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정무위 간사인 박민식 의원은 신제윤 금융위원회 위원장에게 "관치금융이 논란이 된 것은 부산은행을 모태로 한 BS금융지주에 정부 지분이 전혀 없지만 금융감독원 조영제 부원장이 이장호 BS회장을 불러 사퇴를 종용했고 이후 이 회장이 물러나면서부터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당에 소속돼 있어 두 번 지적하지는 않겠다"면서 "이런 일이 두 번 다시 생기면 '눈가리고 아웅' 식이 된다. 무엇 때문에 그런 무리수를 두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그는 관치금융의 배후설을 제기했다. 그는 "솔직히 말해서 여기 있는 분들의 의사결정이 아니라고 본다"며 금융당국이 아닌, 그 윗선에서 이번 인사를 단행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여당에서는 미리 여러 차례 이렇게 무리하게 (인선을) 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했다"면서 "요즘 세상에 그렇게 무리수를 쓰는 경우가 어디 있는가"라고 질타했다.
조원진 의원은 실명을 언급하면서 청와대 배후설을 언급했다. 그는 "많은 기관이 밤을 새워가며 노력하고, 기득권을 내려놓으면서 일하는데 부산은행 한 건으로 끝났다"며 "(이번 인사 조치) 뒤에 있는 인사는 누구인가"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과 김용환 전 재무부 장관 등을 언급한 뒤 "(위에) 아무도 없는데 (금융당국이) 자발적으로 임기가 남은 회장을 물러나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에 대해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관치에도 좋은 관치가 있고 나쁜 관치가 있다고 했다"며 "지금 무엇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잘못된 인사가 정치를 관치금융 논리로 다 바꿔놓았다"며 "이 문제에 대해서 조사위원회를 만들어서 진상규명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기정 민주당 의원도 "(사퇴압력을 가한) 조영제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관치금융을 다시 도입하기 위한 돌격대"라며 "자신 뒤에 누가 있다는 자신감과 배짱이 있으니 (당사자가) 두 손들고 나간 게 아니겠느냐"고 배후설을 제기했다.
한편 청와대는 이같은 배후설을 극구 부인했다. 청와대 김행 대변인은 "허태열 실장은 '전혀 인사에 개입한 바 없고 아는 바 없다. 그런 얘기가 왜 나왔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