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청와대는 14일 "(아리랑 TV 부사장 물망에 올랐던) K씨와 이백만 홍보수석은 개인적 관계가 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 무근"이라며 "이 수석이 K씨가 그 자리에 적임자라고 판단해서 (유 전 차관과) 업무 협의를 했을 따름"이라고 말했다.
"인사검증 가능한 곳은 청와대뿐…주무 수석이 협의한 게 문제냐"
<경향신문>은 이날 여당 핵심관계자의 전언 형식으로 "이해찬 전 총리가 물러난 뒤 저녁 자리에서 이 수석이 '아리랑TV 부사장 자리가 비었다고 하는데 생각이 있느냐'고 말해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당시 이 수석이 제안을 한 상대는 총리실 비서관 등을 지낸 고향 후배 김모 씨로 이 자리에는 김 씨 등 사퇴서를 제출한 총리실 일부 참모들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후배인 김 씨가 '해주면 좋죠'라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정태호 대변인은 "이백만 수석 이야기로는 그런 자리도 없었을 뿐더러 사적으로라도 그런 이야기가 오간 적이 없었다"며 "(K씨가 이 수석의) 동향 후배라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문제가 된 김 씨는 광주 출신인데 비해 이 수석은 전남 진도 출신이고 광주 지역의 다른 고등학교를 각각 졸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한 핵심 관계자는 "만약에 나하고 기자하고 같은 강원도 출신이면 다 고향 선후배냐"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업무 연관성이 있는 자리에 대해 청와대 수석이 의견을 개진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구체적 임명권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부분이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정부 산하 기관장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곳은 청와대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아리랑 TV 부사장의 인사권은 아리랑 TV 사장에게 있고 사장의 인사권은 문광부 장관에게 있다.
| 'K'는 누구고 'L'은 누구냐 청와대가 아리랑 TV 부사장과 한국영상자료원장 자리에 선임토록 문광부에 '압력'을 넣었다고 얘기되는 당사자 K씨와 L씨는 모두 이해찬 전 총리의 측근 인사다. 광주 대동고와 서울대를 졸업한 K씨는 1992년 민주당 이모 의원의 비서관을 시작으로 정계에 입문해, 1995년에는 노무현 대통령이 설립했던 지방자치실무연구소에 기획연구위원으로 참여했다. 그 뒤 K씨는 4·5대 서울시의원을 지내고 열린우리당 초대 중앙위원을 역임했지만 2002년 구청장 선거 및 2004년 총선 때 양천 지역에서 연거푸 고배를 마셨다. 그 뒤 이 전 총리와 함께 총리실로 들어와 총리실 메시지기획비서관 및 정무비서관을 지냈다. 이 당시 동향 선배이자 대학선배로 국정홍보처 차장을 지내고 있던 이백만 청와대 홍보수석과 '업무협조'가 잦았다는 것. 부산남고와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한 L씨는 여당의 실무기획통으로 이 전 총리의 공보수석 비서관을 지냈다. 이해찬 의원 보좌관 및 노무현 대선캠프 정세분석국장 등 기획 업무를 주로 맡았던 여당의 실무기획통. L씨 역시 4, 5대 서울 시의원을 지냈지만 2002년에는 이해찬 의원 보좌관으로 컴백해 열리우리당 창당 실무 간사를 맡았다. 그 뒤 L씨는 이 전 총리와 함께 총리실에 들어가 기획공보수석비서관을 지냈다. 다만 K씨의 경우 자신이 아리랑 TV 부사장 물망에 오른 사실을 알았다고 말한 데에 반해 L씨는 "한국영상자료원이 뭘 하는 곳인지도 모르고 그런 데는 오라 해도 안 간다, (원장 직에) 응모한 적도 없다"는 입장이다. |
점증하는 의혹…모습 숨긴 이백만·양정철
한편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유 전 차관에 대한 직무감찰에 산하기관 인사 부분도 포함되어 있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정 대변인은 "그 보도는 사실과 관계없는 것"이라고 부인했다.
또한 정 대변인은 "이백만 홍보수석이나 양정철 비서관이 직접 해명할 계획이 없냐"는 질문에 "여전히 없다"고만 답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홍보수석실의 한 관계자는 "두 사람이 나서지 않고 그 대신에 민정수석실에서 이 문제를 담당하기로 내부에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대통령도 이 문제를 보고 받았냐"는 질문에 "알 수 없다"고 답한 정 대변인은 한나라당의 국정조사 추진 움직임에 대해서는 "야당은 무분별한 정치공세보다 민생개혁법안 처리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 제 입장"이라고 쏘아붙였다.
그러나 청와대가 홍보수석실을 통해 아리랑 TV 부사장과 한국영상자료원장 자리에 '협의' 한 대상이 이해찬 전 총리의 공보수석과 비서관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는 등 양파껍질 벗기듯 의혹은 점증하고 있지만 청와대는 공식적으로는 '문제없다'는 태세로 일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일각에서는 이백만-양정철로 이어지는 홍보수석실에 근본적 문제가 있다는 불만도 조금씩 터져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