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재능교육 양병무 사장, '행복한 논어 읽기'⑩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재능교육 양병무 사장, '행복한 논어 읽기'⑩

- 모든 답은 책에 있다 -

불여구지호학(不如丘之好學)

논어에서 다섯 번째 나오는 공야장(公冶長)편은 제자들에 대한 공자의 인물평이 진솔하게 묘사되어 있어 가히 인물평론집이라 해도 무방하다. 공자가 안회, 자공, 자로를 비롯한 10여명의 제자들을 냉철하게 평가한 후 자신에 대해서 마지막으로 한 마디를 한다. 아마도 제자들은 스승이 자신들에 관해 하는 인물평을 들으면서 "선생님은 과연 어떤 분일까?" 하고 궁금해 했을지 모른다. 아니 나름대로 스승에 대해 마음속으로 평가했을 법도 하다.

십실지읍 필유충신 여구자언 불여구지호학야
(十室之邑 必有忠信 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열 가구 정도의 작은 마을에도 반드시 나처럼 충직하고 신의를 중시하는 사람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만큼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공자는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충직과 신의임을 우선 내비치고 있다. 동시에 자신과 같이 생각하는 사람은 어디에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자신처럼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 즉 호학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공자가 배우기를 얼마나 좋아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공자에게 호학은 취미였고 기쁨이었다. 호학에 대한 열정과 자신감, 당당함이 넘쳐난다. 매사에 겸손한 공자이지만 호학하는 자세만큼은 양보할 수 없다는 결연한 자세가 매섭게 느껴진다.

불여구지호학(不如丘之好學). 여기에 나오는 구(丘)는 공자의 이름이다. 그러니까 구지호학이란 표현은 공자의 호학이란 의미이다. 공자가 설파한 호학의 자세는 지식사회에서는 더욱 강하게 요구되는 덕목이 아닐 수 없으니 공자의 선견지명에 탄복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면 오늘날 호학해야 할 사람은 누구일까? 먼저 대학교수는 호학하는 것을 자존심으로 삼아야 한다. 학문을 닦는데 추호의 게으름이 있어서는 곤란하다. 대학교수야말로 호학의 첨병이 돼야 한다. 대학교수는 자신만의 공간인 연구실이 있다. 공부하고 연구하는데 가장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어 어느 누구도 관여할 수 없는 신성불가침의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호학하는 자세는 대학교수에게만 요구되는 덕목이 될 수 없다. 초·중·고등학교 선생님을 비롯하여 가르치는 사명을 가진 사람들은 모두가 호학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교사를 평가하는 문제를 두고 선생님들 사이에서 반대의 목소리가 높다는 뉴스를 보면 마음이 아프다. 호학하는 선생님들에게는 평가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인정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호학하는 자세는 기업의 경영자들에게도 요구되는 덕목이다. 기업인이야말로 세계를 무대로 싸우는 무한경쟁의 전사들이다. 이들에게 배움은 실탄과도 같은 존재이다. 경영자들의 호학하는 태도는 책을 가까이 하는 데서도 찾아볼 수 있다. 성공한 경영자들의 공통점은 책을 친구처럼 생각한다는 사실이다. 이들은 본인이 책을 즐겨 읽을 뿐만 아니라 부하직원들에게도 책을 추천하고 책 읽기를 강조하고 있다.

아주그룹의 김재우 부회장(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은 호학하는 대표적인 경영자로 손꼽힌다. 그는 29세 삼성물산 초대 런던 지점장, 32세 사우디아라비아 1억불 수출 계약, 37세 삼성그룹 최연소 임원, 벽산그룹 부회장으로서 IMF외환위기 이후 1년 만에 워크아웃 탈출 등 경영계의 신화를 만든 사람이다.

그는 30대의 젊은이들에게 인생 선배로서 "물은 100도가 되어야 끓는다. 99도에서 멈추지 마라. 나는 100도로 끓도록 혼신의 열정을 쏟아 부었다"며 온 몸으로 젊음을 불태워서 도전하고 성취하라고 권면한다. 그러면서 책 읽기를 강력하게 추천한다. 생각의 틀을 확장하는 데 책 만한 매개체가 없는 까닭이다.

그는 한 달에 한 번씩 직원들에게 책을 추천하고 선물하면서 반드시 독후감을 쓰고 토론하도록 하고 있다. "처음에는 원고지에 적기조차 버거워하던 직원들이 차츰 책을 읽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데 익숙해졌고, 이젠 내가 일러 주는 책은 물론이고 스스로 책을 찾아나서는 사람들까지 생겼다"며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는 것도 습관임을 강조한다.

지식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기본자세는 호학이다. 호학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만약 배우기를 싫어하는 리더가 있다면 그는 리더이기를 포기한 것과 다름없다. 리더는 항상 구성원들에게 새로운 뉴스를 전할 수 있어야 한다. 레코드판처럼 똑같은 이야기만 반복해서는 직원들의 신뢰를 기대하기 어렵다. 직장인들도 똑같은 입장이다. 공부하는 게 몸에 배지 않으면 지식사회를 살아가는 것 자체가 힘들어진다.

샘물처럼 흘러나오는 뉴스와 지혜를 얻기 위해 호학하는 자세는 생명처럼 소중한 습관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다른 것은 몰라도 호학하는 자세만큼은 누구보다 자신 있다"고 담대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공자가 선포한 불여구지호학이 공자의 고백이 아니라 바로 자신의 신념이 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나만큼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는 불여구지호학(不如丘之好學)이 삶의 철학이 되도록 노력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