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아름다운 음악의 뒷면에는 노동자의 피눈물이…"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아름다운 음악의 뒷면에는 노동자의 피눈물이…"

[불법 점유된 콜트‧콜텍 ·①] "'부평구 갈산동 421-1'에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콜트‧콜텍은 부평, 대전 쪽에 위치한 기타를 만드는 공장이다. 1973년 설립 후, 승승장구하던 이 회사는 2007년 7월 경영악화를 이유로 노동자들을 정리해고했다. 1년 뒤인 2008년엔 남아있는 국내공장을 모두 폐쇄하고 인도네시아, 중국 등 해외공장을 만든 상태다. 회사가 국내 공장을 폐쇄한 이유는 인건비와 노조 문제라고 한다. 그러나 콜트·콜텍은 세계 기타시장 30%를 점유하고 있다.

지난 2월 23일, 대법원은 정리해고가 무효라라며 노동자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회사는 5월 31일자로 또다시 2차 해고를 통보했다. 법도 소용없는 셈이다. 7월 23일자로 강제해고 2000일을 맞은 콜트‧콜텍 노동자들. 이런 그들을 돕고자 국내 문화예술가들은 7월 15일부터 인천 부평구의 비어 있는 콜트 공장을 점거해 '인천시 부평구 갈산동 421-1 콜트콜텍전시회'를 열고 있다. 30일로 전시회는 마무리됐다. 일명 '스쾃'이다.

입주작가는 성효숙, 전진경, 정윤희, 상덕, 황승미, 전시작가는 19명과 그룹 '빨간뻔데기', '약손을 가진 사람들'이다. 이들은 전시회 이후에도 지속해서 이곳에서 작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편집자>

콜트악기 농성장에 작업실을 마련하고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그동안 비정규직 투쟁이나 강정과 관계된 작업을 하기도 했지만 5년여 동안 2000일 동안 힘겹게 싸움을 이어가고 있는 노동자들을 보는 것은 고통스러운 일이었다.

게다가 이곳은 세상의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악기를 만드는 곳이 아니었던가. 세상의 전면에 보이는 아름다움의 뒷면에는 자본의 이익을 위한 공장폐쇄와 정리해고라는 그늘이 있었다. 직장폐쇄를 하며 널부러져 있는 공장에서 2층 관리실에 작업을 하기로 하고 제일먼저 한 작업은 콜트조합원 심자섭 씨과 함께 한 청소퍼포먼스, 그리고 단전, 단수된 곳에서 전기를 켜는 점화 퍼포먼스였다.

늘 집회신고하기 바쁜 방종운 지회장은 작업실에 와서 연대의 등을 같이 만들고 자료를 찾아줄 뿐 아니라 찾아온 작가들에게 강정에서 지원 온 매실을 타주기도 하신다. 콜텍 이인근지회장님의 종이작업, 콜밴 김경봉 씨의 등 만드는 솜씨는 일품이었다. 이동호 씨는 우리에게 물차를 제공하여 준다. 장석춘 씨는 용역이 들어왔을 때 앞장서 막아내고 우리의 임재춘 씨는 모두에게 식사를 제공하신다. 우리는 이렇게 자본과 다른 우리방식의 연대를 한다.

이곳에서 작업을 하며 사측에서 작업을 철거하고 작품을 훼손하는 일도 있었다. 단전, 단수된 상황에서 작품 활동을 하기도 쉽지 않아 처음에는 경비 직원들이 다 퇴근한 밤에야 나와서 밤샘작업을 하고, 아침에 돌아가기 전에 작업물을 다 숨겨놓으면서 작품을 준비하기도 하였다.

▲ 공장 내에 전시된 성효숙 작가의 '콜트악기공장에 스쾃 예술작업실을 열었어요'. ⓒ성효숙

벽에 그린 돌고래는 치유의 상징으로 제주 앞바다에서 보았던 돌고래다. 돌고래가 내는 음파에 치유받는 느낌이 분명히 들었고 이후에도 어디가 아플 때마다 그 돌고래들을 보면 나아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돌고래와 악기를 연주하는 노동자의 모습이 치유가 필요한 이 시대의 상징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돌고래가 있는 강정에도 걸개를 걸어놓았는데 강정이나 노동자가 모두 자본에 의한 권력이 평화를 방해하는 것이므로 평화를 위해 역으로 싸울 필요가 있었다.

16일 새벽에는 굴착기를 앞세운 용역들이 기습적으로 침탈했는데 그때에도 일부러 보란 듯이 작업을 진행했다. 신부님, 콜트·콜텍 조합원, 연대온 노동자들과 함께 모자에 그림그리기를 하였다.

낡은 작업화는 인근 4공단의 대우자동차와 현대 조합원들이 모아주었다. 작업화에 꽃을 다는 행위는 쌍용자동차 스물 두 분 생목숨의 죽음에 대한 진혼의 의미이다. 꽃을 함께 달기로 하고 참여자의 공간을 남겨두기로 한다.

그동안 기억의 저장고에 불을 밝힌다. 자본에 대한 싸움은 상처이지만 똑똑히 바라보고 서로 상처를 치유해 주며 그 치유는 사회적 지지와 함께 한다. 우리에게 희망은 각자의 방식대로 따로, 또 같이 하는 연대이다. 그 연대의 현장에 함께 만든 등을 걸기로 한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연대를 보며 처음에는 염주나 묵주같은 것이 떠오르기도 하였다. 때로 새로운 세상을 향한 염원, 부화하기 전 태어날 알이 연상되기도 하였다.

콜트 악기의 지명이기도 하며 이 전시의 제목이기도 한 '부평구 갈산동 421-1' 이 전시가 오픈하는 날, 모인 분들과 이 등에 촛불을 밝히고 현장 투어를 하였다. 이 등은 콜트악기 현실에 대한 염원만이 아니다. 100억을 주고 건물을 샀으니 25년간 악기를 만들며 한 곳에서 일한 노동자들은 얼마든지 내쫓을 수 있다는 이 현실 전체에 대한 예술의 경종이다. 단전, 단수도 5년째인 이곳, 노동자들이 2000일간 농성을 하고 있는 이곳에서마저 거리로 내쫓긴다면 이제 이 사회 산소는 희박할 것이다. 이 자본의 시대, 다음주 8월2일엔 새 사업주에 의한 공사에 관한 재판이 결정되는 날이라고 한다.

어디로 갈 것인가. 미물들도 깨어나 도량석이 시작되는 시간, 변환의 시기, 이제 새벽 세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