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구제역에 폭설, AI까지…'피눈물' 흘리는 농촌, 두번 죽이는 정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구제역에 폭설, AI까지…'피눈물' 흘리는 농촌, 두번 죽이는 정부

[김영호의 사자후]<39> 봄이 왔건만 농촌은 통곡하고 있다

지난 겨울 살을 에듯이 춥기도 했지만 눈도 엄청나게 많이 내렸다. 비닐하우스 작물이 얼어서 죽거나 폭설로 비닐하우스가 주저앉아 농사를 망쳤다. 겨울 내내 구제역이 번진다고 자식새끼처럼 애지중지 기르던 소, 돼지를 생매장하느라 지쳤는데 조류 인플루엔자까지 번져 닭, 오리를 산채로 파묻었다. 짐승조차 살기 어려운 땅이 되고 말았다. 그 농촌에 봄이 찾아 왔건만 무엇을 심어야 먹고 살지 막막하다. 지난해는 쌀농사가 흉작이었으나 쌀값이 오히려 떨어졌으니 벼농사를 지어야 할지 말지 망설여진다. 게다 땅속에 파묻은 가축사체의 핏물이 지하수에 베어나 물도 못 마실 판이 되지 않나싶어 걱정이 태산이다. 그런데 농촌, 농민을 하대하는 집권세력의 입놀림이 가슴을 미어지게 한다.

"채소 값 올라봐야…농촌에선 팔 게 없다"

요즈음 배추 값이 금값이라고 야단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봄에도 배추파동이 일어날 것같다. 작년 11월에만 해도 10kg(3포기)에 6500원까지 떨어졌던 배추 값이 최근에는 1만6500원으로 뛰었다. 개학과 더불어 학교급식 수요가 늘어나면 2만 원까지 오를 것이란 소리도 나돈다. 지난해 가을 배추파동이 일어나 농가마다 재배면적을 늘렸건만 이 꼴이다. 배추가 한파로 냉해를 입은 데다 폭설로 눈에 파묻혀 얼어 버리고 누렇게 썩었기 때문이다. 배추가 흉작인데 무, 상추, 양배추인들 성할 리 없다. 값이 아무리 올라봤자 농촌에는 아무 소용이 없다. 팔래도 팔 게 없으니 말이다.

국토해양부 자료에 따르면 4대강 하천부지 전체규모는 5425만3,000㎡이다. 이곳에 주로 감자, 참외, 오이, 수박, 토마토, 파, 배추, 무 등 밭작물을 재배해 인근도시에 팔았다. 그런데 4대강 사업을 한답시고 밭작물을 키우던 하천부지를 마구 파헤쳤다. 4대강 주변 농지에 준설토를 산더미처럼 쌓아 놓았으니 그 만큼 재배면적이 줄어들었다. 걸핏하면 배추파동, 채소파동이 일어나는 것은 다 그 때문이다. 신선 채소류는 저장성이 낮아 공급이 10%만 달려도 가격파동이 일어나기 마련이니 당연한 일이다. 하천부지에 엽채류, 근채류, 양념류를 길러서 먹고 살던 농민들이 농사를 지으려고 해도 땅이 없어졌으니 손을 놓을 판이다.

국제곡물가격이 작년 하반기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상기후로 인해 수확량이 감소한 탓이다. 지난해 국내 쌀농사도 흉년이 들었는데 오히려 쌀값이 떨어지는 추세다. 지난해 쌀 수확량이 폭풍, 호우, 일조량 부족으로 429만t에 불과했다. 이것은 1980년의 330만t 이후 가장 적은 물량이다. 그런데 쌀값이 하락세를 나타낸다. 쌀만 빼고 모든 생활물가가 뛰는 꼴이다. 재고미가 남아돌기 때문이다. 지난 1일 쌀 재고량은 150만9000t으로 1994년 이래 가장 많은 규모이다. 이것은 적정 재고량 72만t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것이다. 이러니 올해도 쌀농사를 지어봤자 쌀값을 제대로 받기는 틀렸다. 그래도 쌀농사 말고는 달리 지을 농사가 없으니 안타깝기만 하다.

구제역 재앙 '직격탄'…축산 기반의 붕괴 우려

구제역이란 날벼락이 내려친 농촌은 그 옛날의 그 곳이 아니다. 가축이란 가축은 떼죽음을 당해 옛 모습은 온 데 간 데 없고 삭막하기 그지없다. 구제역을 옮긴다고 주민들이 발길을 끊어 마을회관조차 설렁하다. 마을버스도 찾지 않는다. 최근까지 전국적으로 생매장한 가축수가 무려 339만3200마리나 된다. 소 15만 마리, 돼지 323만2000마리, 사슴 등 기타 1만1200마리다. 닭, 오리도 540만 마리나 언 땅에 파묻었다. 경기도의 경우 전체 돼지의 72%를 생매장했다. 1040개 농가가 키우던 돼지 165만3000마리를 산채로 땅에 묻은 것이다. 경기도내에서도 이천은 한우의 12.6%, 젖소의 25.1%, 돼지의 98.8%를 생매장했다. 단군 이래 최대의 구제역 재앙이다.

