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심판론' 안 통했다…여야 모두 '경고장'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심판론' 안 통했다…여야 모두 '경고장'

정부 독주 '옐로카드', 야당은 '대안정당' 숙제

4일 치러진 6.4 지방선거에서 민심은 여야 모두에게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던졌다.

정부여당에게는 독선에 대한 경고장을 던져 국정운영의 전환을 채찍질하는 한편, 정권 초반의 기대심리를 내비치며 다시 한 번 기회를 부여했다.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에게는 반전의 발판을 제공하면서도 대안 야당으로서의 신뢰를 유보했다. 여야 모두에게 '변화'라는 무거운 숙제를 낸 셈이다.

승자 없는 선거, 의미는?

4.16 세월호 참사의 여파로 '정부 심판론'이 고개를 드는 듯 보였으나, 결과적으로 민심은 박근혜 정부의 때 이른 좌초를 경계했다. 당초 60% 돌파가 주목됐던 투표율이 56.8%(잠정투표율)에 그친 대목은 국가적 재난이 곧 대대적인 징벌적 투표로 이어지지 않은 증좌다. 다만, 사전투표제 도입 효과로 1995년 1회 지방선거(68.4%) 이후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한 점은 긍정적인 징후로 꼽힌다.

집권세력은 세월호 심판론의 폭풍을 피해 정국 주도권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영남권을 뺀 전패 가능성까지 거론됐던 상황에 비쳐보면 선방했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과정이 매끄러웠다고 보기는 어렵다. 선거기간 내내 '박근혜의 눈물'을 팔거나 "박 대통령을 구해달라"는 읍소 전략으로 일관하는 졸렬함을 보였다. 이에 여론조사에 잡히지 않은 '숨어 있는 보수표'가 일정하게 호응했다.

세월호 참사 정국 속에서도 지방선거 문턱을 비교적 무난하게 넘었지만, 박 대통령의 독선적 국정운영, 청와대 호위부대처럼 기능해 온 새누리당이 변화하지 않으면 '유보된 징벌'은 언제든 화약고가 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무엇보다 이슈 반응이 민감한 서울에서 새누리당이 광역과 기초단체 선거에서 대패한 대목이 뼈아프다. 지난 2012년 대선 때도 박근혜 대통령은 서울에서 문재인 후보에게 뒤졌다. 잇따른 패배로 서울 민심은 정부여당에게 두고두고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세월호 후폭풍과 맞물려 박 대통령의 '만기친람' 통치 스타일, 민생 역행적 정책 추진, 국민 정서와 유리된 인사 정책에 대한 비판적 민심이 서울에서 도드라졌다는 평가다.

반면 새누리당을 선택한 경기도와 인천은 박 대통령에게 다시 한 번 기회를 준 것으로 평가된다. 인천의 유정복, 부산의 서병수 등 친박 후보들이 생환함으로써 상당기간 박 대통령의 새누리당 장악력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중원의 혈투 끝에 충청권에서 패한 점이 부담이지만, 부산과 대구 등 정치적 상징성이 큰 영남지역의 수성에 성공함으로써 새누리당은 정치적 기반도 새롭게 다졌다.

서병수 새누리당 부산시장 후보 유세 현장에 등장한 '박근혜 피켓'. 피켓엔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 당시 눈물을 흘린 사진과 함께 '위기의 대한민국, 부산이 구합시다'라는 문구가 담겼다. ⓒ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은 골치가 아파졌다. 사회적으로 반향이 컸던 '세월호 심판론'이 정치적 심판으로 귀결되지 않은 탓이다. 박근혜 정부에 비판적인 표심조차 제대로 흡수하지 못한 결과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세월호 참사 여파로 새누리당 지지층 일부가 이탈했고 부동층이 증가하는 현상도 확인됐으나 이들은 결국 미덥지 않은 야당에 표를 주기를 주저했다. 이들에게 야당이 박근혜 정부에 대한 견제 세력이라는 인식을 심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선 가능성을 높게 봤던 인천에서 당한 일격이 야당에겐 치명적이다. 서울시장 선거도 당력보다는 사실상 박원순 후보가 자력으로 돌파한 승리여서 새정치민주연합의 속내가 편치는 않아 보인다.

그러나 자칫 지도부 붕괴로 이어질 수 있었던 광주 선거에서 윤장현 후보가 예상을 뛰어넘는 압승을 거둬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했다. 충청권에서도 선전해 호남과 수도권을 잇는 지역적 교두보를 점령한 성과를 거뒀다. 이로써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 체제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이지만, 내부 평가에 따라 고질적인 당내 갈등이 재현될 가능성도 상존한다.

이처럼 분노와 기대, 심판론과 안정론이 작용과 반작용을 거듭하며 '승자 없는 선거'로 귀결된 6.4 지방선거는 끝났다. 산술적인 승패를 따지기에 앞서 민심의 의미를 제대로 해석하고 먼저 변화하는 쪽이 살아남는다. 여야 정치권 모두 새로운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