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등록금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학비 마련이 어려운 대학(원)생에게 낮은 이자로 융자해주는 취지로 마련된 정부 보증 학자금 대출 제도가 저소득층에게 더 불리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연대가 지난 12일 발표한 '등록금 가계 부담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저소득층을 상대로 실시하는 무이자나 저리 학자금 대출의 대상 범위는 좁은 반면 대출 방식과 상환 방식은 고소득층에게 유리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연대에 따르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의료급여수급권자에 해당하는 극빈층 대학생은 연간 17만 명이지만 이들 중 정부 보증 무이자 대출을 받은 건수는 2007년 1학기를 기준으로 7200명에 불과했다. 반면 상위 30%에 해당하는 고소득층의 자녀가 정부 보증 대출을 이용한 건수는 7만5000건이었다. 2007년도부터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의료급여수급권자 대학원생에게 저리·무이자 대출을 중단해 저소득층의 대출 기회는 더 좁아졌다.
이자율은 높고…
등록금을 내고자 대출을 신청한 학생이 가장 많이 거부당한 경우는 정부 보증 학자금 대출이었다.
참여연대가 지난 12월 전국 126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학생의 27.8%가 등록금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들 중 9.1%는 대출 거부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또 서울 7.4%, 경기·인천 2.7% 등 수도권에서는 비교적 거부율이 낮았던 반면 충청 12.5%, 강원 30.8% 등 지방에서 대출 거부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출 거부 경험자 중 정부 보증 학자금 대출 신청을 거부당한 비율이 65.5%로 가장 높았다.
기금은 삭감되고…
이뿐만이 아니다. 학자금 대출 금리는 큰 폭으로 인상되는 반면 예산은 줄어들고 있어 학자금 대출을 받지 못하는 학생의 비율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도 더 커졌다.
정부는 2008년 학자금 대출 기금 예산 중 1000억 원을 삭감했다. 이에 더해 2008년 1학기 정부 학자금 대출 금리는 연 7.65%로 직전 학기(연 6.66%)보다 1%포인트 가량 급등했으며 2%대 저리 대출 방식은 올해부터 없어졌다.
참여연대는 "정부 보증 대출 이자율이 6~7%에 이르는 현실에서 형편이 좋지 못한 학생은 꼬박꼬박 원금과 이자를 갚아나가기 쉽지 않다"며 "설문조사 결과 학자금 대출자 중 연체 경험을 가진 학생은 전체의 16.9%에 이르고, 이들 중 20%는 결국 신용불량자로 전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07년 12월 현재 정부 보증 학자금 대출을 갚지 못해 금융 채무 불이행자가 된 대학생 수는 3413명에 달하고 금액은 128억8600만 원에 이른다.
참여연대는 "대학생에게 학비 부담을 덜고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준다는 학자금 대출의 취지가 무색하게, 정부가 보증한 무이자·저리 학자금 대출 혜택을 받는 저소득층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고질적인 등록금 인상, 해결 방법 얼마든지 있다" 참여연대는 "매년 반복되고 있는 고질적인 등록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외국 사례에 비춰볼 때 등록금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가 있다고 강조했다. 외국 대학 등록금 관련 정책은 등록금을 보전해주는 제도와 등록금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로 나눌 수 있다. 등록금 보전은 장학금 지원 정책으로 무상교육, 생활비 지급 등을 포함한다. 등록금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은 등록금 상한제, 등록금 후불제, 등록금 차등 부과제로 구분할 수 있다. 등록금 상한제는 등록금 인상률에 일정한 가이드라인을 두는 제도이다. 등록금의 폭등을 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가상승률을 감안한다면 등록금 동결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등록금 후불제는 우리나라의 정부 보증 학자금 대출과 비슷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가는 졸업 후 일정 기간 이후부터 이자와 원금을 상환하게 하거나 일정 수준의 소득이 있어야 상환하게 하는 제도로 운영되고 있다. 등록금 차등 부과제는 학생이나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라 등록금을 차등 책정하는 제도이다. 참여연대는 "△등록금 상한제 △등록금 후불제 △등록금 차등 부과제 도입을 고려해볼 수 있다"며 "이 뿐만 아니라 등록금 수입과 지출에 대한 독립된 회계 관리를 실시해 등록금이 교육 비용 이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14일 민주노동당 등록금 특별위원회는 국회에서 '등록금 상한제' 법안의 입법을 촉구하는 기자 회견을 연다. 지난해 3월 최순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 법안은 월 가계소득 3개년 평균치로 등록금 상한을 두는 것과 차상위계층에 대한 등록금 무상화를 골자로 하고 있다.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