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문성근 대표대행 체제로 가되, 5월 4일 19대 당선자 대회를 열고 원내대표를 선출해, 선출된 원내대표 중심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고 박용진 대변인이 16일 자정 넘어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문성근 대행이 당분간 대표를 대행하지만 18일에 그치며, 새 원내대표 중심의 비대위도 새 당대표를 뽑는 6월 임시 전당대회까지 한달짜리 비대위로 결론났다. 사실상 한명숙 후임 체제를 놓고 갈등을 빚던 양 진영의 의견을 반반씩 절충한 셈이다.
이날 회의엔 사퇴한 한명숙, 박영선 최고위원을 제외한 선출직 최고위원 4명(문성근 박지원 이인영 김부겸), 지명직 최고위원 3명(이용득 남윤인순 김광진), 당연직 최고위원인 김진표 원내대표 등 8명이 참석했다.
이중 문성근 남윤인순 최고위원이 문성근 대행체제를 주장했고, 여기에 이인영 김부겸 최고위원도 동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박지원 최고위원은 일괄사퇴 및 비대위 체제로 전환을 주장해 맞섰다. 손학규 상임고문 등 일부 대선주자들도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민주통합당은 14일 저녁에도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최고위원회를 열고 '대표 권한 대행 체제'와 '지도부 총사퇴 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등 2가지 방안을 놓고 3시간여 동안 격론을 펼쳤다.
당권을 장악한 친노그룹은 당헌·당규에 따라 전당대회 차점자인 문성근 최고위원이 권한 대행을 맡아 임시 전당대회가 열릴 때까지 당을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박지원 최고위원 등 비당권파는 지도부 총사퇴 및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요구하며 갈등을 빚었다.
후임 지도부가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임시 전당대회와 대선후보 경선을 관리하게 되는 만큼, 당내 세력들이 주도권 경쟁이 불가피하기 때문.
▲ (왼쪽부터) 박지원 최고위원, 문성근 최고위원, 최근 대표직을 사임한 한명숙 전 대표. ⓒ뉴시스 |
이날 회의엔 대구에 머물고 있는 김부겸 최고위원을 제외한 선출·지명직 최고위원 전원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용식 등 일부 소장파들 "현 지도부 비대위에 참여해선 안돼" 지도부 내에서 뿐 아니라 당 내에서도 후속 지도체제에 대한 의견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이번 총선 실패 원인 중 가장 큰 것이 '리더십 부재'라는 분석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후임 지도부는 대선을 치러야한다는 점에서 그 비중이 더 커졌다. 이번 총선에서 역으로 상대편 박근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의 정치력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문용식, 김두수, 서양호, 조한기 등 이번 총선에 출마했다 경선에서 패배하거나 낙선한 486 인사들은 15일 성명을 내고 후임 지도체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이후 지도부 구성을 둘러싼 논란이 적극 개입하겠다는 의지 표명인 셈이다. 이들은 "이번 총선은 공천실패와 리더십 부재가 참패의 원인"이라면서 "현 지도부는 여당에 대한 전국민적 불신에도 불구하고 총선 참패의 결과를 가져온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한다. 이들이 얕은 꼼수로 책임을 모면하려 한다면 국민과 당원은 절대로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국민들이 민주통합당에 바라는 것은 여전히 혁신"이라며 후임 지도부 구성에 대한 세 가지 입장을 밝혔다. "첫째, 현 지도부는 총선패배의 책임을 지고 당헌당규에 따라 원칙대로 임시 지도부 구성을 진행하라. 둘째, 현 지도부는 민주통합당의 혁신을 바라는 국민들의 뜻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차기 지도부 구성에 참여해서는 안된다. 셋째, 임시 지도부는 혁신과 개혁을 바라는 당원들의 뜻을 받들어 공정한 전당대회 선거관리에만 전념하라." 이들은 마지막으로 "민주당의 혁신을 위한 투쟁, 기득권의 낡은 정치행태를 바로잡기 위한 투쟁을 지속적으로 벌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