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대위 체제의 정치혁신 기구 '정치혁신실천위원회' 토론회에서 이른바 '친노'를 계파정치의 원흉으로 지목하는 날선 주장이 나왔다. 특히 친노의 좌장 격인 문재인 비대위원을 사실상 겨냥해 전당대회 불출마를 요구하기도 했다.
새정치연합 정치혁신실천위(위원장 원혜영 의원)가 2일 '계파주의 극복과 당 혁신 방안'을 주제로 연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김태일 영남대 교수는 "새정치연합의 계파정치 문제는 결국 최대·최강 계파인 친노 문제"라고 직격탄을 쏘았다. "당내 계파라고 해봤자 친노 외에는 계파다운 계파가 없다"는 주장이다.
김 교수는 발제문에서 "최강·최대 계파의 역할"을 강조하며 "힘 있는 계파가 문제 해결에 앞장을 서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금 비상대책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지도자들은 다음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도록 정치적 협약을 하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이 지지자들 사이에 있는데, 이런 구상을 최대·최강 계파의 지도자가 이끌어보는 것은 어떨까"라고 사실상 문 비대위원을 겨냥했다.
김 교수는 "지금 친노를 제외한 나머지를 모두 '비노'라고 하는데, 그런 점에서 비노는 계파가 아니다"라면서 "박지원계? 정세균계? 김한길계? 그런 거 사실상 없는 거나 다름없다. 몇 대에 걸쳐 스스로를 재생산하는 계파가 우리가 '계파'라고 부르는 계파라면, 제대로 된 계파는 친노밖에 없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 내에는 김 교수의 주장에 대한 반론도 있다. 친노 측으로 분류되는 한 당 관계자는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친노 외에 다른 계파가 없다는 것은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고 어이없다는 듯 말했다. '팩트가 틀렸다'는 것.
이 관계자는 '계파 문제는 친노의 문제', '친노가 앞장서야 한다'는 김 교수의 제안에 대해 "그렇게 보는 시각은 '계파 문제를 계파로 풀자'는 것"이라며 "계파 문제는 기득권 내려놓기라는 국민적 시각에서 해소해야 하는 문제이지, 어떤 계파가 해결할 수 있는 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계파정치가 프레임? 실재한다"
김 교수는 또 발제에서 "새정치연합의 계파정치는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새정치민주연합을 조롱하는 사람들이 만든 프레임이라는 주장이 있다"며 "(그러나) 나는 계파정치의 실재론을 지지한다"고 했다. '계파는 새정치연합을 비난하기 위한 프레임'이라는 당내 주장에 대한 반박이다.
그는 "새정치연합 내에서도 비교적 힘이 약한 세력들은 계파가 실재한다고 보지만, 상대적으로 힘을 쓰는 세력은 '계파정치 프레임론'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새정치연합에 계파정치란 없다'고 잘라 말하기도 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는 "문희상 비대위원장이 비대위를 구성하면서 '당내의 각 세력들을 대표하는 분들을 모셔왔다'고 했다"며 "그 분들이 각기 대표하고 있는 세력이 우리가 걱정하고 있는 '계파'인지 아닌지(가 문제인데), 세간의 평가는 바로 그것이 계파라는 것"이라고 했다.
김 교수는 해법과 관련해서는 "계파를 해체하는 것이 현실적이 아니듯이 계파를 제도화하는 것도 현실적이지 않은 것 같다"며 "계파는 현실적으로 존재하지만, 그것이 정당의 공식 의사결정 과정과 자원배분 과정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당의 구조를 만들어가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새정치연합의 정치적 실패와 부진이 계파정치에 기인하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거꾸로, 계파정치는 새정치연합의 실패와 부진이 결과적으로 만들어낸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고 양가적인 진단을 내렸다. 그는 "내가 목격한 가장 끔찍한 계파정치 참사는 열린우리당 시절부터 계속된 '난닝구와 백바지' 세력의 대립과 반목"이라고도 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동국대 박명호 교수는 "리더십 부재와 높은 유동성의 정당·지도부는 '패권주의적 계파정치'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며 "야당의 계파정치는 전근대적 수준의 계파싸움"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 교수는 "패권주의적 계파정치 논란의 핵심은 이른바 친노와 비노의 대립"이라며 "민주통합당 창당과정에서 친노는 당권을 장악했고, 19대 총선 공천과정을 주도해 의석수에서 당내 최대계파로 부상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김 교수와 유사한 인식을 보였다.
박 교수는 해법에 대해 "유력한 '차기 주자'의 발굴과 육성으로 복수의 유력 차기 주자가 경쟁하는 구도가 정립된다면 리더십 위기를 이전보다 완화시키면서 동시에 계파정치의 업그레이드 계기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하면서 "준비된 차기 간의 경쟁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야당의 세대교체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민주통합당 창당 과정을 상기시키며 "'제2의 손학규'(통합 당시 민주당 대표)가 더 나와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문 비대위원은 김 교수의 불출마 제안에 대해 "갑자기 뭘 정하고 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사전에 룰을 정해서 룰을 따라야 하는데, 전당대회가 얼마 안 남았는데 이제 와서 룰을 변화시키려 하는 것은 바람직한 게 아니라는 생각"이라고만 했다. 문 비대위원은 또 "(계파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이 친노-비노 갈등 또는 친노 패권주의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정말 마음이 답답하다"며 "공천제도를 아주 투명하게 제도화하면공천 때문에 세력을 모아 계파를 만들 필요가 없어질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문 비대위원은 김 교수의 불출마 제안에 대해 "갑자기 뭘 정하고 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사전에 룰을 정해서 룰을 따라야 하는데, 전당대회가 얼마 안 남았는데 이제 와서 룰을 변화시키려 하는 것은 바람직한 게 아니라는 생각"이라고만 했다. 문 비대위원은 또 "(계파 갈등의) 가장 큰 원인이 친노-비노 갈등 또는 친노 패권주의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정말 마음이 답답하다"며 "공천제도를 아주 투명하게 제도화하면공천 때문에 세력을 모아 계파를 만들 필요가 없어질 것"이라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