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제의 일자리 창출 효율성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성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산업별 일자리 창출력 변화와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2013년 평균 국내 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13.1명으로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의 13.8명보다도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취업유발계수는 10억원의 재화나 서비스를 만들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취업자 수로 임금근로자, 자영업자, 비정규직을 모두 포함한다.
국내 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금융위기 이전인 2005년의 16.3명보다도 3.2명 감소했다.
취업유발계수가 하락한 것은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효율성이 떨어진 데 기인했다.
제조업 취업유발계수는 금융위기 전인 2005∼2008년 연평균 11.3명에서 금융위기 후인 2010∼2013년 연평균 8.8명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건설업은 9.8명에서 9.5명으로, 서비스업은 18.7명에서 18.1명으로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창출 효율성도 전반적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근로자의 고용 창출 효과만 보여주는 국내 산업의 고용유발계수는 2005년 10.1명에서 2013년 8.8명으로 떨어졌다.
제조업은 2005∼2008년 평균 8.2명에서 2010∼2013년 평균 6.0명으로 감소했다. 건설업도 8.6명에서 7.0명으로 줄어들었다.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12.4명에서 13.0명으로 소폭 올라 글로벌 금융위기 후 모든 산업 가운데 유일하게 상승세를 보였다.
최 연구위원은 자본이 노동을 갈수록 대체하게 되면서 부가가치 창출력 대비 고용이 감소하는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며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용 창출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 친화형 산업을 발굴해 산업구조 변화에 따르는 일자리 창출 효율성 저하 현상을 방지할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