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발생한 금호타이어 노동자의 분신 사망 사건을 계기로 금호타이어의 도급화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당장 노동조합은 "이번 분신 사망은 지난해 말 워크아웃을 졸업했는데도 도급화를 계속 추진하겠다는 회사에 의한 타살이나 마찬가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금호타이어지회는 17일 오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금호타이어 측이 도급화를 강행해 지속적으로 비정규직을 양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전날 오후 9시8분 금호타이어 곡성공장 본관 앞에서 이 공장 노동자 김재기(40) 씨가 분신 사망하면서 열렸다.
숨진 김 씨는 곡성공장 노조 대의원으로, 분신 전 공정 도급화에 반대하는 저지 투쟁에 참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규직인 김 씨가 맡은 업무는 최근 도급화 대상 업무로 분류돼 비정규직 업무로 전환이 예정돼 있었다.
지회에 따르면, 김 씨의 차량에서 유서와 함께 '도급화 결사 저지를 위한 조합원 서명 결의서'가 발견됐다. 서명 결의서는 고인이 직접 만들어 조합원들로부터 서명을 받아왔던 것이다.
유서엔 "제가 죽는다해서 노동 세상이 바뀌진 않겠지만 우리 금타(금호타이어)만은 바뀌어졌으면 하는 제 바람입니다"라며 "동지들 부디 노동자 세상이 와서 노동자가 주인이 되는 그 날까지 저 세상에서 저도 노력할게요. 금타 노동자 화이팅"이라고 썼다.
앞서 금호타이어는 지난 2010년 워크아웃 돌입 당시 노사합의에 따라 그간 직무 597개 중 87%에 해당하는 521개를 도급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금호타이어엔 현재 1000여 명의 사내하청 노동자와 20여 명의 도급 사장이 일하고 있다. "어제까지 정규직이 하던 일을, 오늘은 비정규직이 하는" 구조인 셈이다.
이에 대해 금호타이어지회는 "회사가 지난해 12월 워크아웃을 졸업했는데도 나머지 75개 직무 중 48개마저 도급화하려 했다"면서 "고인을 포함해 19명이 속한 스프레이-운반 업무도 도급화 대상이었으며, 회사는 해당 직무의 정규직을 다른 업무로 전환 배치한 뒤 그 자리를 비정규직으로 채울 예정이었다"고 밝혔다.
노조는 지난해 단체교섭에서 워크아웃 종료에 따른 도급화 중단을 요구했지만, 사측이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서 노사 갈등이 계속돼 왔다. 앞서 지난달에도 금호타이어 곡성공장에서 노사 임단협의 교섭위원으로 참여했던 한 노동자가 스스로 목을 매 숨지기도 했다.
사측의 '도급화 밀어붙이기'의 근거가 된 2010년 노사 합의서는 도급화를 2014년까지 완료하는 것으로 돼 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지난해 임단협 타결 후 회사의 도급화를 막기 위해 지난 3일 도급화 금지 가처분 신청을 광주지방법원에 접수하기도 했다.
금호타이어지회는 "회사가 도급화 계획을 철회하고 고인의 죽음에 대해 사과하지 않으면 설 휴무 특근 거부를 시작으로 투쟁의 강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회사는 고인의 자살과 도급화 문제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없다며 경찰 조사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고인은 시신은 유족의 뜻에 따라 부검 없이 검안을 하기 위해 광주의 한 장례식장에 안치된 상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