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에 비해 이명박 청와대 선임행정관들의 숫자가 늘어났고 직급도 오히려 높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노무현 정부 당시 각 부처에서 파견된 공무원으로 이뤄진 선임행정관은 31명으로 모두 3급이었다. 그러나 새 정부의 선임행정관은 39명으로 숫자가 8명 늘었다. 또한 선임행정관 중 일부는 비서관과 마찬가지인 2급으로 격상됐다. 지난 정부에선 1·2급으로 나뉘어 있었던 비서관도 모두 1급으로 격상 통일했다. 결과적으로 1급 비서관은 지난 정부보다 7명이 늘었다.
비서관과 선임행정관 등 1~3급에 해당하는 청와대의 고위 공무원단에 포함된 총인원은 지난 정부와 비슷한 수준. "규모는 줄이고 효율성을 높여 일하는 청와대를 만들겠다"는 대대적인 선전에도 불구하고 청와대 고위공무원단에 대한 투자는 더욱 늘어난 셈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작은 정부'를 내세우며 최근 공무원들의 '철밥통 깨기'로 톡톡한 재미를 보고 있으나, 적어도 청와대에 관해서만큼은 '눈가리고 아웅'이라는 지적이다.
"눈속임" vs "허리 튼튼"
최근 현직 언론인들의 '청와대 러시' 논란을 불렀던 <한국일보> 유성식 전 정치부장은 2급 선임행정관으로 정무수석실에 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정기획수석실 소속 황철증 선임행정관도 2급이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아직까지 행정관 인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정확히 2급 선임행정관이 몇 명인지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으나, 다른 관계자는 "원래 3급이었던 선임행정관 중 일부가 2급 발령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고 이를 확인했다.
청와대 소속 고위공무원 규모는 모두 81명으로 이 가운데 1급으로 통일된 비서관이 42명이다. 남은 39명은 유성식, 황철증 등 2급으로 격상된 선임행정관과 3급 선임행정관으로 구성된다.
규모로는 지난 청와대의 83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또한 1급 비서관은 노무현 정부(35명)보다 오히려 늘어난 셈이다. 노무현 정부에서 2급 비서관은 17명, 3급은 31명이었다.
지난 노무현 정부에서 비서관을 지낸 한 인사는 "우리는 3급 비서관도 있었다"면서 "2급 공무원에게 선임 행정관 명함을 준 것은 '작은 청와대'를 위한 구조조정 명분에 맞추기 위한 눈속임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기존 부처에서 2급인 공무원들이 선임행정관으로 파견됐는데, 청와대에서 3급으로 떨어뜨릴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선임행정관 수가 늘어난 것은 허리를 튼튼하게 한다는 의미"라면서 "단순히 직급이 아니라 지난 노무현 정부와 비교해 청와대 전체 인원을 533명에서 450여 명 규모로 20% 정도 줄인 대목을 평가해 달라"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