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성(92) 전 계엄사령관이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시민에 대한 무자비한 진압과 관련해 "전두환 보안사령관은 5·18과는 무관하다"고 주장,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이 전 사령관에 따르면, 광주 학살에 대한 책임이 있는 자는 없다. "전투라는 게 우발적이고 부화뇌동해서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도발도 학생들이 먼저 해왔다고 주장했고, 실탄 지급 명령도 없었다고 했다.
한마디로 일선 현장에서 군인들이 알아서 시민들에게 총을 쏘았던 것이고, 관련해 북한 개입 의심 정황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군 지휘 계통을 모르고 하는 소리"라는 말을 반복했는데, 그런 군이 쿠데타를 일으키고 학살을 자행하고 정권을 찬탈한 부분에 대해서는 입을 다물었다.
5.18을 이틀 앞둔 16일 이 전 사령관은 <조선일보>와 인터뷰를 통해 "내 단호히 얘기한다. 광주에 관한 한 전두환 책임은 없다"며 "광주가 수습되고 3개월 뒤 그가 대통령이 됐기 때문(에 전두환 책임론이 불거진 것)"이라며 "대통령만 안 됐으면 전두환 이름이 그 뒤로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사령관은 "전두환에 대해 과대평가하고 있소. 그는 보안사령관이었고, 내 참모에 불과했소. 참모로서 내게 건의할 수는 있었겠지만, 작전 지휘 체계에 있지 않았소. 진압 작전에 개입할 수 없었소. 그는 광주에도 내려간 적이 없소"라고 주장했다.
이 전 사령관은 초기 공수부대의 과잉 진압에 대해서도 "5월 18일 아침 휴교령이 내려져 있는데 학생들이 들어가겠다며 전남대 정문에서 군인들과 충돌한 게 발단이었소. 학생들은 가방에 넣어온 돌을 던졌고 군인들이 무방비로 맞은 거요. 그 뒤 시내에서 학생들이 집결하자 군인들이 뒤쫓아가며 진압봉으로 두들겨 팼소. 이를 본 시민들은 공수부대원들이 무자비하다고 흥분한 거요. 어떤 세력이 '경상도 공수부대가 전라도 사람 씨를 말리러 왔다'며 악성 루머를 퍼뜨렸소"라며 학생 등 시민들이 먼저 도발했다는 주장을 내 놓았다.
이 전 사령관은 '초기 진압 작전의 과오 책임을 물어 당시 현장 지휘관을 군법회의에 회부해야 한다'는 보고서를 올렸던 상황에 대해 "내가 (보고서 올리는 것을) 반대했소. 현장 지휘관은 잘못한 것이 없는데…. 결과적으로 많은 피해자가 생겼으나 그건 앞서 말한 대로 불가피한 상황도 없지 않았소. 나는 지금도 작전 실패는 아니라고 봐요"라고 주장했다.
'숱한 사상자를 낳은 국가적 비극을 초래했다'는 지적이 나오자 그는 "한 사건을 이쪽·저쪽, 위·아래 어느 쪽에서 보느냐에 따라 다르오. 광주 사태가 불처럼 타 지역으로 번져 전국에서 민란이 일어나면 나라가 어떻게 될까, 그때 우리 군에서는 그런 국가 위기 상황을 걱정했고, 절실했다"고 주장했다.
이 전 사령관은 역사 바로 세우기 차원에서 처벌받은 것과 관련해 "도의적 책임을 진 것"이라고 주장, 자신의 잘못은 없다는 말을 반복했다.
이 전 사령관은 "누가 발포 명령을 한 거냐"는 질문에 "1996년 재판 당시 광주 현지까지 내려가 조사를 벌였으나 발포 명령을 내린 지휘관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실탄 지급은 일선 부대 지휘관 차원에서 이뤄지는 거지, 계엄사령관이 이래라저래라 할 사안이 아니"라고도 했다.
'총 맞은 시민들이 있는데 발포 명령자가 없다는 게 과연 말이 되느냐'는 질문에 이 전 사령관은 "전투라는 게 우발적이고 부화뇌동해서 일어날 수도 있소. 겁에 질려 있는 사병들이 막 쏘고, 어디서 날아온 총알에 누가 맞았는지도 가릴 수 없었소. 한밤중에 아군끼리 교전도 있었소. 다만 5월 27일 전남도청 재진입 작전은 적극적이었소. 도청 지하실에 TNT와 수류탄 등 무기가 있었고 무장한 주동 세력이 있었기 때문이오. 당시 북에서 이를 이용 안 할 리가 있었겠소"라며 북한 개입설을 묘하게 던지기도 했다.
이 전 사령관은 이어 "첩보는 있었지만 확증을 잡지 못했소. 확증이 없는데 어떻게 얘기하겠소. 다만 무기고를 털고 시위대를 조직적으로 이끄는 등 민간인이 할 수 없는 행동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