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올 봄, 문학의 숲에서 오페라를 본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올 봄, 문학의 숲에서 오페라를 본다"

[알림] 오페라학교(교장 진회숙) 개교 안내

인문학 체험공동체인 인문학습원이 새봄 오페라학교를 개교합니다. 교장선생님은 클래식 전문가이며 음악평론가인 진회숙 선생님이 맡습니다. 개강 주제는 <문학의 숲에서 오페라를 보다>입니다.

진회숙 교장선생님은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음대에서 서양음악을, 서울대 대학원에서 국악이론을 공부했습니다. 1988년 월간 <객석>이 공모하는 예술평론상에 <한국 음악극의 미래를 위하여>라는 평론으로 수상, 음악평론가로 등단했고, <객석> <조선일보> <한국일보>를 비롯한 여러 언론 매체에 예술평론과 칼럼을 기고했습니다.

이후 KBS와 MBC에서 음악프로그램 전문 구성작가로 활동하며 MBC FM의 <나의 음악실> KBS FM의 <KBS 음악실> <출발 FM과 함께> KBS의 클래식 프로그램 <클래식 오디세이> 등의 구성과 진행을 맡기도 했으며, 요즘은 평화방송의 <FM 음악공감> 중 <진회숙의 일요 스페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서울시립교향악단 월간지인 <SPO>의 편집장이며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콘서트 미리 공부하기>를 비롯한 여러 클래식 강좌의 강사로 활동 중입니다. 저서로는 <클래식 오딧세이> <나비야 청산가자> <영화로 만나는 클래식> <보면서 즐기는 클래식 감상실> <모나리자, 모차르트를 만나다> <나를 위로하는 클래식 이야기> <예술에 살고 예술에 죽다> 등이 있습니다.


교장선생님은 <오페라학교를 열며> 이렇게 말합니다.

대학 3학생 때인 1977년, 단성사에서 <겨울여자>라는 영화를 개봉했습니다. 조해일의 소설을 바탕으로 만든, 그렇고 그런 통속영화였는데, 서울 인구가 600만이던 당시 56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대기록을 세웠다고 하네요. 저도 그 56만 명의 대열에 끼어서 영화를 보았는데, 어찌된 일인지 지금 기억나는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짐짓 순진함을 가장한 여배우의 가식적인 연기와 목소리에 손발이 오그라들었던 기억만 납니다. 옛날 한국영화의 여주인공들은 정말 가증스럽게(?) 내숭을 떨었거든요.

오페라를 얘기하는데 웬 뜬금없이 <겨울여자>냐구요? 왜냐하면 이 영화에 유명한 오페라 합창곡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바로 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에 나오는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인데요, 사실 이 영화가 나오기 전까지 이런 곡이 있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우리 세대 사람들에게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을 어떻게 알게 되었냐고 물으면 대부분 <겨울여자>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고 얘기할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겨울여자>는 한국의 중년세대에게 오페라 합창곡의 백미를 알려준 영화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나부코>는 기원전 6세기 바빌론을 통치한 '네부카드네자르'의 이탈리아식 이름입니다. 네부카드네자르는 유대왕국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통해 예루살렘을 함락하고 수많은 유대인들을 바빌론으로 잡아왔지요. 이후 유대인들은 근 2,000년 동안 이 나라 저 나라를 유랑하며 살았는데요,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은 이들이 유프라테스 강가에서 고향을 그리며 부르는 노래입니다.

베르디는 이탈리아에서 오스트리아의 압제에 항거하는 애국운동이 한창일 때 이 오페라를 작곡했습니다. 방대한 스케일과 스펙터클한 무대를 마음껏 구사하며 유대왕국 몰락의 역사를 재현한 베르디의 오페라는 대중의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오페라가 이렇게 큰 성공을 거두게 된 배경에는 당시의 사회 분위기도 한 몫을 했습니다. 폭군의 지배 하에서도 민족의식과 신앙심을 잃지 않았던 유대민족의 이야기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고 있던 이탈리아 사람들의 애국심에 불을 댕겼던 겁니다. 그 중에서 하이라이트는 단연 "가거라. 그리움이여! 황금빛 날개를 타고"라는 가사로 시작하는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이었지요. 관객들이 "비바! 베르디!"를 외치며 난리도 아니었다고 합니다.

