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촌지 거부 운동 누가 했나? 바로 전교조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촌지 거부 운동 누가 했나? 바로 전교조다"

[민주진보교육감 예비후보 연속 인터뷰] 이부영 서울시 교육위원

젊은 시절 품었던 꿈을 이루며 살아가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그리 많지 않을 게다. 이부영 서울시 교육위원은 이런 드문 경우에 속한다. 그가 청년 시절 품었던 꿈은 '섬마을 국어교사'. 그런데 그의 첫 부임지가 인천에서 배로 한 시간 반을 가야 하는 곳에 있는 경기도 대부중학교였다. 의외로 쉽게 꿈을 이룬 셈이다.

하지만 그의 두 번째 꿈은 그렇게 만만하지 않았다. 아이들에 대한 사랑이 오히려 걸림돌 취급당하는 교육 현실에서 그가 품었던 꿈은 '참교육'이었다. 이런 꿈을 함께 꾸었던 이들이 모인 곳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었고, 전교조는 그의 삶의 전부가 됐다. 그리고 그는 '전교조 이름을 걸고' 서울시 교육감 출마 선언을 했다. 아직 이루지 못한 '참교육'의 꿈을 이루기 위한 몸짓이다. 전교조 초대 수석부위원장, 서울지부장, 초대 합법 위원장을 지낸 이 위원을 지난 8일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선거 사무실에서 만났다.

"이명박 정부 심판 선거, '전교조 출신' 불리할 이유 없다"

- "전교조 출신은 교육감이 될 수 없다"는 논리가 진보 진영 안에서도 제법 힘을 얻고 있다.

동의할 수 없다. 진보 진영에서 누구를 후보로 내세우건, 보수 진영은 '전교조 후보'라는 꼬리표를 붙일 게다. 그리고 그 동안 보수 언론이 퍼부었던 흑색선전을 반복할 게다. 왜곡 보도와 편견이 두렵다고, 마냥 피해가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되면, 편견은 더욱 견고해진다. 어차피 피할 수 없는 싸움이라면, 조금이라도 일찍 시작하는 게 낫다. 나는 초대 합법 전교조 위원장이라는 경력을 전면에 내세울 생각이다.

더구나 이번 선거는 '이명박 정부 심판'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전교조가 현 정부의 교육정책에 정면으로 맞서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교조 출신'이라는 이력이 불리할 리 없다고 본다.

"전교조만의 교육감 되지는 않겠다"

- 전교조가 한국 교육에 남긴 공로를 부정하는 이는 드물다. 그러나 교육감은 지역 내 초·중등교육을 책임지는 자리다. 따라서 교육에 관한 이해관계자를 두루 아울러야 한다. 그런데 교사는 학생, 교사, 학부모 등 이른바 교육의 3주체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 그리고 전교조는 그 가운데서도 일부다. 당선 이후, '전교조만의 교육감'으로 비치면 곤란하지 않을까.

▲ ⓒ이부영 예비후보 제공.
물론이다. 전교조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행정을 이끈다는 것과 전교조만의 교육감이 된다는 것은 다른 의미다. 거듭 말하지만, 나는 전교조만의 교육감이 되지 않겠다.

다만, 전교조 활동 경험이 좋은 교육감이 되는데 결정적으로 유리한 요소라는 점은 분명히 하고 싶다. 7만 여 조합원을 이끈 리더십, 다양한 참교육 실천 사례를 접한 경험, 전교조 활동 속에서 쌓인 정책 역량 등은 교육행정가에게 든든한 자산이다. 여기에 더해 나는 지난 2006년부터 서울시 교육위원으로 활동하며 서울시 교육을 구석구석 살폈고, 대학원에서 교육행정도 공부했다. 서울시 교육감이 되기에 충분한 준비를 했다고 본다.

"교육비리, 최전선에서 싸워왔다"

- 다음 교육감이 누가 되건, 공정택 전 서울시 교육감이 남긴 숙제를 풀어야 할 게다. 바로 교육 비리다. 최근 드러난 인사 비리는 가히 충격적이다.

우리 교육에서 전교조가 중요한 이유 역시 그래서다. 창립 당시부터 전교조가 싸워왔던 게 바로 교육 비리다. 먼저 촌지 관행과 싸웠다. 그리고 일정한 성과를 거뒀다. 또 학교 안의 비민주적 문화를 바꾸기 위해 애썼다. 교육 비리는 권위적이고 불투명한 의사결정 구조에서 상당 부분 비롯된다. 교육 민주화는 비리 근절로 이어지는 지름길이다. 사립학교 비리와 가장 적극적으로 싸운 곳 역시 전교조다. 최근 드러난 비리는 전교조의 존재 이유를 다시 확인시켜 줬다.

