동관 대변인이 사라졌다'?

'가뭄에 콩 나는 청와대 브리핑'…대변인은 어디에?

"이동관 대변인이 사라졌다"?

최근 청와대 이동관 대변인이 공식·비공식적으로 마이크를 잡는 일이 부쩍 줄어든 것을 두고 나오는 기자들 푸념이다. 인수위 시절부터 장담해 왔던 '브리핑 정례화' 약속은 사실상 폐기된 지 오래다.

'촛불정국' 끝에 '소통'을 국정운영의 첫 번째 원칙으로 내세웠지만, 대국민 소통을 책임져야 할 대변인이 오히려 이를 외면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브리핑 안하는 대변인'…8월에는 10번, 9월에는 4번?

정부 출범 초반만해도 이 대변인은 소위 '프레스 프렌들리'를 내세우면서 적극적인 태도를 견지했다. 그는 하루에도 몇 차례씩 기자실을 찾아 민감한 현안에 대한 입장을 주도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 이동관 대변인은 어디로 갔나? 사진은 최근 브리핑을 마친 이 대변인이 청와대 기자실을 나서면서 어디론가 전화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뉴시스

그런 이동관 대변인의 대(對)언론접촉이 현저하게 줄어들기 시작한 건 8월 들어서다. 8월 한 달 동안 이 대변인의 청와대 브리핑은 기자들의 취재편의를 위해 운영하고 있는 'e춘추관' 사이트에 게시돼 있는 6회의 대변인 브리핑을 포함해 불과 10회에 불과했다. 이 중 4회는 비실명 보도를 요청해 'e춘추관' 사이트에도 반영되지 않은 비공식 브리핑이었다.

9월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9월 중순까지 이 대변인은 불과 네 차례밖에 기자실을 찾지 않았다. 17일 오후 "미처 하지 못했던 추석인사를 하러 왔다"며 기자실에 들러 간략한 질의응답을 나눈 것까지 포함해서 그렇다.

청와대 기자실 2층에 위치한 공식 브리핑룸이 아니라 1층 기자실에서 이뤄지는 '비공식 브리핑'에 의존하는 경향도 눈에 띈다. 정부출범 초반은 물론 '촛불정국' 와중에 유난히 청와대의 '입'에 관심이 쏠렸던 6~7월과도 분위기가 현저하게 달라진 패턴이다.

이 같은 변화는 공교롭게도 이명박 대통령의 '강공 드라이브'가 시작된 이후부터 본격화됐다. 혹시라도 불거질지 모르는 말실수 등의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브리핑 횟수를 줄인 게 아니냐는 뒷말이 나온다.

이 대변인의 '지난 200일'을 복기해 보면 짐작할 수 있다. 그는 취임 초반 불거졌던 '땅 투기 의혹', 특정 언론사에 기사를 빼줄 것을 요구해 확산된 '언론통제 논란', '떡값'을 받았다는 인사들에 대한 명단이 발표되기도 전에 "사실무근"을 선언한 '마이너리티 리포트' 파문 등 자신을 둘러싼 각종 논란으로 적지않은 상처를 입었다.

물론 그는 촛불정국을 지나는 동안 단행된 '청와대 쇄신'에서 유일하게 살아남는 생명력을 보였다. 그러나 이 대변인에 대한 국민들의 여론은 오히려 악화됐다. 우여곡절 끝에 '자리'는 보전했지만, '말값'과 '신뢰'는 오히려 상실했다는 것이다. '사후 엠바고'나 '비실명 보도요청'을 지나치게 남발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반발도 거셌다. 각종 현안에 대해 청와대의 입장을 그야말로 '대변'해야 하는 '대통령의 입'으로서 오히려 파문을 확산시킨 측면도 적지 않았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도 "예전에 비해 대변인과 기자들이 서로에 대해 '프렌들리'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답답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변인의 말에 무게가 실리지 않는다"는 지적에도 그는 적극적으로 부인하지 않았다.

靑 "서면브리핑이나 수석들의 브리핑으로 보완"…과연 충분한가?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청와대 측은 "8월에는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 참석을 위한 대통령의 방중 때문에 대변인이 자리를 비웠고, 현안이 있을 때마다 대변인의 서면 브리핑이나 관계 수석비서관들의 비공식적인 '백브리핑'으로 충분한 설명을 해 왔다"고 해명했다.

이동관 대변인도 '브리핑 정례화'에 대한 기자들의 요구에 대해 "그렇다고 정해진 시간에 와서 기사가 안될 만한 것만 이야기하고 돌아설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면서 "깊은 이야기를 많이 할 수 있는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의도적으로 언론접촉을 피하는 게 아니라는 항변이다. 하지만 대변인이 대통령의 해외순방을 수행하고 있는 순간까지 공식 브리핑을 하라고 생떼를 쓰는 기자는 없다.

게다가 브리핑 횟수도 횟수거니와 내용이 부실해져간다는 게 더욱 문제라는 지적이다. 청와대 대변인실이 배포하는 서면 브리핑 자료는 대부분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데 그치기 일쑤다. 게다가 서면 브리핑에선 질의응답 과정이 원천적으로 차단돼 있다. '소통'이 라니라 청와대 측이 밝히고 싶은 발언만 공개하는 '일방통행'에 불과하다.

현안에 대한 배경설명을 위해 수석비서관 등 고위 관계자들이 기자실을 찾는 횟수도 한달에 한두 번 정도다. 청와대 대변인의 '빈 자리'를 메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 브리핑을 마친 이동관 대변인이 기자들의 계속되는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뉴시스

언론과 싸운 '노무현 청와대' vs 언론 피하는 '이명박 청와대'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의 청와대와 비교해 보면 현재 청와대의 문제점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물론 노 전 대통령이 직접 나서 "기자들이 죽치고 앉아 기사를 담합한다"는 비난을 서슴지 않을 정도로 노 전 대통령과 언론의 관계는 매끄럽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가 직접 '취재지원 선진화방안'을 추진하면서 '기자실 대못질'에 대한 반발에도 직면해야 했다.

그러나 적어도 청와대 대변인의 브리핑은 매일 오후로 정례화돼 있었다. 대통령의 외부일정 등으로 대변인이 브리핑에 나설 수 없는 상황이라면 부대변인 등 다른 관계자들이 국정현안을 전하는 시스템도 갖춰져 있었다.

청와대의 브리핑은 인터넷과 KTV를 통해 생중계됐고, 국정홍보처 홈페이지를 통해 기자들의 질의응답까지 문서로 공개됐다. 기자들과 청와대 대변인의 갑론을박이 고스란히 안방까지 전해질 정도였다.

결과적으로 '프레스 프렌들리'라는 화려한 수사에도 불구하고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청와대의 취재환경은 오히려 뒷걸음질쳤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비판의 중심에 청와대의 '소통 책임자' 이동관 대변인이 위치하는 건 당연하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