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10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당시 설치하려다 무산된 기념식수 표지석은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는 청와대 해명과는 달리 김 위원장 이름없이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으로만 표기돼 있었던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당시 남측이 갖고 간 표지석이 북측으로부터 '퇴짜'를 맞았다는 보도를 해명하면서 남북 정상의 기념식수에 대비해 양 정상의 이름이 새겨진 표지석을 준비해갔으나, 북측에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참석하는 바람에 설치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었다.
천 대변인은 이날 아침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자신의 브리핑 내용이 잘못됐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고의는 아니었지만 확인 과정의 착오로 어제 브리핑 때 사실관계가 잘못 전달돼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천 대변인은 "지난해 9월초 양 정상의 기념식수에 대비해서 '표지석은 남측에서 만들어온다'는 합의가 남북 양측간에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당시만 해도 표지석 설치에 대한 원칙적 합의가 있었지, 표지석 문구에 대해서는 구체적 논의가 없었다는 것.
천 대변인은 "표지석 문구에 대해서는 북측에서 9월말쯤 입장을 전해왔다"며 "북쪽에서는 그런 표지석에 우리 정상 이름을 넣지 않는 것이 관행이기 때문에 만약 양 정상이 기념식수를 하더라도 표지석 명의는 노 대통령만 넣어서 만드는 것으로 하자는 연락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북측 요청에 따라서 정부는 '하나된 민족의 염원을 담아, 2007년 10월 평양, 대한민국 대통령 노무현'이라는 문구가 새겨진 250㎏짜리 표지석을 만들어 평양에 가져갔다.
청와대 설명에 따르면 양 정상의 이름이 새겨졌든, 노 대통령 이름만 새겨졌든 이 표지석은 노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의 공동식수에 대비해서 준비해간 것이었기 때문에 김 위원장이 결국 식수에 참석않는 바람에 설치하지 않고 돌아왔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공동식수가 이뤄진 10월4일 아침까지도 김 위원장이 나무를 심으러 나올지 안나올지 불투명한 상황이었다"며 "결국 현장에 김영남 위원장이 대신 나오면서 '남북정상 공동식수에 대비해 갖고 온 표지석은 설치하지 말자'고 현장에서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 후 북측과 국정원간에 정상회담 후속 협의과정에서 '정상회담때 설치하려다 못한 표지석을 남측이 평양에 와서 설치한다'는데 합의가 이뤄져 김만복 국정원장이 지난해 12월18일 방북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청와대 설명에도 불구하고, 당초 만들어간 표지석이 추후 설치된 표지석과 마찬가지로 노 대통령 이름만 새겨진 것이었다면 왜 표지석을 다시 서울로 갖고 내려왔다가, 재협의를 거쳐 다시 표지석을 설치하는 과정을 거쳤는지 석연치 않은 구석이 없지 않다.
표지석 설치는 물론 문구까지도 남북합의사항이었다면 설사 김 위원장이 식수에 참석하지 않았더라도 노 대통령의 평양방문을 기념하는 차원에서 10월4일 당일에 설치 못할 이유가 있었는지, 문구상 큰 차이가 없는 표지석을 왜 다시 설치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꿨는지, 또 당초 250㎏짜리 표지석이 있는데 굳이 70㎏짜리로 줄인 이유는 무엇이었는지 등은 해명돼야 할 대목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