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깊어가는 가을...전주에서의 1박2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깊어가는 가을...전주에서의 1박2일"

<알림>전주학교(교장 이두엽)...11월 강의 안내

그곳에 가면 잃어버린 무엇을 만날 수 있을 것 같은,
누구에게나 고향처럼 느껴지는...외할머니 품속 같은 곳.
바로 전주입니다.

깊어가는 가을, 전주학교가 11월 강의(제3강)를 준비합니다.
지난 6월 개교한 전주학교는 전주 한옥에서 1박 하면서 전주 한옥과 음식, 전주 소리와 한지 등 격조있는 공연과 명강, 체험을 통해 우리 전통의 깊은 맛과 멋을 체득하는 <움직이는 학교>입니다.

교장선생님엔 전주 출신의 이두엽 교수(군산대 겸임교수). KBS-TV 프로듀서를 거쳐 예원예술대 문화영상창업대학원장과 새전북신문 사장을 지낸, 이름난 문화기획자입니다.

▲ 그림을 클릭하면 슬라이드 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두엽 교수는 이렇게 말합니다.

전주는 시간이 천천히 흐르는 곳입니다.
누구에게나 고향 같은,
'고향지수'가 아주 높은 곳이지요.
나지막한 한옥 담장 햇살 가득한 골목길에서
오래전 잃은 '나'를 찾을 수 있는 곳입니다.

전주 막걸리를 마시면 네 번 취한다고 합니다.
첫번째는 흥(興)에 취하고,
두번째는 안주에 취하고,
세번째는 맛에 취하고,
네번째는 정(情)에 취한다는 뜻입니다.

막걸리뿐 아니라,
전주에 오시면 네 가지 취할 거리가 있습니다.
첫째, 그리운 한옥 골목길이요,
둘째, '간장(肝腸)의 썩은 눈물'을 토해낼 만큼 애절하고
'금새 숨이 탁 막히게 벌어지는 사랑놀이'처럼 흥미진진한,
옹골차고 푸진 우리 소리요,
셋째, 심성 고운 여인네들의 섬세한 손맛이요,
넷째, 천지만물에 깃든 한울을 공경하고 모시는
'전라도의 속깊은 마음'입니다.

<혼불>의 작가 최명희는
전주를 '꽃심의 땅'으로 불렀습니다.

꽃의 심(心),
무엇인가를 간절히 바라면서,
기운을 다해 '꼿꼿이' 버텨온 땅이 전주입니다.
동학혁명의 중심지역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민주자치기구인 집강소가 설치되었던,
자유와 평등의 '꽃'이 한때 피었던 곳입니다.

전주는 또한 전통문화의
법고창신(法古創新, 옛 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함)을
꿈꾸는 도시입니다.
전통문화는 우리들 삶을 든든하게 하는
'뿌리깊은 나무'와 같습니다.
전통문화는 또한, 우리들 마음을 너그럽게 적시는
'샘이 깊은 물'과도 같습니다.

그 동안 우리는 삶의 근본이 되는
전통문화를 잊고 살았습니다만,
힘겹게나마 이를
껴안고 지켜온 도시가,
바로 여러분이 사랑하는
천년의 도시 '전주'입니다.

전주는 바로 우리가 새롭게 발견해야 할,
'오래된 미래'입니다.
전주는 전라도의 특정한 지역이 아니라
전통문화도시의 '보통명사'입니다.

전주에서
우리 문화공동체의 미래를 생각하면서,
우리 한옥,
우리 한지,
우리 소리,
우리 음식,
우리 사상(思想)의 법고창신(法古創新)을 위하여,
전주학교를 엽니다.

마음 편히,
외할머니 품과도 같은,
전주로 오십시오.
전주는 비록,
많은 것이 '부족한' 지방도시이지만,
정성을 다하여 여러분을 맞겠습니다.


전주학교 11월 강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1월 14일 토요일 아침 7시30분 서울에서 출발합니다. (가을 단풍 행락철과 겹치므로 평소보다 30분 당겨 출발합니다. 아침식사 거르신 분들을 위해서 김밥과 식수가 준비돼있습니다. 7시 20분까지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백화점 옆 공영주차장, 유진여행사 경기76아 9111호에 탑승바랍니다.)