민주당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일 현재 가축 매장지가 전국적으로 4671곳이며 이 가운데 경기도가 2042곳, 강원도가 445곳으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 비닐 한두 장을 깔고 가축을 생매장하고 그나마도 제대로 처리하지 않은 곳이 많다. 당장 해빙기가 오면 가축의 사체가 썩으면서 생기는 가스의 압력으로 침출수가 새어나오고 악취가 풍기기 마련이다. 벌써 핏빛으로 물든 침출수가 흘러나오는 곳도 적지 않다. 비가 오면 매장지가 무너지고 핏물이 지하수로 스며들고 하천으로 흘러가 식수원을 오염시킬 게 뻔하다. 지하수를 식수로 쓰는 마을에서는 벌써부터 식수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의 자료를 보더라도 구제역 피해가 엄청나다. 당장 일자리 4만7000개가 사라질 판이다. 축산업은 3만1713개의 일자리가 없어질 만큼 직격탄을 맞았다. 그 타격은 연관산업에도 파급영향을 미쳐 도-소매 유통업 4487개, 볏집사료 3407개, 운송업 1501개, 사료업 1226개 등의 고용감소가 생긴다. 사육단계는 물론이고 사료생산-공급과 관련한 분야, 그리고 도축 이후의 유통단계에서 일자리가 무더기로 없어지는 것이다. 축산업의 생산감소에 따라 국민경제에 미치는 생산유발 감소액이 4조 원대에 이른다는 전망이다.

2009년 현재 축산업은 농림업 생산성의 38.3%를 차지한다. 그런데 종축마저 생매장해 버렸으니 축산기반의 붕괴가 우려된다. 돼지의 경우 전국 종돈장 22곳, 돼지인공수정센터 2곳에서 17만4800마리를 생매장했다. 씨가 마를 판이다. 1997년 3월 대만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해 축산기반이 거의 무너지다시피 했다. 전체 돼지사육두수 1068만 마리 가운데 40% 가까운 385만 마리를 생매장해 41조원 상당의 피해를 본 바 있다. 그 후 10년 이상 지났지만 대만은 아직도 축산기반이 회복되지 않고 있다. 대만의 사태가 남의 일이 아니다. 이런 실정인데 외국산 육류수입이 급증하면 축산기반의 회복은 불가능하다.

"구제역 파동 틈타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 대폭 늘어"

그런데 구제역 파동을 틈타서 미국산 육류수입이 급증하고 있다.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중 미국산 냉동 쇠고기가 1만580t, 5277만9,000달러 어치 수입됐다. 이것은 구제역 파동 직전인 작년 11월의 7505t에 비해 40.97%나 증가한 것이다. 또 미국산 돼지고기는 1만261t, 2628만달러 어치 수입됐다. 이것은 작년 11월의 4717t에 비해 무려 153.96%나 늘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산 쇠고기 수입실적이 미친소 반대 촛불시위 이후 처음으로 호주산을 제치고 1위로, 돼지고기도 미국산이 캐나다산을 밀어내고 1위로 올라섰다.

식량자급률이 25%수준인데 축산기반마저 붕괴위기에 처해 있다. 이런 상황인데 아무런 농업대책도 없이 이명박 정권은 전방위 FTA(자유무역협정)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곡물과 육류를 포함해 세계최대의 식량수출국이다. 프랑스, 독일, 영국은 공업국이기 이전에 농업국이다. 호주도 대표적인 농업-축산국이다. 미국과는 FTA 재협상까지 끝내고 양국의 국회비준을 남겨놓고 있다. 유럽의회는 지난 2월 17일 한-유럽연합 FTA 동의안을 처리했다. 호주와는 빠른 시일내에 FTA를 타결한다고 양국이 이미 합의한 상태다. 한-미, 한-유럽연합, 한-호주 FTA가 체결되면 값싼 수입 농축산물에 밀려 한국농업은 고사위기에 처할 게 너무나 자명하다.

집권세력의 천박한 농업관…정부의 책임은?

그런데 집권세력의 입놀림이 가관이다.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과학적 근거도 없이 구제역을 베트남에 다녀온 농민 탓으로 돌렸다. 한나라당 구제역대책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정운천 최고위원은 침출수를 아무 것도 아니라는 듯이 퇴비로 활용하면 된다고 내뱉었다. 그는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으로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확대에 앞장섰던 인사이다. 침출수는 가축사체의 썩은 물에다 석회, 살균제, 진정제, 병원균이 뒤범벅되어 독성물질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고 하는 말인지 모르겠다.

우리나라처럼 좁은 국토에서는 축산업은 장려할 산업이 아니라는 것이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말이다. 세계최대의 돼지고기 수출국인 덴마크의 면적은 한반도의 1/5 밖에 안 된다는 사실을 아는지 묻고 싶다. "다방농민이란 말이 있다. 모럴 헤저드(도덕적 해이)를 어떻게 할 것인가, 투자했더니 그 돈이 엉뚱한 데로 가더라" 한-미 FTA를 주도한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의 말이다. "경찰이 백날 도둑을 지키면 뭐하나? 집주인이 도둑 잡을 마음이 없다"며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농민의 도덕적 해이를 질타했다. 정부의 농업지원금을 말하는지 정부보상금을 말하는지 몰라도 자금집행에 문제가 있다면 그것을 바로 잡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 농민의 책임이 아니다.

정치적-경제적 강대국치고 농업국이 아닌 나라는 없다. 강대국들이 정부보조금을 통해 농업을 육성하는 이유는 식량을 다른 나라에 의존해서는 강대국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이 식량자급을 위해 농업발달에 매진하는 까닭도 바로 그것이다. 1989년 공산주의 붕괴의 근본원인도 식량난이었다. 식량자급률이 25%에 불과한 나라에서 식량은 남의 나라 농민에게 맡겨 수입해서 먹는 게 싸다고 떠벌린다. 집권세력이 농업포기-농민천시의 심각성을 망각하고 그 같은 발언의 무책임성을 예사로 아니 국가장래가 암울하다. 그들의 천박한 국가관-농업관에서 식량안보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을 찾아볼 수 없다. 그것도 이상기후로 인해 세계적 식량파동이 예고된 현실에서 말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