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오룡호 침몰 나흘만에 구조단 파견…이제서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오룡호 침몰 나흘만에 구조단 파견…이제서야?

구조작업 진척 없어 실종자 수색 장기화 될 듯

사조산업 소속 명태잡이 어선 '501 오룡호'가 러시아 베링 해에서 침몰한 지 나흘째가 지난 가운데 구조자는 여전히 나오지 않고 있다. 정부는 사고 해역에 군용기와 경비함을 투입해 수색 작업을 벌이기로 결정했다.

사조산업 측은 4일 오전 6시 35분(현지시각 오전 9시 35분)에 사고해역에서 한국인 선원 유천광(1항사·47), 정연도(갑판장·57) 씨와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동남아 선원 1명의 시신을 인양했다고 밝혔다. 이후 외교부는 필리핀 2명, 인도네시아 2명, 신원미상 동남아인 1명의 시신을 발견해 이날 총 8구의 시신이 인양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금까지 승조원 60명 중 7명이 구조됐고 20명이 사망했으며 33명은 실종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사조산업 측은 이날 사고 해역의 파도가 2.5m, 바람은 초속 12~13m로 불고 있어 사고 이후 가장 양호한 날씨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오전에 발견된 시신 외에 추가적인 구조·수색 소식은 나오지 않고 있다.

정부는 이날 오후 2시 재외국민 보호 대책본부 회의를 갖고 사고 해역에 해군이 보유한 P-3C 해상초계기 2대와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본부 소속의 5000톤급 경비함 1척을 현장에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박철균 국방부 국제정책차장은 "P-3C 해상초계기를 언제라도 사고지역에 투입할 준비를 마쳤고, 영공 통과와 관련된 관련국과의 협조만이 남아 있다"며 협조가 완료되면 즉시 수색 활동에 투입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비함 투입과 관련해 이준채 국민안전처 해양경비안전국장은 "오늘 중으로 필요한 연료 수급과 인력 장비를 탑재하고 내일 오후 중으로 러시아 사고 해역으로 이동할 예정"이라며 "동해항에서 현장까지 2650해리(약 4907킬로미터)다. 이동하는데 약 9일 정도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왜 이제 와서 국내 전력 투입하나

해상초계기와 경비함의 사고 해역 투입을 두고 왜 지금에서야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외교부 당국자는 사고 발생 다음날인 지난 2일 기자들과 만나 "사고해역이 우리나라로부터 거리가 멀다. 최대한 미국과 러시아의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지금으로써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라며 한국의 전력이 구조에 투입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4일 "당시(사고 직후)에는 생존자 구조에 목표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설명 드린 것"이라며 "구조·수색 작업이 장기화됨에 따라 우리 경비함과 항공기를 보내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과 러시아의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아서 국내 전력을 투입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에 대해 이 관계자는 "충분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며 "구조·수색이 길어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 자체 전력을 좀 더 보강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현재 사고 해역에는 총 6척의 러시아 국적 선박과 4척의 한국 국적 선박, 그리고 미국 해안경비대 소속 비행기와 구조선이 구조·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가 국내 전력을 사고 해역까지 보내려는 것은 수색이 장기화될 것을 대비해 관련국들의 협조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포석을 깔아놓으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사고 해역 수온이 0도 수준인 상황에서 물에 빠졌을 때 생존할 수 있는 이른바 '골든타임'은 45분에 불과하다. 사고 발생 이후 나흘이 지난 현시점에서 구명정에 탑승해 물을 피해있지 않고서는 생존해있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실종자 탐색 작업이 구조가 아니라 시신 수색 작업으로 무게중심이 옮겨질 경우 러시아나 미국의 적극적인 협조를 기대하는 것은 시간이 지날수록 힘들어지게 된다. 양 국가 간 상호 구조 작업을 의무화 하는 국제 협약인 'SAR'(Search and Rescue)은 말 그대로 구조 작업을 의무화하는 것이지 수색 작업까지 협조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색 작업의 동력을 계속 이어가려는 목적으로 정부가 사고 해역에 국내 전력을 투입하려 한다는 것이다. 한국이 스스로 나서는 모습을 보이면서 러시아나 미국이 국제 협약에 근거하지 않고도 수색 작업에 지속적인 전력을 투입하도록 독려하겠다는 의도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