전교조는 학교 현장에서 교장 등 관리자와 팽팽한 긴장관계를 형성해 왔다. 이런 긴장이 비리를 막는 방부제 역할을 했다. 그리고 전교조는 이런 관계 속에서 학교 관리자의 행태와 비리가 생기는 구조를 속속들이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내가 교육감이 됐을 때 비리 관행과 구조를 개혁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학생 관련 정책, 학생 의회에서 논의하도록"

- 교육감이 됐을 때, 하고 싶은 일이 많은 듯하다.

요즘 핀란드 교육에 관심을 가진 이들이 많은데, 나도 마찬가지다. 핀란드 교육 현장을 둘러봤을 때, 배울 점이 참 많이 눈에 띄었다. 특히 부러웠던 것 가운데 하나가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작은 학교들이었다. 학교가 작으니 교장이 아이들 각자의 특징을 잘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아이들의 특징에 어울리는 교육과정을 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서울처럼 학교 규모가 크면,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당장 학교 체제를 바꾸지는 못하더라도, 36학급짜리 학교를 9학급짜리 4개로 나눠서 운영하는 방식은 도입했으면 한다. 학교 안에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진 '작은 학교'들이 생겨나는 것이다.

다른 예비후보들과 마찬가지로 '친환경 무상급식' 역시 관심이 많다. 특히 '친환경'에 대해 좀 더 힘을 쏟을 생각이다. 이를테면 '지역먹을거리' 운동을 학교 급식에 도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는 교육복지뿐 아니라, 학생 건강권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학생 자치 활동을 지원하는데도 관심이 많다. 학교에서 민주주의를 몸에 익혀야 사회도 민주화 된다. 학생 의회를 만들고 싶다. 학교마다 학생회가 있고, 학생회 대표가 학생 의회에 모여 교육정책을 토론하는 것이다. 내가 교육감이 된다면, 학생 생활과 밀접한 영역에 대해서는 학생 대표가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

"진보교육감 두려워하는 MB"…"교육관료 역할은 '군림'이 아니라 '지원'"

- 서울교육청 비리 문제가 커지자 이명박 대통령은 교육감 권한을 줄이겠다고 했다.

한심한 일이다. 비리의 몸통인 공정택 전 교육감은 '리틀 이명박', '교육계 MB' 등으로 불렸던 사람이다. 청와대 역시 공 전 교육감의 현 정부 교육정책의 상징으로 취급했다. 그런데 비리가 드러나니까 교육감 권한을 축소한다니, 도무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이제 와서 교육감 권한을 줄이겠다고 하는 것은, 오는 6월 선거에서 당선될 진보 교육감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진보적인 교육행정이 펼쳐질 경우, 현 정부의 교육정책이 얼마나 해로웠는지가 그대로 드러날 것이기 때문이다.

- 교육 비리의 핵심은 인사 문제라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그렇다. 인사, 승진, 장학사 제도만 제 자리를 잡으면, 문제의 상당 부분이 풀린다. 현 제도의 문제점은 장학사가 본래 역할인 교육 지원에 전념하는 게 아니라 교사들 위에 군림하고 있다는 데 있다. 장학사와 교육관료, 학교 관리자는 '군림'이 아니라 '지원'이 자기 역할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들이 교사 위에 군림하고 있으니, 교사들은 수업 준비보다 행정 업무에 더 노력을 쏟게 된다. 승진에 대한 권한을 쥐고 있는 게 관리자들인데, 그들의 관심사는 수업이 아니라 행정이기 때문이다. 교육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이런 상황이 얼마나 이상한지를 쉽게 알 수 있다. 외국에선 대부분 교장도 수업을 한다. 교사와 아이들이 교장실에 쉽게 드나들고, 교장은 그들의 고민거리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말 그대로 지원자 역할에 충실한 것이다. 한국처럼 교장이 그저 군림하기만하는 나라는 흔치 않다.

아울러 인사 투명성 역시 중요한 문제다. 현행 인사 시스템은 한마디로 패밀리 구조다. 서로 형님, 아우하면서 끌어주고 밀어주는 구조라는 이야기다. 이런 구조에서 비리가 안 생기면 이상한 일이다. 이를 바로잡는 역할은 교장이나 장학사, 교육관료 출신에게서 기대하기 어렵다. 비슷한 문화를 공유하는 이들을 상대로 개혁을 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니 말이다. 평교사 출신, 학교 관리자와 긴장을 유지해 온 전교조 출신이 교육감이 돼야 하는 한 이유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