제가 오페라 강의를 소개하는 자리에서 이렇게 장황하게 <나부코>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오페라가 단순히 음악만으로 존재하는 예술장르가 아니라는 얘기를 하고 싶어서입니다. 합스부르크 왕조의 지배 아래에서 <나부코>가 만들어졌던 것처럼, 오페라는 시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오페라를 통해 한 시대를, 그 시대의 역사와 사회상, 인물, 사상은 물론 심지어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유행과 이데올로기까지 알 수 있습니다.

오페라는 '이야기'가 있는 음악입니다. 이야기의 소재는 작가나 작곡가가 완전히 허구로 만들어낸 것일 수도 있고, 유명한 문학작품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일어났던 역사적 사건이나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인물 이야기, 아니면 유명한 영화나 춤, 그림, 조각과 같은 예술작품이 될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 멋진 음악과 무대, 연출, 연기가 더해지면서 비로소 총체예술인 오페라가 탄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오페라를 제대로 감상하려면 이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줄거리만 따라가서도 안 되고, 음악만 들어서도 안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페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음악'이라는 사실은 분명하지만요.

이번 학기 주제는 <문학의 숲에서 오페라를 보다>입니다. 오페라에는 문학작품을 소재로 한 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몰리에르, 위고, 괴테, 셰익스피어, 세르반테스, 푸시킨, 고골리, 뒤마, 호프만, 조지 오웰 등등. 우리가 아는 세계적인 문호의 작품 대부분이 오페라로 만들어졌습니다. 같은 작품을 가지고 여러 명의 작곡가가 오페라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괴테의 <파우스트>가 대표적인 경우인데요, 각각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도 재미있습니다.

오페라는 음악과 문학, 미술, 연극, 춤의 종합예술입니다. 그래서 공부할 것도 많고, 느낄 것도 많습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요? 오페라도 그렇습니다. 여러분이 공부한 만큼 '감동'이라는 이름으로 보답할 겁니다.

강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2011년 봄학기 강의는 5, 6월 매주 목요일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총 8강으로 열립니다.

<문학의 숲에서 오페라를 보다>

제1강[5월12일] 그리스 신화와 초창기 오페라
오페라는 17세기 초,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결성된 작곡가, 시인, 학자, 예술애호가들의 모임인 카메라타에서 시작되었다. 고전 고대의 부활을 꿈꾸었던 르네상스 후반기에 처음 탄생한 오페라는 귀족들의 인문주의적 취향에 따라 상당히 오랫동안 신화의 세계를 그리는데 주력했다. 이 시대의 오페라에서 우리는 음악의 신인 오르페우스를 비롯해 수많은 신들을 그리스 비극을 연상시키는 매우 '격조높은' 방식으로 만날 수 있다.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오르페오>
글룩의 오페라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체>
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율리시스의 귀환>
헨델의 오페라 <아치, 갈라테아와 폴리페모>

제2강[5월19일] 몰리에르와 프랑스 코메디 발레, 서정비극
프랑스 오페라에서는 발레와 합창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전체적으로 '볼거리'를 중시하는 프랑스 사람들의 취향을 반영한 것이다. 륄리는 프랑스 그랜드 오페라의 창시자로 프랑스 궁정에서 루이 14세의 총애를 받으며 활동했다. 그는 극작가 몰리에르와 손잡고 코메디 발레라는 새로운 양식을 만들었으며, 프랑스적인 오페라 양식인 서정비극의 탄생에도 기여했다. 역시 프랑스 궁정에서 활동했던 라모는 륄리에 의해 확립된 프랑스 오페라를 더욱 발전시켰다. 프랑스 궁전을 중심으로 발달한 프랑스 오페라는 "어쨌든 오페라는 보는 사람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프랑스 사람들의 생각을 반영하고 있다.

륄리의 서정비극 <카드뮈와 에르비온느>
륄리의 코메디 발레 <강제결혼>
라모의 서정비극 <카스트로와 플뤽스>
라모의 오페라 발레 <우아한 인도의 나라들> <북풍신의 아들>

제3강[5월26일]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에서 <오델로> <맥베드> <햄릿> <리어왕>를 4대 비극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4대 비극이 모두 오페라로 만들어졌다. 오페라의 대가인 베르디는 <맥베드>와 <오델로>를 작곡했으며, <리어왕>을 작곡하다가 세상을 떠났다. 베르디의 <맥베드>와 <오델로>는 비극적인 소재를 음악으로 표현하는 데에 탁월했던 베르디의 역량이 유감없이 발휘된 걸작이다. 베르디의 오페라를 통해 셰익스피어 작품 속의 인물들은 더욱 강렬한 생명력을 얻게 되었다.

