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자벌레의 완벽한 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자벌레의 완벽한 자

[해림 한정선의 천일우화(千一寓話)]<2>

승자독식의 신자유주의 시대. 무한경쟁과 이기주의라는 담론 속에 갇힌 우리들에게 세상은 배신과 암투가 판치는 비열한 느와르 영화일 뿐이다. 이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에게 우화(寓話)가 처세를 위한 단순한 교훈쯤으로 받아들이는 근거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와 조지 오웰에게 우화는 고도의 정치적 언술이자 풍자였으며, 대중을 설득하는 탁월한 수단이었다. 또 어떤 철학자와 사상가들에게는 다양한 가치를 논하는 비유적 수단이자 지혜의 보고(寶庫)였다.

<해림 한정선의 천일우화(千一寓話)]>는 우화의 사회성과 정치성을 복원하고자 한다. 부당하고 부패한 권력, 교활한 위정자, 맹목적인 대중들. 이 삼각동맹에 따끔한 풍자침을 한방 놓고자 한다. 또 갈등의 밭에 상생의 지혜라는 씨를 뿌리고, 아름답게 살고 있고 그렇게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의 바람과 감동을 민들레 꽃씨처럼 퍼뜨리고자 한다. 한정선
작가는 "얼음처럼 차갑고 냉정한 우화, 화톳불처럼 따뜻한 우화, 그리하여 '따뜻한 얼음'이라는 형용모순 같은 우화를 다양한 동식물이 등장하는 그림과 곁들어 연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정선 작가는 화가로서 한국미술협회 회원이다. 대한민국 전통미술대전 특선을 수상했으며 중국 심양 예술박람회에서 동상을 받았다. <천일우화>는 열흘에 한 번씩 발행될 예정이다. <편집자>

두 애벌레가 떡갈나무 잎에서 옥신각신했다. 마지막 남은 떡갈나무 두 잎을 두고 서로 자신의 밥이라고 우겼다. 말다툼 끝에, 두 애벌레는 자벌레를 불러 임자를 가려달라고 부탁했다.

"왜 자기 잎인지 산누에나방애벌레부터 말해봐."
떡갈나무 잎으로 기어온 자벌레가 두 애벌레를 번갈아 굽어보았다.

"난 이 잎에서 태어났어. 그러니 내 거야."
산누에나방애벌레가 단호하게 말했다.
"너보다 먼저 내가 이 떡갈나무에 살고 있었어."
콩덕나방애벌레도 물러서지 않았다.

"욕심 부리지 말고 나눠 먹어. 내가 재서 공평하게 나눠줄게."
자벌레의 말에 애벌레들이 마지못해 고개를 끄덕였다.
자벌레는 온몸을 활처럼 한껏 굽었다 펴는 동작으로 나뭇잎을 재어 나눴다.
콩독나방애벌레가 반대편 잎이 더 넓다며 털을 곤두세웠다.

"내 자는 도덕적으로 완벽해! 하지만 다시 잴게"
자벌레는 몸을 살짝 굽어서 나뭇잎을 잰 후 넓은 면을 재빨리 갉았다. 이번에는 산누에나방애벌레가 자기 잎이 훨씬 작다며 못마땅해 했다. 몇 번에 걸쳐 재고 갉았지만 두 면은 같아지지 않았다.

"잴 때마다 달라. 도대체 재는 기준이 뭐니."
두 애벌레가 눈을 부릅떴다.
"내 몸이 자야."
자벌레는 일직선으로 물구나무를 서 보였다.

자벌레에게 계속 갉아 먹힌 나뭇잎은 양 귀퉁이만 남았다. 크기를 맞춘다며 그것마저 갉던 자벌레가 잎맥 사이로 툭 굴렀다. 자벌레는 황급히 제 줄을 뽑아 다른 나무로 건너뛰려고 발버둥을 쳤다. 그러나 바람이 불어주지 않았고 거리도 너무 멀었다.

자벌레는 오도 가도 못한 채, 희미한 줄을 붙잡고 대롱거리고 있었고, 잎맥에 엎드린 두 애벌레의 입씨름은 끝날 줄 몰랐다.

숲을 맴돌던 까치가 떡갈나무 가지로 내려앉았다.

ⓒ한정선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