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은 1일 오후 당 전국위원회를 열고 국민모임 등과의 정치협상 결과를 추인했다. 지난달 29~31일 국민모임 등 3자의 추인에 이어 정의당이 마지막으로 내부 승인 절차를 밟음으로써 4자 통합이 현실화된 것.
이날 오전 심상정 대표는 자신의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진보 통합과 관련한 모든 쟁점이 해소되었다"며 "오는 3일 공식 통합 선언을 하게 되고, 이달 안에 통합 전당대회를 마칠 예정이다. (전당대회는) 빠르면 22일 정도로 예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 대표는 "총선과 관련해, 저희는 올해까지 두 자릿수 지지율을 확보하고, 수도권에 60여 명의 후보가 준비되고 있는 등 전국적으로 절반 이상의 지역구에 저희 후보를 낼 준비를 하고 있다"며 "내년 총선에서 반드시 교섭단체를 만들겠다는 각오"라고 했다.
심 대표는 "10여 년 이상 시행착오를 거쳐 갈라진 진보진영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게 될 것"이라며 "통합 전당대회는 끝이 아니고 시작이다.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각계각층의 동참을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또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그는 다만 "정의당이 추구하는 가치와 노선에 동의하는 세력이라면 어느 세력과 정파를 막론하고 폭넓게 확대해나갈 생각"이라면서도 "4자 통합 및 그를 기초로 한 '확대' 프로그램에 과거 통합진보당 주도세력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이른바 '4자'는 지난달 27일 심상정 정의당 대표, 김세균 국민모임 대표, 양경규 노동정치연대 대표, 나경채 진보결집 더하기 대표(전 노동당 대표) 명의로 합의문을 작성하고(☞기사 하단 합의문 전문 첨부) 각 조직 내부에서 추인 절차를 밟아 왔다. 시간순으로 보면, 노동정치연대가 지난달 29일, 국민모임이 30일 추인을 밟았고, 진보결집 더하기가 토요일인 31일 추인 절차를 완료했다. 이어 이날 정의당 전국위에서 승인됨에 따라, 4자 대표들 간의 합의는 공식적인 '통합의 기본 합의'로서 효력을 갖게 됐다.
합의문에서 4자는 내년 4월 총선 이후 6개월 안에 새로운 당명을 정하되, 내년 총선은 '정의당'이라는 이름으로 치르기로 했다. 그간 정의당은 총선 등 현실적 이유를 들어 자신들의 당명을 계속 사용하자고 주장해 왔고, 나머지 3자는 흡수통합처럼 비치는 것을 우려해 이에 반대해 왔다. 결국 4자는 총선까지는 정의당 명칭을 쓰되 그 대신 "노동과 진보세력이 하나로 결집한 새로운 통합 정당임을 표현하는 캐치프레이즈를 당명과 함께 사용할 것을 공식화한다"는 선에서 타협을 봤다
통합 진보정당의 지도부 구성과 관련해 4자는 "통합정당은 3인의 공동대표를 두고 이 중 1인을 상임대표로 한다"고 정했다. 상임대표는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맡는 방안이 유력하다. 대의원대회나 전국위원회 등 대의기구 구성은 당원 비율대로 하면 정의당이 과반이 되지만, 통합 정신을 고려해 "4개의 조직 중 어느 하나의 단위가 과반수를 넘지 않"도록 합의했다.
각측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정의당이 45~49%, 나머지 3자의 합이 26~30% 정도가 되도록 대의기구를 구성하게 될 확률이 높다. 4자의 합이 100%가 아닌 75%인 것은, 전체 대의기구 구성원의 4분의 1(25%) 정도는 새로 합류할 세력을 위해 비워둘 가능성 때문이다. 이는 4자 합의문에서 "추후 합류할 세력을 위해 일정 부분을 예비해 둔다"고 정한 데 따른 것이다.
※다음은 진보 4자 간의 통합 합의문.
통합 정당 건설을 위한 진보혁신회의 대표자 협의결과
1.당명
통합정당의 당명은 당원 총투표를 통해 총선 후 6개월 이내에 새로운 당명으로 정한다.
다만 2016년 총선은 정의당명을 사용하며, 노동과 진보세력이 하나로 결집한 새로운 통합 정당임을 표현하는 캐치프레이즈를 당명과 함께 사용할 것을 공식화한다.
이 캐치프레이즈는 4개의 조직별로 기본합의서가 추인되면 발족될 통합추진기구에서 논의하여 통합대의원대회에서 채택한다.
2. 대표체제
통합정당은 3인의 공동대표를 두고 이 중 1인을 상임대표로 한다.
통합정당의 부대표 수는 통합추진기구에서 논의한다.
3. 대의체제
통합 정당의 대의체제(대의원, 전국위원 등)는 진보혁신회의 4개의 조직 중 어느 하나의 단위가 과반수를 넘지 않으며, 참가단위에 대한 상호존중의 원칙에 따라 구성하고 추후 합류할 세력을 위해 일정 부분을 예비해 둔다.
대의기구 성원의 임기는 2017년 7월 20일까지로 한다.
4. 지역조직과 집행체계
통합정당의 지역조직 대표 및 집행체제에 대하여는 각 지역의 통합추진기구 논의결과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집행기구인 상무위원회와 중앙과 지역의 상근조직은 상호 존중과 호혜의 관점에서 구성한다.
5. 공직선거 후보 선출
통합정당의 공직선거 후보 선출은 당원의 직접적인 의사가 반영되는 방식으로 선출한다.
단, 지역 공직 후보의 경우 중앙과 광역시도당의 협의를 우선한다.
6. 정강정책
통합정당의 정강정책은 진보혁신회의 산하의 분과위원회 논의를 거쳐 정리된 안을 중심으로 통합추진기구에서 성안하고 통합 대의원대회에서 채택한다.
7. 진보정치 혁신
통합정당의 노동·지역으로의 저변 확대, 사회연대의 강화, 당원 참여 활성화 등 혁신과제는 진보혁신회의 산하의 분과위원회 논의를 거쳐 통합추진기구에서 마련하고, 통합 대의원 대회에서 채택한다. 채택된 혁신과제는 당의 제도·사업·활동 등을 통해 즉각 실행한다.
8. 통합정당의 당원 자격
통합정당의 당원 자격(당권)은 통합정당의 확장과 진보정치 세력의 광범위한 결합을 위해 새로 참여하는 당원들이 당원으로서의 권리를 원만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한다.
9. 통합추진기구 구성
본 협의서가 각 조직에서 추인되는 즉시 통합추진기구를 구성한다. 통합추진기구는 보다 많은 진보세력의 참여를 위해 문호를 개방함과 동시에 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한다.
통합추진기구에서는 위 1에서 8까지에 대한 구체적 논의는 물론, 기타 통합정당의 전반적인 당 운영 관련 세부사항과 통합 대의원대회 준비, 통합정당 건설을 위한 실천 활동 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통합추진기구의 구성과 운영에 대해서는 진보혁신회의 집행위와 대표자회의 논의를 거쳐 결정한다.
10. 기타
이 협의 결과는 진보혁신회의 4조직의 의결단위를 거쳐 추인된 이후에는 통합정당을 위한 기본합의서로서의 효력을 갖는다.
2015년 10월 27일
국민모임 대표 김세균 / 노동·정치·연대 대표 양경규 / 정의당 대표 심상정 / 진보결집+ 대표 나경채 (단체이름 가나다 순)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