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에볼라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보건 인력을 파견과 관련, 11월 초순 서아프리카에 선발대를 파견하고 이후 군과 민간 보건 인력을 함께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전문성과 자발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인력을 파견하겠다고 밝혔지만, 국내에 에볼라 바이러스를 다뤄본 인력이 없어 정부가 강조하는 '전문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20일 오후 정부 서울청사 별관에서 외교부 조태열 2차관 주재로 외교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및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국장급 관계관이 참석한 가운데 에볼라 위기 대응을 위한 보건인력 파견에 관한 관계부처 협의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파견 인력의 안전 문제를 최우선시한다는 기조 아래 선발대가 안전대책을 검토하고 이후 본대 파견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외교부 오영주 개발협력국장은 협의회 이후 가진 브리핑에서 "(선발대는) 11월 초순 외교부, 복지부, 국방부 관계자로 구성되어서 파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 국장은 "파견 국가는 현재 보건인력 수요가 가장 높은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보건인력의 모집을 위한 절차는 이번주 중에 시행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파견지역, 규모, 방식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선발대가 임무를 종료하고 복귀한 이후 해외긴급구호 민간합동 협의회를 개최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오 국장은 파견 결정을 내린 배경으로 "최근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이 국제사회의 최대 인도적인 위기상황으로 진전되고 있고, 감염병은 모든 국가가 합심하여 퇴치해야 할 문제이므로 유엔 등 국제사회의 공동대응에 적극 참여한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인력에만 국한시킬 필요 없어···현지에서 필요한 지원 방안 검토해야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안전 대책을 가장 포괄적으로 협의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안전 예방 조치에 대해 이날 브리핑에 배석한 보건복지부 권준욱 공공보건정책관은 "(파견 인력 응모를 받을 때) 에볼라도 감염병의 하나이기 때문에 감염병 환자를 진료했거나 전문성이 있는 의사, 간호인력, 실험실인력 등을 중심으로 응모를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국제기구 등이 마련한 프로토콜과 표준지침에 따라서 교육훈련도 철저히 실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장에서 파견 인력이 에볼라에 감염됐을 경우 권 정책관은 "현지에서의 치료, 필요할 경우 선진국이 치료를 제공하는 방법, 또 환자가 장거리 이송을 견딜 수 있을 경우 국내 이송까지 포함한 여러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잠복기가 최대 21일까지 갈 수 있다는 지적과 관련해 권 정책관은 "21일 안에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 국내 복귀와 관련해서는 현지에서 또는 제3의 장소 내지 국가에서 21일을 관찰하는 방안 또는 국내에서의 격리방안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 한국에서 에볼라 바이러스를 치료해본 경험이 있는 인력이 없는데 어떻게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느냐는 문제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권 행정관은 "에볼라를 치료해본 인력은 우리도 없고, 이웃 나라 일본도 없고, 중국도 없다"며 "결국은 현지에서 치료경험을 통해서 현장 대응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국제기구나 선진국의 프로토콜과 더불어 선발대가 현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훈련내용들을 국내에 도입해 적용하고, 또 현지에 투입되기 전에도 (필요한) 교육·훈련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 인력 중 환자가 발생해 환자를 한국으로 이송할 경우, 추가적인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지적에 대해 권 행정관은 "국내 19개 국가격리지정병원 중에 17개가 완공돼 104개 음압 병상이 가동되고 있다"며 "에볼라의 경우는 호흡기 전파가 아니기 때문에 음압 병상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압 병상에서 환자를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건 인력 파견의 적절성 문제에 대해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창엽 교수는 "국제기구와의 협의, (서아프리카) 현지에서 필요한 것들, 우리가 할 수 있는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도 에볼라 바이러스 퇴치에 참여한다는 이른바 '생색내기'식의 접근이 아니라,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식을 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 상황에 비춰봤을 때 한국이 에볼라 바이러스 퇴치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안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김 교수는 "다양한 방안이 있을 수 있다. 돈 (바이러스 퇴치를 위한 지원금)을 낼 수도 있고 엠뷸런스, 보호 장구 등 다양한 장비나 물자를 댈 수도 있다"며 "인력에만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