전주까지 가시는 동안 이두엽 교장선생님이 '전주, 재미있는 이야기 여러 편'을 서툰 유머를 섞어가면서 진행합니다. 일종의 전주 입문(入門) 과정인 셈이지요. 추사 김정희 선생과 창암 이삼만 선생에 얽힌 이야기를 통해서, 소박하고 편안한, '전주적인' 미의식에 대해서도 말씀드립니다.

여산휴게소에서 전주학교를 맞아주실 우석대 조법종 교수(한국사)는 고구려사 전공이지만 전통문화, 사상사, 인문지리에 두루 밝은 학자입니다. 조 교수의 해박한 전주 이야기를 들으며 곧 전주에 이르면 톨게이트의 한글현판 <전주>를 만납니다. 원광대 여태명 교수 작품으로 우리 미학(美學)의 핵심인 '기운생동'이 느껴지는, 초탈한 듯 거침없고 힘이 느껴지는 글씨입니다.

전주시 문화관광 바로보기->http://tour.jeonju.go.kr/open_content/main_page.jsp

첫번째 방문지인 전주향교는 조선유학의 손꼽는 중요한 기관이었습니다. 전주가 조선왕조의 발상지였기 때문입니다. 500년 넘은 은행나무와 대성전, 통이 큰 건물 명륜당이 빚어내는 '아우라'는 '천년 전주'로의 시간여행의 문(門)을 열어 줍니다. 향교 쪽에서 동고산성과 남고산성을 바라보면서 후백제 견훤왕에 얽힌 비화를 들어 봅니다.

이어 오목대로 향합니다. 오목대는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물리치고 개경으로 개선하던 조선 태조 이성계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전주에 들러 종친들을 모아 잔치를 벌인 곳입니다. 한옥마을이 내려다보이는 오목대 정자에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오종수 선생이 사설시조창 <완산10경>을 공연하십니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전주 미인(美人) 이은자 여사의 우시조 <나비야 청산가자>도 우리 옛 가락의 힘과 아름다움에 젖게 해드릴 겁니다.

점심식사는 비빔밥 전문점 고궁(古宮)박병학 부사장(40년 비빔밥 명인)이 직접 비빈 고급 육회 비빔밥입니다. 비빔밥은 화합과 상생(相生)의 철학을 바탕으로 머지않아 세계인의 음식이 될 것입니다.

▲ 전주 한옥마을 약도(그림을 클릭하면 원본 사이즈의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전주시

태조로(太祖路)를 내려오면서 한옥마을을 바라봅니다.
7백여 채의 '도시형 한옥'이 밀집하게 된 배경에는 전주사람들의 '자존심'이 있습니다. 일본인들이 들어와 서문 부근에 자리잡고 상권을 장악해가자, 이에 대한 반발로, 전주의 중산층들이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집을 짓고 모여 살기 시작한 것이지요.

전주 한옥마을 바로보기->http://hanok.jeonju.go.kr/

전주사람들의 기질을 '화이부동(和而不同)'으로 말합니다. 너그럽게 융합할 줄 알지만, 자신의 근본을 잃지 않는, '꼿꼿함' 같은 게 있습니다. 선조 재위 당시 정여립의 기축옥사 때 천명이 넘는 호남의 선비들이 처형을 당했습니다. 한마디로 씨를 말려버린 것이지요. 동학 때는 전북에서만 20만이 넘게 희생되었습니다. 화이부동의 기질이 만들어지게 된 역사이기도 합니다.

천년을 가는 세계적인 '명품' 전주한지는 그 동안의 오랜 잠에서 깨어나고 있고, 전주 합죽선과 전통가구, 전통악기, 옻칠공예 등도 소박하면서도 단아한 자태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검박하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않은(儉而不陋 華而不侈)' 전주의 미학은, 전통문화의 법고창신(法古創新, 옛 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잘 이야기해주고 있습니다.

전주한지 바로보기->http://hanji.jeonju.go.kr/

전주한지는 임실 등지의 질좋은 닥나무와 전주의 좋은 물이 함께 만들었습니다. '완판본'의 고장인 전주는 출판문화의 중심이었습니다. 전주는 완산(完山)이니 완판본은 곧 전주판본이지요. 한지가 있고 경제적 여유가 있었던 지역이었기에, 서민들이 완판본 <춘향전>이나 <심청전>을 사서 읽을 수 있었겠지요.

