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는 보고서에서 "유가가 안정되고 세계경제가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이 줄어들면서 올해 1분기 이후 둔화된 국내 경기가 점진적으로 안정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내년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두 달 전 내놓은 전망치보다 0.1%포인트 높여 4.4%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그러나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부분적으로 완화되고 있지만 금융시장과 관련된 잠재적 불안요인은 부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우선 경제 펀더멘털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데도 전국적으로 주택가격이 폭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
연구원은 주택가격 급등과 함께 은행권에서 단기외채가 급증하고 있는 현상도 금융위기를 부추길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했다.
KDI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외화차입이 지난해 연간 44억3000만 달러에서 올해 1~10월에만 399억1000만 달러로 급증했다. 특히 이 중에서 단기차입이 387억6000만 달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은행의 단기차입이 급증했던 IMF 외환위기 이전인 1994~1996년 3년 동안의 211억 달러에 비해 1.8배나 되는 수준이다.
![]() |
이같은 은행의 단기차입 급증으로 인해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이 순유출로 전환됐음에도 불구하고 자본수지는 올해 1~10월 중 흑자를 나타내고 있다고 KDI는 설명했다.
KDI의 김현욱 연구위원은 은행의 단기 외화차입이 급증한 배경에 대해 "환율의 지속적 하락에 대한 기대가 기업 및 은행 등 경제 전반에 광범위하게 형성돼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은행의 외화차입 급증은 외화유동성 위험과 은행의 신용위험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외환거래량 등 외환시장 통계를 보다 신속하고 상세하게 공표함으로써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외환당국과 금융당국 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에 앞서 삼성경제연구소와 LG경제연구원 등 민간 경제연구소들도 최근 주택가격 폭등에 따른 가계대출의 증가가 내년 금융시장에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경고를 담은 보고서를 낸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