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11일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직후, 국가정보원이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로 유입될 수 있다'는 국책 연구기관의 실험 결과 발표를 막았다는 주장이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한겨레>는 8일 "지난해 3월 국립환경과학원이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오는 방사성 물질의 확산 경로를 모델링해 보니, 저농도이지만 한반도로 날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사실을 알게 된 국가정보원에서 대외비로 하라고 해서 모델링 결과를 폐기했다"는 환경부 고위 관계자의 발언을 보도했다.
당시 정부, 특히 기상청은 편서풍 등의 이유를 들어 "한반도에는 방사성 물질이 오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해왔다. 한반도 상공에서는 시속 100~300km의 서풍이 불기 때문에 방사성 물질이 태평양으로 날아가 우리나라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것.
그러나 실제로 국립환경과학원의 모델링을 통해 나온 결과는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에 일부 온다는) 노르웨이 대기연구소의 분석결과와 비슷했다"는 것. 노르웨이 대기연구소는 대기가 기류 흐름에 따라 일본 도쿄 남쪽으로 내려갔다가 시계 방향으로 한반도 남해안으로 올라오는 결과를 내놓았다.
환경부 고위 관계자는 "국가정보원이 환경과학원에 전화를 걸어 '각 기관의 모델링 결과를 알아보고 있다'고 했고, 환경과학원은 결과를 알려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 뒤 국정원의 대외비 요청에 따라 모델링 결과는 폐기됐다는 것.
그는 "기상청이 한반도에는 방사성 물질이 전혀 오지 않는다고 한 것은 정부 부처로서 적절한 대응은 아니었다고 본다"며 "'저농도 방사능은 오지만 엑스선 사진을 찍은 것과 마찬가지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도'라고 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태도 때문에 정부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다"고 덧붙였다.
이석조 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당시 (우리 부서가) 대기확산 컴퓨터 예측모델인 하이스플릿(HYSPLIT)과 다른 모델들을 합친 모델을 개발해 방사성 물질 확산 예측을 했다"며 관련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국정원이 요청해서 폐기한 것은 아니고 내부적으로 참고하기 위해 만든 거라 자료를 남겨두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가정보원은 "국정원은 그런 보고서가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몰랐다"며 "대외비로 결정하라고 관여한 바가 없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