한옥마을 골목을 걸어 가까이 만나는 최명희문학관은 소설가인 김병룡 교수작가 최기우씨가 지키고 있습니다. 한옥마을에서 태어나 자란 고(故) 최명희(1947~1998)선생은 '생(生)을 다해' 대하소설 <혼불>을 썼습니다. <혼불>은 우리 민족어와 전라도 민중의 삶이 담겨진 거대한 '공동체문화의 보고'이기도 합니다.

최명희문학관 바로보기->http://www.jjhee.com/

다음은 경기전(慶基殿). 전주는 조선왕조의 발상지입니다. 경기전은 그 탯자리입니다. 조선조 서거정은 <공북루기(拱北樓記)>에서 '아조선근본지지(我朝鮮根本之地)'로 불러 전주를 '상서로운 곳'으로 높였습니다. 경기전에는 태조의 어진이 모셔져 있고, 임진왜란 때 유일하게 지켜낸 전주사고가 복원되어 있습니다. 경기전의 대나무 숲과 등 굽은 매화나무, 그리고 능소화는 전주시민의 마음을 여유롭게 합니다.

경기전 정문 앞에 자리 잡은 전동성당은 빼어난 건축미로도 유명하지만 비잔틴풍의 건축양식이 유입된 대표적 건물로 건축사적으로도 중요한 공간입니다. 전동성당은 유철종 전북대 명예교수(정치학)께서 맡아주십니다. 정년퇴임을 하신 후 '신앙문화해설사'로 보람있는 나날을 보내시는 유 교수께서는 60여 년 전인 유치원 때부터 이 성당을 다니셨습니다.

전동성당 바로보기->http://www.jeondong.or.kr/

천년고도 전주에는 4대문이 있었습니다. 1907년 조선통감부의 폐성령에 의해 3대문이 동시 철거되고 현재 유일하게 풍남문만 남아있습니다. 풍남문은 천주교 순교자들의 목이 효수되었던 곳이며, 동학혁명군이 전주성에 입성한 관문이기도 합니다.

천년의 역사를 지켜본 풍남문 건너에는 전주 남부시장이 있습니다. 1905년 설치된 남부시장은 호남의 물산이 집결되는 경제활동의 중심지였습니다. 원래 지방에 가면 재래시장을 둘러보는 재미가 있는 법입니다. 백화점이나 24시 편의점과 달리, 덤도 있고 에누리도 있고 사람 사는 정(情)도 있는 것이 재래시장이니까요.

학인당(學忍堂)은 99칸의 큰 집이었으나 지금은 본채와 뒷채만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한옥마을의 종가(宗家)역할을 늠름하게 해냅니다.

전주는 재력이 든든한 중인들이 많았고, 동학 혁명의 영향도 크고 해서, 조선후기 반상의 차별이 다른 지역보다 일찍 허물어진 곳입니다. 판소리와 같은 '문화'가 꽃핀 사회경제사적 배경이기도 하지요.

학인당의 본채는 방과 방 사이를 트고 확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백여명이 함께 앉아 판소리를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임방울, 박녹주, 김소희 선생 같은 분들의 공연이 열렸던 민족문화사의 '큰 마당' 이었던 곳입니다.

이어, 우석대학교에서 운영하는 한방문화센터에서는 각 개인의 체질감별을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태양인인지 소음인인지 컴퓨터프로그램을 통해서 알아보시고, 온몸이 개운해지는 족욕도 즐기시기 바랍니다.

전주는 대구와 더불어 약령시가 있었던 한의학의 본향입니다. 이 지역에는 한의대와 대체의학대학이 여럿 있어서 전주의 식품산업과 농업, 그리고 한방산업이 만나는 '불로초(不老草)산업'을 꿈꾸고 있습니다.

다시 한옥마을 쪽으로 들어오시면 이곳저곳 자유롭게 골목길을 걸어보시기 바랍니다. 한옥생활체험관이나 동락원 같은, 마당이 있는 한옥민박집도 둘러보시고, 한지체험을 할 수 있는 이지원(以紙園)이나 전통술박물관도 지척에 있습니다.

전통술박물관 바로보기->http://urisul.net/
자유 시간을 즐기신 다음, 저녁식사는 6시 30분 양반가에서 합니다. 원래 전주음식은 궁중음식과 연관이 깊어서, 남도음식에 비해 맵거나 짜지 않고 어느 면에서는 담백합니다.양반가의 한정식에는 전주음식의 좋은 '고집'이 있습니다. 특히, 꽃게장은 그 웅숭깊은 맛이 오래 오래 입 안을 감도는 '기분좋은 맛'입니다. 전주 음식과 전주 술에 대해서는 사단법인 전통문화 사랑모임의 이동엽 이사장께서 이야기해 주십니다.

