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오너의 딸 조현아 전 부사장이 일으킨 '땅콩 회항' 사건은 이명박 정부 때부터 보수정권이 유난히 강조한 이른바 ‘국격’을 떨어뜨린 국제적인 사건이기도 하다.
대한항공 여객기가 땅콩서비스 문제로 비행기를 돌렸다는 이 사건은 뉴욕에서 일어나서 외신들도 비상한 관심을 갖고 조롱하는 기사를 많이 냈다. 게다가 사건 은폐와 승무원에게 뒤집어씌우기 등 국민적 공분을 일으키는 대한항공과 조현아 씨의 오만한 대처로 상황은 더 악화됐다.
그래서인지 일각에서는 ‘대한항공’에서 ‘대한’이라는 명칭을 빼야 한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이들은 외국에서 대한항공을 국영항공사로 알고 있다면서, 대한항공을 그룹의 명칭인 한진항공으로 바꿔야 한다는 구체적인 주장도 나오고 있다.
17일 <머니투데이>는 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정부도 이런 논의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분위기라고 전해 주목된다. 여론을 의식한 정부 고위관계자의 립서비스일 가능성이 높지만, 대한항공의 입장에서는 '섬찟하게' 다가올 얘기다.
이 매체에 따르면, 한 정부 고위관계자는 "대한항공이 국영항공사가 아니라는 점에서 사실 명칭 사용 문제를 논의해볼 여지가 있다"고 말을 했다. 명칭 변경이 쉬운 문제는 아니다.
대한항공은 1962년 6월 국영 대한항공공사로 출범해 1969년 한진그룹에 인수되면서 민영화됐다. 국영항공사는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것이고, 국책항공사는 국호나 국기를 명칭에 반영할 수 있도록 허가된 항공사다.
대한항공은 국영도 아니고, 국책항공사도 아니다. 하지만 사명에 국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로고에 국기나 다름없는 태극문양을 쓴다는 점에서 국책항공사처럼 대우를 받고 있다.
사실 1988년 아시아나항공이 설립되면서 국내 항공시장에 경쟁체제가 갖춰지기 전까지 대한항공은 민영화 이후 오랫동안 국영항공사처럼 운영됐다는 역사도 무시할 수는 없다. 또한 정부가 명칭회수에 나선다면 상표권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법적인 문제도 지적된다.
하지만 대한항공 측이 지금처럼 국민의 상식과 동떨어진 무리한 대응을 계속하면 사명도 유지못할 상황이 닥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도 없을 것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