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80년대 회귀한 조·중·동 "지금은 촛불 진압할 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80년대 회귀한 조·중·동 "지금은 촛불 진압할 때"

"공권력 권위 세워라"…색깔론도 다시 등장

지날 주말 벌어진 이명박 정권 퇴진 시위에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가 일제히 경찰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경찰이 이번 시위에 무기력하게 대응했다"고 사실을 오도하며 질타하는가 하면 경찰에 의해 구속된 연행자들을 구속수사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들 신문은 하나같이 이들 시위대가 외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대운하 반대, 공기업 민영화 반대 등 이명박 정부 비판은 외면한 채 이들의 '도로 점거'만을 부각시켰다. '일부 반정부 좌파세력이 촛불시위를 정치집회로 선동했다'는 식의 주장으로 예의 '색깔론'도 내놨다.

또 이날 시위에서 가장 많이 들린 "조·중·동 폐간" 구호도 전달하지 않았다. 과연 이들 신문이 자신들에게 향하는 시민의 분노를 제대로 읽었는지 궁금하다.

"경찰은 무기력했다"? … <조선> 악의적 보도

<조선일보>는 지난 주말동안 경찰의 무력 진압은 외면하고 시위대 측의 도로 점거만 부각시키는 악의적인 기사를 냈다. 또 이들 시위대를 무력으로 강제 해산한 경찰을 두고 "경찰은 이들을 막지 못했다", "경찰은 이들을 방관했다"는 식의 표현으로 경찰을 질타했다. 향후 이어질 집회에서 보다 강력한 대응을 끌어내려는 보도다.

이 신문은 이날 1면에 게재한 "차도로 뛰어든 '촛불집회'", "시위대 '청와대로 가자'…법 사라진 '서울의 주말'" 등에서도 "주말 도심 도로가 무법천지를 방불케 하며 극심한 혼잡을 빚었으나 경찰은 이들을 막지 못했고 막으려는 강한 의지도 보이지 않았다"며 경찰의 강력한 대응을 주문했다.

또 이 신문은 공기업 민영화 반대 주장 역시 '괴담'으로 몰아갔다. <조선일보>는 3면 전체를 털어 "이번엔 공기업 민영화 괴담-'감기치료 10만원' '수돗물값 하루 14만원' 황당한 소문 퍼져"라는 기사를 냈다.

이 신문은 "외국의 사례를 보면 민영화 직후 초기에 발생하는 비용 때문에 공공요금이 오르는 경우는 있다"며 "하지만 요즘 나도는 소문은 근거가 부족하고 과장된 내용이 대부분이다"라며 공기업 민영화 이후의 공공요금 증가가 일시적 현상인 것처럼 오도하기도 했다.

"허용된 대응수단 아낌없이 활용해 공권력의 권위 세워라"

<중앙일보>도 이날 사설과 기사를 동원해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주문했다. 이 신문은 "촛불집회 17번만에 불법시위로 변질"이라는 기사에서 "이명박 정부는 불법에 대한 엄정한 법 적용을 강조해왔다"며 "그런만큼 이번 시위대에 대한 대응은 정부의 향후 법 집행 의지를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것"이라며 이번 시위에서 연행된 이들에 대한 구속 영장 발부를 촉구했다.

이 신문은 '시험대에 오른 새 정권의 법 집행 의지' 사설에서도 "이번 사건은 시위대의 불법행위를 입증하는 명백한 증거들이 많다"며 "법에 허용된 대응수단은 아낌없이 활용해 공권력의 권위를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신문은 "가뜩이나 미국산 쇠고기 문제를 두고 민심이 흉흉하다"며 "사법당국은 불법행위자 처벌과 아울러 이번 사태에 불온 세력이 개입했는지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또한 앞으로도 법과 원칙에 의거해 불법 시위에 강력히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아일보>도 이날 "누구를 위해 '청와대로 쳐들어가자'고 하는가" 사설에서 예의 '반정부 좌파세력'론을 폈다. 이 신문은 "집회에 반정부 좌파세력이 본격 가담하고 수백 명이 청와대로 쳐들어가겠다며 경찰에 맞서 새벽까지 수도 한복판에서 불법 시위를 벌인 것은 '표현의 자유' 범위를 넘어서는 일탈이다"라며 "특정 세력이 계획적으로 그런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했다.

이 신문은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불안이 아무리 크다 해도 취임 3개월 밖에 안됐고 불법 행위를 저지른 것도 아닌 대통령에 대해 탄핵과 하야를 외치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라며 "이들의 행동은 이 정부를 흔드는 효과는 있을지 몰라도 다수 국민이 바라는 경제 살리기, 그리고 국정 및 민생 안정에는 도움이 될 리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