저녁 식사 후에는 판소리와 가야금 병창, 대금연주들을 들으시면서 우리 음악, 우리 소리가 얼마나 사무치는지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판소리는 인간이 낼 수 있는 가장 크고 울림이 깊은 소리입니다. 주정수 교수의 가야금 병창으로 듣는 판소리 <호남가>나 <쑥대머리>, <사랑가>도 기막히지만 가을밤에 어울리는 청아한 대금소리로 귀를 씻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전주세계소리축제 총감독을 지낸 우석대 곽병창 교수는 전주가 왜 판소리의 본향이 되었는지를 구수한 입담으로 풀어내십니다. 음악 칼럼니스트이기도 한 사단법인 천년전주사랑모임(이사장 김명곤 前 문화부장관)의 이종민 상임이사(전북대 영문과 교수)는 전주가 전통문화도시로 발돋움해온 과정에서의 '시민사회의 역할'을 차근차근 짚어 주실 것입니다.

밤이 깊어지면 숙소인 풍남헌으로 이동합니다. 전주에는, 난초와 시와 술을 사랑하셨던 시조시인 고(故) 가람 이병기 선생이 사셨던 양사재나 동락원 같은 품격있는 한옥 민박집이 여러 곳에 있습니다.

전주막걸리가 생각나시는 분들은 부근에 있는 선술집으로 안내하겠습니다. 허름한 목노에서 옛 가요 하나쯤 부르시는 것도 괜찮지 않겠습니까? 우리 옛 가요, 특히 2절 가사에는 우리네 인생이 먹먹하게 녹아있습니다.

다음날인 15일 아침식사 시간. 벌들이 왱왱 날아들듯이 손님이 많은 왱이집 콩나물국밥은 전날 술을 많이 자신 분들에게 더 맛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주인 유대성(女)님의 전주 콩나물 이야기도 감칠 맛이 있습니다. 콩나물 국밥과 함께 모주(검은 설탕을 함께 넣고 끓인 막걸리)는 꼭 한 잔 하셔야 합니다. 알코올 도수는 높지 않으니 속풀이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식사를 마친 후, 한옥 마을에 있는 '지담(紙談)'에 들러 한지에 대한 공부를 합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집무실을 한지로 인테리어를 했던 예원예술대학교 한지문화연구소 차종순 교수유봉희 교수가 '한지의 미래'를 이야기 하고, 은은한 '빛'이 감도는 '한지 등(燈)'을 선보이겠습니다.

지담 바로보기->http://www.jidam.com/home.phtm
전주에서의 일정을 마무리하면서, '우리의 삶에서 전통문화는 무엇인가'를 화두로, 한옥체험관 김병수 관장 등 전문가들과 얘기를 나누는 시간도 갖겠습니다. 딱딱한 세미나 형식이 아니라 '전주식(式)'의 '땡기고 푸는' 방식이니, 무거워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점심은 금산사강증산 유적지로 향하는 길에 있는 '예촌'이라는 국수집에서 하겠습니다. 유명 호텔 주방장 출신의 주인은, 풍류(風流)를 아는, 국수에 미친 사람입니다.

금산사가 깃들어 있는 모악산(母岳山)은 '어머니의 품'과도 같은 산입니다. 동학사상과 증산사상의 모태가 된 신령한 산(山)이고, 21세기를 이끌어나갈 생명사상이 발원하는 땅이지요. 원광대 신순철 교수와 군산대 김성환 교수의 좋은 말씀이 있겠습니다.

금산사 바로보기->http://www.geumsansa.org/

일찍이 해월(海月) 최시형 선생은 부안에서 "이 땅에 새로운 문명의 꽃이 피리라"고 예언했습니다. 개벽과 상생의 문화지대인 전북지역이 훗날 전 세계인이 그리워하는 '꽃심의 땅'이 될 것을 예견했던 것이지요.

3시 조금 지나 서울로 출발하면 저녁 무렵에 도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르익은 가을의 깊어가는 햇살 따라 가벼운 '마실' 가듯이 전주학교로 오십시오.

이번 11월 참가 규모는 40명이며 참가신청과 문의는 www.huschool.com 또는 전화 050-5609-5609 이메일 master@huschool.com으로 해주세요.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