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포르투갈의 셀프 디스? "우린 우승 후보 아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포르투갈의 셀프 디스? "우린 우승 후보 아냐”

[강대호의 와이비노멀] “우승후보는 브라질·스페인·독일·이탈리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29·레알 마드리드)의 포르투갈대표팀 동료가 조국을 우승후보에서 제외했다.

28일, 국제축구연맹(FIFA) 공식 홈페이지는 포르투갈대표 공격수 우고 알메이다(30·베식타스 JK)가 인터뷰에서 “나에게 우승후보를 말하라고 하면 물론 포르투갈은 아니다. 개최국 브라질, 디펜딩 챔피언 스페인, 최근 우승에 근접했던 독일, 이탈리아도 잊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FIFA가 지난 15일 발표한 순위에서 포르투갈은 4위로 스페인(1위)과 독일(2위)보다는 낮고, 이탈리아(8위)와 브라질(9위)보다는 높다.

독일은 최근 3번의 월드컵에서 2002년 2위, 2006년과 2010년에는 3위에 올랐다. 2006월드컵 우승팀 이탈리아는 2013년 대륙간컵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11년 터키 1부 리그 득점왕 경력자인 알메이다는 A매치에서 52경기 17골을 기록 중이다. 2008년과 2012년 유럽선수권, 2010월드컵에 참가했다.

포르투갈은 2014월드컵 G조에서 독일·가나(35위)·미국(14위)과 함께 속해있다. 알메이다는 “독일전이 (조별리그) 마지막이 아닌 첫 경기라는 것은 분명한 이점이다. 우리는 우선 조별리그 통과를 원한다. 토너먼트에서는 어떤 일도 가능하다. 우승후보는 확실히 아니지만, 그렇다고 약체도 아니다. 좋은 팀이라는 것을 경기장에서 증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예선 F조에서 승점 21점으로 러시아(승점 22점)에 밀려 본선 직행에 실패한 것에 대해서는 “유럽예선에서 여러 실수로 플레이오프로 떨어졌지만, 스웨덴을 상대로 진정한 클래스와 좋은 축구를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스웨덴과의 플레이오프에서 포르투갈은 1차전 홈에서 1-0, 2차전 원정에서 3-2로 이기면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FIFA 공식 홈페이지는 알메이다가 2008년 유럽선수권 당시 감독이자 이번 월드컵에 브라질대표팀을 이끌고 참가하는 루이스 펠리프 스콜라리(66·브라질)에 대하여 “매우 좋은 감독이다. 정감 어린 농담을 좋아하면서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열심히 그리고 빈틈없이 일한다. 브라질을 우승으로 이끌 능력을 지닌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편, 알메이다는 “호날두는 대단한 사나이고 매우 마음에 드는 녀석이다. 대표팀에서 나의 좋은 친구이며 항상 같이 있다”면서 “어떠한 일이든 하기에 앞서 괜찮은지를 모두에게 묻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있다면 현장에 가장 먼저 온다”고 호날두의 인간적인 면모를 소개하기도 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4

등록
  • 최신순
후원회원
hochang1
2016-11-26 04:16:44
12
한번 잘못 하면 끝나야 하는 세상이 정상인가? 우리나라가 특히 스포츠 선수에겐 장발장식으로 처리하는 이유가 바로 이런 시각 때문 아닌가? 정치인, 연예인, 기업인, 법조인, 교수 등에도 이런 잣대로 하면 역겨운 사람 한둘 아닌데ㅡ 프레시안의 게이트키핑에 큰 문제있다. 박태환이 잘못을 극복하고 재기하면 국민에게 주는 교훈이 엄청 크다! 똘레랑스가 적용되야 한다.
답글달기
조합원
medigod
2016-11-25 21:57:06
12
약물복용한 선수는 어떠한 억압을 받아도 되고 입을 열어서도 안된다는 것으로 들리는군요. 박태환이 코스프레를 하던말던 없는 일을 가지고 떠드는 것은 아닙니다.
답글달기
일반회원
lotuslotus
2016-11-25 21:06:50
22
프레시안에게 엄중히 청합니다.
이런 논리적으로 설득력 빈약한 글,
윤리적으로도 이념적으로도 편향된 글
그만 싣기 바랍니다.
기자분들 중에도 이런 글 쓰시는 분 꽤 되는 것 같습니다.
이제 더 이상 이념이라는 이유로 아마추어적 글이 용인되지 않음을 깨닫기 바랍니다.
성숙한 프레시안이 되십시오.
\'아마추어는 웹에도 SNS 상에도 널렸습니다.
답글달기
일반회원
lotuslotus
2016-11-25 21:00:33
23
이 글이 오히려 역겹게 느껴집니다.
우선 승부조작보다 약물복용이 왜 더 문제가 되는지를 설명하면서 "그나마 승부 조작은 어떤 이득을 위해 경기에 맞서는 상대와 합의한 후에 실행에 나서는데 반해"라고 표현했는데 (선수가 아닌 다른)개인의 이득이라는 측면이 있으니 덜 문제라는 겁니다. 여기서 이득이면 그래도 봐줄 수 있다는 듯이 들립니다. 오히려 누군가의 이득을 위해 스포츠에서 승부조작을 하는 것이 더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것아닌가요?
약물중독이나 승부조작이나 마찬가지로 부도덕하나 필자의 논리를 따르면 약물복용은 스포스 선수로서의 한계를 이겨보려한 안간힘으로 봐줄 수는 없을까요?
그리고 박태환선수가 이 시점에 녹취록을 공개한 것을 문제삼는 것도 이해되지 않습니다. 지금이라도 이 녹취록을 공개한 것이 공익에 무슨 해를 입히나요? 어쨌든 공익을 위해 공개하는 것이 하지 않는 것보다 옳다고 봅니다.
때문에 이 글의 필자가 "김종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된 후에 하는 게 좀 더 신사답고 스포츠맨답지 않았을까. 조폭이나 정치인들의 복수극이 아니라면 말이다."라고 표현한 것은에 대해 묻고 싶습니다.
이 녹취록의 공개는 박태환 개인의 명예만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필자 식의 논리라면 이러저러한 이유로 밝히지 못했던 공적인 부패나 문제점을 나중에 밝히는 것은 명예롭지 못한 것이 되나요?
억압받고 불이익당할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당시에 밝히지 못한 것은 박태환 역시 권력 앞에서는 미약한 존재였기 때문입니다. 그 당시 밝히지 못했다고 해서 지금도 밝히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지금이라도 밝혀 체육계에 있는 권력질에 대해 고발하고 알려 이런 행태가 반복되지 않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이 글은 마치 개인 박태환에 대한 일종의 거부감으로 쓰인 글 같습니다.
논리적인 설득력도 윤리적인 정당성도 느껴지지 않는...필자가 박캐환의 행태에 느끼는 역겨움을 필자에 대해서 똑같이 느끼게 만드는 글입니다.
프레시안이 왜 이런 글을 싣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프레시안 편집진의 판단력에 갸우뚱해지네요. 실망입니다.
답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