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했던 불운의 역도 스타는 죽어서도 쓸쓸했다.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차지했던 역도 스타 김병찬(사망 당시 46세) 씨가 획득한 메달 10여 개와 상장 등이 하마터면 고물상에 갈 뻔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김 씨는 지난해 6월 26일 춘천시 후평동의 한 임대 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사망한 그를 발견한 이는 가족이 아닌 이웃 주민이었다.
김 씨가 세상을 떠난 지 1년이 남짓한 시간이 지났지만, 장례식 이후 그를 떠올렸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던 걸까.
최근에는 그가 획득했던 메달이 고물상에 갈 뻔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김 씨 집에 있는 물건을 모두 폐기 처리하기로 하면서다.
그가 살던 집에는 사용하던 물건들이 먼지 쌓인 채 그대로 있었다.
장례식이 끝나고 나서 아무도 그의 집을 찾지 않아서다.
관리사무소는 1년 가까이 기다렸지만, 상속자가 나타나지 않자 입주 대기자를 고려해 김 씨의 짐을 정리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폐기물 수거 업체가 짐을 처분할 예정이었다.
하마터면 물건 더미에 섞여 고물상으로 보내질 뻔했던 10여 개의 메달과 상장은 지난달 27일 그가 살아생전 가장 가까이 지냈던 이웃이 이 소식을 접하면서 다행히 고물상 행을 면했다.
숨진 김 씨를 발견했던 이웃의 아들이 강원도 체육회에 이 사실을 알렸다.
국가 명예를 드높인 메달이 고물상 쓰레기더미에 파묻히는 것은 말도 안 된다는 생각에서였다.
도 체육회 관계자는 이날 곧장 집을 찾아 메달 10여 개와 상장을 인수했다.
도 체육회는 추후 강원도역도연맹과 메달 보관방법을 논의할 예정이다.
우선 먼 친척이 있으면 전달한다는 방침이지만 불가능하면 7월에 새로 지어지는 도 체육회관에 전시하는 방법도 고려 중이다.
도 체육회 "사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굉장히 특이한 경우"라며 "다시는 이런 일이 생겨서도 안 되겠지만,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도록 메달과 상장을 보관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서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역도 스타 반열에 올랐던 김 씨는 1996년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되면서 역도계에서 자취를 감췄다.
이후 변변한 직업이나 수입도 없이 매월 52만5천 원의 메달리스트 연금으로 어머니와 함께 근근이 생계를 이어갔다.
어머니도 2013년 지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김 씨는 혈혈단신이 됐다.
메달리스트 연금이 보건복지부의 최저생계비 지급 기준(49만9천288원)보다 3만 원가량 많아 최저생계비 지원도 받지 못했다.
그나마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등록돼 월 10만 원 안팎의 의료급여와 주거급여 등을 받는 게 고작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김 씨의 사망으로 '경기력 향상 연구연금 수급자 생활보조비 제도'를 올해부터 시행해 체육연금 수급자가 안정된 생활을 하도록 돕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