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포기는 이르다. 뉴욕대학 스턴 경영대학원 교수이자 현재 영미권의 가장 뜨거운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의 책 <바른 마음>(왕수민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펴냄)은 그런 상황에서 유용한 지침서로 쓰일 만하다. “이 시대 중요한 문제들은 모두 옳음과 옳음의 싸움이 될 것이다”라는 그의 주장은, ‘옳은’ 이쪽과 ‘틀린’ 저쪽 간의 이념적 전투라고만 여겼던 영역에, 새롭게 “우리는 왜 그렇게 행동하거나 믿게 되는가”라는 이해의 범주를 끌어들인다.
<프레시안>과 웅진지식하우스, 인터넷서점 예스24가 마련한 <바른 마음> 출간 기념 공개 좌담회 ‘이 시대 한국사회에 필요한 바른 마음이란 무엇인가’에는 노회찬 정의당 전 대표,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이자 진화심리학자 전중환(<오래된 연장통> 저자), 전문 인터뷰어 지승호(<닥치고 정치><서민의 기생충 같은 이야기><강신주의 맨얼굴의 철학 당당한 인문학> 등)가 패널로 참석했고, <논객시대> 저자 노정태가 사회자로 나섰다. <프레시안>은 지난 16일 저녁 가톨릭 청년회관에서 열린 이 공개 좌담회에서 오간 열띤 토론을 3회에 걸쳐 소개할 예정이다. <편집자>
사회자 노정태는 <바른 마음>을 미처 읽지 못한 관중들을 위해, 이 책의 기본 전제는 코끼리(감정)에 올라탄 기수(이성)라는 비유라고 설명을 덧붙였다. 18세기의 위대한 철학자 데이빗 흄은 일찍이 “이성은 정념의 노예다”라고 말한 바 있는데, “인간이라는 존재가 반응하고 행동하는 과정 속에서, 이성의 실제 역할은 감정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라는 주장”이며, 도덕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 역시 흄의 말에 동의하는 편이라고 했다.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감정적인 존재라는 것이죠. 동시에, 그렇기 때문에 아무 희망이 없다는 결론을 내리는 게 아닙니다. 코끼리가 왜 슬퍼하고 기뻐하는지 기수가 잘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코끼리뿐 아니라 다른 기수들의 상태까지 이해할 수 있다는 게 그의 희망적인 결론입니다.”
그러니까 이번 좌담의 가장 큰 목표는 이것이다. 미국보다 훨씬 더 이념적으로 양극화된 분열을 상시적으로 겪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나’의 코끼리, 그리고 ‘그들’의 코끼리를 어떻게 이해하고 설득시킬 수 있을 것인가? 노정태는 ‘악마의 변호인’ 같은 입장을 자처하며, 좀 더 난처한 질문들을 던지기 시작했다. 이를테면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는 그야말로 ‘이해 불가능의 영역’에 속한 사람일까? 한국에는 미국처럼 보수다운 보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들 자주 한탄하는데, 한국의 보수가 도덕적일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본다면 어떤 게 있을까? 이해할 수 없는 상대편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우리 자신의 도덕에 대한 엄정한 반문으로 돌아오기도 할 것이다.
물론, ‘우리’ 기준에 도덕적이지 않아 보이는 사람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은 분명히 필요하다고도 했다. “우리가 우리 기준에 의한 도덕적 비난에 함몰되어 있진 않았나라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우리가 도덕적으로 우월하다며 상대방을 비난하는 방향으로는 승리를 거두기 어렵다. 그런 승부를 자꾸 걸기보다, 오히려 그들의 장점을 배우고 따라붙어야 하지 않을까.”
전중환 교수는 이에 조금 다른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나이 많은 친척과 정치 얘기를 나누다가 모 후보 이름이 언급되자마자 당장 얼굴을 붉히며 “그 사람은 빨갱이다”라고 단정을 내리더라는 추억을 들려주었다. 보수층이 중요시하는 국가에 대한 충성, 윗사람에 대한 공경 등을 행동으로 보여준다고 해서 보수적 유권자들로 하여금 ‘1번’이 아닌 다른 번호를 찍게 만들긴 어렵다는 것이다. 조너선 하이트가 <바른 마음>에서 말하는 바 역시 좀 다른 측면이라면서, “진보에 유리한 프레임”을 만드는 것에 더 실질적으로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의견이었다. “진보정당을 찍어도 사회가 무너지거나 성도덕이 떨어지거나 한국 안보가 흔들리지 않는다는, 새누리당 못지않게 그런 안보와 안정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고 있다는 확신을 줘야 한다. 물론 그게 더 어렵지만.”
노회찬 전 대표는 바로 뒤이어 마이크를 잡으며, 자신의 의견이 전 교수와 그리 다른 게 아니라는 부연 설명을 했다. TV 토론회에서 보수진영을 꼼짝 못하게 만들었던 논리적인 말솜씨를 자주 선보인 바 있던 노 전 대표는, “우리는 도덕적이고 논리적인 토론에 능한데, 그렇다고 해서 국민이 지지하느냐, 하면 그게 아니었다”고 토로했다. 그렇다면 진보 진영이 지금까지 조금 얕잡아 보았던 것, 보수 진영이 능숙하게 활용했던 선택지를 배우자는 입장도 가능하지 않을까, 라고 노 전 대표는 반문했다.
이에 사회자 노정태는 다시 한 번 딴죽을 걸었다. ‘진보는 다 맞는 말을 하지만 또 그게 상처를 주지’라는 생각이 일반적인데 과연 그런 것이냐고 되물었다. 진보 진영은 스스로를 얼마나 잘 이해하나, 분명 진보 진영에서 잘 해왔고 앞으로 지켜내야 할 도덕이 있지 않냐는 질문이었다. 그에 대해 전문 인터뷰어 지승호는 서울교육감 선거를 예로 들었다. 고승덕 후보의 딸과 조희연 후보의 아들이 아버지에 대한 태도를 극단적으로 다르게 표출함으로써 유권자들의 표심이 달라졌음을 지적하면서, 유동층 유권자에게 설득력과 소구력을 가질 수 있는 진보 진영 프레임을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다고 결론지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