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은 취업문을 어렵게 통과하고도 입사한 지 1년 안에 회사를 떠나는 신입사원이 4명 중 1명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00인 미만 기업의 조기퇴사율이 300인 이상 기업의 3배가 넘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박병원)가 전국 306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6년 신입 사원 채용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졸 신입 사원의 1년 내 퇴사율은 27.7%로, 2014년 조사 결과(25.2%)보다 2.5%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300인 이상 기업의 퇴사율은 11.3%에서 9.4%로 낮아졌으나, 300인 미만 기업의 퇴사율은 31.6%에서 32.5%로 높아졌다.
대졸 신입 사원의 조기 퇴사율은 2012년 23.6%, 2014년 25.2%, 2016년 27.7%로 계속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올해도 2014년과 마찬가지로 300인 미만 기업(32.5%)이 300인 이상 기업(9.4%)보다 1년 내 퇴사율이 월등히 높았다.
신입 사원 조기 퇴사의 가장 큰 이유는 '조직·직무 적응 실패'(49.1%)로 조사됐다. 다음은 '급여·복리 후생 불만'(20.0%), '근무 지역·근무 환경에 대한 불만'(15.9%)이었다.
2014년에 비해 올해 조사에서 '조직·직무 적응 실패'의 응답 비율이 1.5%포인트 증가한 반면 '급여·복리 후생 불만', '근무 지역·근무 환경 불만'이라는 답변은 각각 4.2%포인트, 1.4%포인트 감소했다.
경총은 "신입 사원 조기 퇴사율을 낮추려면 조직 적응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검토가 시급해 보인다"고 말했다.
입사 1년 내 구간별 누적 퇴사율을 보면 1개월 내 퇴사 비율이 4.6%이고 3개월 내 11.4%, 6개월 내 17.5%, 9개월 내 22.2%, 12개월 내 27.7%로 나타났다.
비누적 개념으로 입사 1년 내 구간별 퇴사율을 3개월 단위로 살펴보면 9개월까지는 퇴사율이 감소하지만, 입사 9∼12개월 사이에 퇴사율이 다시 증가했다.
이는 신입 사원들이 일단 취업한 회사에 어느 정도 근무하다가 입사를 희망하는 기업의 채용 시기에 맞춰 이동하기 때문으로 경총은 추정했다.
신입 사원 조기 퇴사를 막기 위한 기업의 대응 방안으로는 '직무 역량과 적성을 감안한 현업 배치'(51.3%)가 가장 많았고 '멘토링 등을 통한 애로 사항 파악'(46.0%), '비전 제시'(36.3%) 순이었다.
한편, 기업들의 대졸 신입 사원에 대한 업무 수행 만족도는 2010년 조사 이후 계속해서 내려가는 추세를 보였다.
대졸 신입 사원 업무 수행 만족도에 대한 전체 평균 점수는 2014년 76.2점에서 2016년 76.0점으로 다소 낮아졌다.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이 79.8점, 300인 미만 기업은 74.8점으로 300인 이상 기업이 더 높았다.
300인 이상 기업과 300인 미만 기업의 신입 사원 업무 수행 만족도 격차도 점점 벌어졌다. 2014년 조사에서는 300인 이상 기업(78.5점)과 300인 미만 기업(75.2점)의 격차가 3.3점이었으나 2016년 5점으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