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262만여 마리 가축을 매몰하고 보상비만 2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구제역이 초동대응에 실패한 '인재(人災)'임이 공식 확인됐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25일 '구제역 확산 원인 및 전파 경로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최초 발병 단계에서 철저한 조사 및 대응이 이뤄졌더라면 재앙 단계로까지의 확산은 막을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했다.
검역원이 밝힌 구제역의 전국적 확산의 핵심 원인은 △경북 안동지역에서 구제역이 최초로 확인되기 전에 경기 파주지역 등으로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파된 점 △최초 발생농장의 신고 이후 지방자치단체 방역기관의 초기 대응이 미흡했던 점 △추운 날씨 등으로 방역이 어려웠던 점 등이다.
지난해 11월 23일 경북 안동 양돈단지에 있는 농가가 처음으로 구제역 의심 증상을 지자체에 신고했지만 지자체 간이 항체키트 검사가 음성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닷새 뒤 이 농가가 다시 구제역 의심 신고를 했고 검역원의 정밀검사 결과 29일에 양성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이미 농장 주변은 구제역 바이러스에 심각하게 오염된 뒤였다. 또한 사료 차량, 가축 출하차량, 수의사, 수정사 등의 왕래를 통해 구제역 바이러스는 경기 북부와 인천, 강원, 경기 남부, 충청 지역 등으로 번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검역원은 안동에서 처음 구제역이 확인되기 전 이미 경기도 지역으로 퍼졌다고 밝혔다. 구제역 확진 10여 일 전인 17일에 발생 농장의 분뇨는 파주의 축산 분뇨 처리시설 업체에 의해 파주로 옮겨졌다. 26일에도 분뇨가 옮겨졌다.
이후 파주‧연천지역의 농장들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바이러스가 퍼졌고 이는 전국적 확산의 요인이 됐다. 지자체 방역 당국의 초기 판단 착오와 뒤늦은 방역이 구제역을 걷잡을 수 없이 확산시킨 것이다. 그야말로 '인재'였다.
하지만 검역원은 구제역이 처음 발병한 원인은 규명하지 못했다. 검역원은 "안동 돼지농장주 3명이 지난해 11월 초 베트남을 다녀온 것이 의심되지만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