베르디의 오페라 <맥베드>
베르디의 오페라 <오델로>
토마의 오페라 <햄릿>
라이만의 오페라 <리어왕>

제4강[6월2일]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에서 작곡가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작품은 <로미오와 줄리엣>이다. 이 작품은 오페라뿐만 아니라 발레음악, 관현악곡, 성악곡, 심지어는 뮤지컬로도 만들어졌다. 이중 구노의 오페라 <로미오와 줄리엣>과 벨리니의 오페라 <몬타규가와 캐플렛 가> 그리고 베를리오즈의 극적 교향곡 <로미오와 줄리엣>이 유명하다. 비록 남녀주인공의 죽음으로 끝나지만 전체적으로 무겁고 진지한 4대 비극과는 달리 <로미오와 줄리엣>은 달콤하고 낭만적인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래서 오페라에 나오는 음악도 4대 비극을 바탕으로 한 오페라와는 사뭇 다르다.

구노의 오페라 <로미오와 줄리엣>
벨리니의 오페라 <카플랫가와 몬타규가>
베를리오즈의 극적교향곡 <로미오와 줄리엣>

제5강[6월9일] 빅톨 위고의 <환락의 왕>과 <에르나니>
베르디는 프랑스의 문호 빅톨 위고의 <에르나니>와 <환락의 왕>을 오페라로 만들었다. 이중 <에르나니>는 극본이 엉성하다는 이유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환락의 왕>을 바탕으로 만든 오페라 <리골fp토>는 음악적으로 극적으로 베르디의 오페라 중에서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이다.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
베르디의 오페라 <에르나니>

제6강[6월16일] 괴테의 <파우스트>
독일의 문호 괴테의 <파우스트>는 여러 작곡가에 의해 오페라로 만들어졌다. 구노의 <파우스트>, 베를리오즈의 오페라 <파우스트의 영원한 형벌>, 보이토의 <메피스토펠레>, 부조니의 <파우스트 박사>가 모두 이 작품을 바탕으로 만든 오페라이다. 이렇게 원작은 같지만 전체적인 구성이나 내용 그리고 포커스를 두는 인물은 서로 다르다. 그 차이를 비교하며 듣는 것에서 오페라 감상의 색다른 묘미를 느낄 수 있다.

구노의 오페라 <파우스트>
베를리오즈의 극적 이야기 <파우스트의 영원한 형벌>
보이토의 오페라 <메피스토펠레>
부조니의 오페라 <파우스트 박사>

제7강[6월23일] 푸시킨의 작품과 러시아 오페라
러시아 작가 푸시킨은 러시아 오페라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다. 차이코프스키의 <에프게니 오네긴> <스페이드의 여왕> 무소그르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황금닭>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글린카의 <루슬란과 루드밀라> 다르고미즈스키의 <석상손님> 라흐마니노프의 <알레코>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러시아 오페라들이 모두 푸시킨의 작품에서 탄생했기 때문이다. 비록 한 사람이 쓴 것이지만 푸시킨은 작품은 내용이나 장르, 형식 면으로 참으로 놀라운 다양성을 보여준다. 러시아 오페라의 다양성은 바로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차이코프스키의 오페라 <에프게니 오네긴>
차이코프스키의 오페라 <스페이드의 여왕>
글린카의 오페라 <루슬란과 루드밀라>
무소르그스키의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
림스키 코르사코프의 오페라 <황금닭>

제8강[6월30일] 독일신화와 바그너의 음악극
<니벨룽의 반지>는 <니벨룽의 노래>라는 중세 독일의 민중 서사시를 기본으로 해서 여기에 북방 게르만 민족의 전래신화와 라인 지방에서 발생한 게르만 민족의 영웅신화, 중세 기사의 사랑과 도덕관념, 그리고 바그너 자신이 즐겨 다루던 여인의 헌신적인 사랑에 의한 구원의 모티브를 한데 합쳐서 만든 것이다. 전 작품의 공연에 모두 나흘이 걸리는 대작이다. 음악적으로 매우 놀라운 작품이지만 그 음악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 오페라를 보고 있으면 독일인이 아닌 사람은 마음이 불편해진다. 그 불편함은 과연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바그너의 음악극 <니벨룽의 반지>
제1부 <라인의 황금>
제2부 <발퀴레>
제3부 <지그프리트>
제4부 <신들의 황혼>

강의는 서울 강남구신사동 인문학습원 강남강의실에서 열리며 자세한 문의와 참가신청은 인문학습원 홈페이지 www.huschool.com전화 050-5609-5609 이메일master@huschool.com을 이용해주세요.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