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세빛둥둥섬' 첫 행사가 '명품 모피쇼'…"특권섬 되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세빛둥둥섬' 첫 행사가 '명품 모피쇼'…"특권섬 되나"

"한강이 소수 부유층만 위한 공간이냐" 반발 확산

서울시가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로 만든 인공섬인 '세빛둥둥섬'의 첫 번째 공식 행사로 '한강 펜디 패션쇼(FENDI on HAN River)를 준비했지만, 모피쇼 논란에 휩싸였다. '모피쇼'도 문제지만 본질은 서울시의 전시 행정에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첫 행사로 굳이 해외 명품 브랜드 홍보 행사를 열었어야 했냐는 것.

17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디자인 서울'을 알리기 위한 행사로 6월 2일 세빛둥둥섬에서 이탈리아 명품브랜드 펜디의 가을·겨울 룩 40점 외 20여 점의 모피 한정 컬랙션을 선보이는 패션쇼를 개최할 예정이다.

펜디는 5년 만에 아시아에서 다시 패션쇼를 여는 셈이다. 이번 패션쇼는 전 세계 유명 인사 및 아시아 기자단, 한류스타 및 국내 문화, 예술, 패션계 인사 1200명이 초청됐다. 또한 온라인 프로모션을 통해 총 200명의 누리꾼 소셜 리포터가 선정되기도 했다.

세빛둥둥섬은 2006년 한 시민의 제안으로 시작된 것으로, 한강 위에 세 개의 인공섬을 조성해 컨벤션홀과 공연·전시 공간, 수상레포츠 지원 시설 등을 설치한 인공섬이다. 오는 21일, 전망공간 등에 대한 시민개방을 시작으로 9월엔 전면 개장한다.

▲ 오는 9월 전면개방하는 세빛둥둥섬 조망도. ⓒ서울시

서울시 vs 펜디…모피 둘러싸고 논란

2011년 3월부터 펜디와 서울시는 2011년 가을·겨울 컬렉션을 선보이는데 동의, 수개월간 관련 행사를 함께 준비해 왔다. 서울시는 지난 11일 보도자료를 내고 "아시아 대표 톱모델이 대거 참여해 컬렉션을 선보인다"며 "2007년 북경 만리장성 패션쇼 이후 대규모 범아시아 패션쇼인 만큼 전 세계에 디자인 도시 서울을 부각 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자랑했다.

그런데 펜디가 이번에 선보이는 20여 점의 모피 한정 컬렉션을 두고 동물사랑실천협회 등이 '동물학대'라고 항의에 나서면서 문제가 발생했다. 논란이 되자 서울시는 13일 펜디 측에 패션쇼에 모피관련 의상을 빼고 진행할 것을 요구하고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쇼를 취소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서울시는 트위터를 통해 '모피쇼'를 하지 않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펜디 측은 당황스럽다는 입장이다. 펜디 측은 "가을·겨울 콜렉션에 모피가 없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며 "이미 수개월 전부터 서울시 측과 콜렉션 개최를 위한 논의를 했고 합의한 바 있는데 이제와서 소수 의견에 휩쓸려 국제적 행사를 불과 2주 앞두고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민주당 "한강이 소수 특권층의 것인가? 서울시민의 것인가?"

서울시와 펜디 측은 16일 서울시 대변인실에서 협의를 거쳤지만 이렇다 할 결론은 내리지 못한 상황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프레시안>과의 전화통화에서 "서울시에서 강하게 모피쇼를 빼달라고 어필을 했지만 이를 펜디 측에서는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펜디의 입장이 완고한 가운데, 서울시에서 선택할 수 있는 폭은 한정돼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류경기 서울시 한강사업본부장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펜디 측에 모피를 뺀 패션쇼를 유도할 뿐 그 밖의 강압적인 압력은 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결국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강 펜디 패션쇼'는 계획대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모피쇼'도 문제지만 본질은 시민들을 위한 공간인 세빛둥둥섬이 '수익성' 추구에 따라 자칫 소수 부유층을 위한 공간으로 한정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의회 오승록 민주당 대변인은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세빛둥둥섬은 한강르네상스 사업의 일환으로 총 사업비 약 1000억 원 중 민간 업체가 700억 원을 들여 만든 인공 섬"이라며 "그렇다 보니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고급 행사, 즉 소수 특권층을 위한 사업을 열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주장했다. 인공섬 세빛둥둥섬 사업은 총 964억 원이 투입됐다. 이 중 공공성을 위해 SH공사가 29%의 지분을 참여했고 나머지는 효성 그룹 등 민간자본이 참여했다.

오 대변인은 "한강이라는 공간은 특권층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공공의 공간"이라며 "이에 수익성과 공공성 사이에서 서울시가 갈피를 못 잡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