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공천 헌금 사태에 '경선 일정 거부'라는 초강수를 뒀던 비박(非朴·비박근혜)계 대선주자들이 결국 경선 보이콧 사흘 만에 꼬리를 내렸다. 유력 대선주자인 박근혜 후보를 향한 '선상반란'에서 별다른 소득없이 백기투항한 셈이다.
사흘째 '경선 보이콧'을 이어가던 김문수·김태호·임태희 등 비박계 후보들은 5일 저녁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박근혜·안상수 후보, 황우여 대표, 김수한 경선관리위원장과 함께 두 시간 가까이 '7인 연석회의'를 한 결과, 6일부터 경선 일정에 복귀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이에 따라 공천 헌금 사태가 불거진 지난 3일 밤 생방송 토론회가 무산된 것을 시작으로 5일 열린 '20대 정책토크'에도 박근혜·안상수 후보만 참여하는 등 '반쪽짜리'로 진행돼온 새누리당 경선이 6일부터 다시 정상화됐다. 복귀한 경선 후보들은 6일 오전 서울지역 합동연설회를 시작으로 남은 경선 일정을 이어가게 된다.
낮에 맹공 펼치다, 밤엔 전격 합의…비박계 얻은 것은?
가까스로 경선 복귀엔 합의했지만, 연일 박근혜 후보와 황우여 대표를 향해 공세를 퍼붓던 비박계 주자들이 이 같은 '반란'의 명분도, 실리도 잃었다는 평도 나온다.
비박계 후보들은 이날 오후 2시까지만 해도 "박근혜 후보가 경선을 오직 자신의 추대식으로 치르겠다는 생각만 가득하다"며 공세 수위를 높였고, "황우여 대표 사퇴는 최소한의 조치"라며 거듭 황 대표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의 '보이콧'엔 동참하지 않은 비박계 안상수 후보가 "공천 헌금이 사실로 판명날 경우, 박근혜 후보가 후보직을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도 공감의 뜻을 밝혔다.
그러나 황우여 대표의 공개 제안에 따라 열린 이날 연석회의에선 진상조사위원회 구성 외에 이들의 어떤 요구도 수용되지 않았다.
이들은 앞서 △황우여 대표 사퇴 △경선 일정 연기 △공천 과정 전반에 대한 진상조사 △공천 관련 자료 공개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등을 촉구했었다. 박 후보의 `책임론'도 함께 제기했었다.
그러나 이날 연석회의에선 각 후보가 추천하는 1인을 포함해 10명 이내로 중립적인 진상조사위를 꾸리는 방안만 합의됐고, 조사 범위도 현기환 의원·현영희 전 의원 관련 의혹으로 국한됐다.
황 대표에 대한 즉각적인 사퇴 요구도 "공천 비리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당이 책임질 일이 있다면 황 대표가 책임을 진다" 수준으로 마무리됐다.
검찰 수사에서 현기환 전 의원이 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날 경우, 황 대표가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것으로 처리된 셈이지만 공천 관련 책임을 황 대표에게 묻는 것에 대한 적절성 문제는 여전하다. 당시 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아 총선 전반을 책임졌던 박근혜 후보가 아니라 당시 원내대표를 맡았던 황우여 대표에게 사퇴를 압박하는 것은 박 후보에 대한 책임론을 전가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비박계, 사흘간의 반란…명분도, 실리도 잃어
애초 경선 보이콧의 명분이 부족했던 비박계가 보이콧을 풀고 '퇴로'를 만들기 위해 이날 합의했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후보등록 전 '경선 룰' 문제로 친박-비박간 격렬한 싸움이 벌어졌던 것처럼, 이번 보이콧 사태 역시 박근혜 후보의 독주를 깨기 위한 비박계의 '견제 싸움'이었다는 것이다.
결국 비박계 후보들의 불참으로 파행됐던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은 48시간 만에 정상화 됐지만, 사흘간의 '실력행사'에도 불구하고 명분도 실리도 얻지 못한 비박계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는 것이 당 안팎의 평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