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독도, 대마도, 일본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독도, 대마도, 일본

<삼국유사>에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한다. “신라 제8대 아달라왕 4년(157) 동해변에 연오랑·세오녀 부부가 살았다. 하루는 연오가 바닷가에서 해조(海藻)를 따고 있던 중 갑자기 바위가 연오를 싣고 일본(해 뜨는 곳)으로 건너갔다.(第八阿達羅王卽位四年丁酉, 東海濱, 有延烏郞, 細烏女, 夫婦而居 一日延烏歸海採藻, 忽有一巖[一云一魚], 負歸日本) 그 나라 사람들이 연오를 보고 비상한 사람으로 여겨 왕으로 삼았다. 세오는 남편 연오가 돌아오지 않자 찾아나섰다가 남편이 벗어 둔 신을 보고, 그 바위에 오르니 바위가 또 그녀를 일본으로 실어 갔다. 그 나라 사람들이 놀라 이 사실을 왕께 아뢰니 부부가 서로 만나 세오녀를 귀비로 삼았다. 이 때 신라에서는 해와 달이 빛을 잃었다. 일관(日官)이 아뢰기를 일월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가 버려 괴변이 생겼다고 하였다. 이에 국왕은 사자를 일본에 보내어 이들 부부를 찾게 되었다. 연오는 그들의 일본에 온 것은 하늘의 시킴임을 말하고, 세오가 짠 비단(細綃)으로 하늘에 제사하면 다시 일월이 밝아질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사자가 가지고 돌아온 그 비단을 모셔 놓고 제사를 드렸더니 해와 달이 옛날같이 다시 밝아졌다. 비단을 창고에 모셔 국보로 삼고 그 창고를 귀비고(貴妃庫)라 하였으며, 하늘에 제사 지내던 곳을 영일현(迎日縣) 또는 도기야(都祈野)라 하였다.”

이것이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일본이라는 지명이 나오는 글이다. ‘日本’이라는 말은 ‘해 뜨는 곳’이다. 신라에서 보았을 때 해 뜨는 곳이지, 지금 일본이라는 땅에서 보면 해 뜨는 곳은 태평양이다. 그러므로 일본이라는 이름 자체가 신라인들이 만들어준 나라 이름이다. 원래 신라에서는 일본을 나라로 인정한 것이 아니라 ‘해 돋는 쪽’ 사람들로 인식했을 뿐이다. 倭(왜)나라라는 표현이 조선시대까지 내려온 그들의 명칭이 맞다. 신라인들이 좋게 부르니까 그것이 좋아 저들의 국명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독도’를 일본어로 ‘다케시마’라고 한다. 이것 또한 우리말을 그대로 그들의 언어로 표현했을 뿐이다. 우리말의 ‘섬’이 일본으로 가면 ‘시마’가 된다. ‘곰’은 ‘구마’, ‘ᄯᅟᅥᆨ(ㅅ덕; 떡으로 고어)’이 일본으로 가면 ‘ㅅ더기’(스데키)가 되듯이, ‘ᄃᆞᆨ(獨)’이 일본으로 가서 ‘다ㄱ’이 되고, 그것과 섬(시마)가 어울리면 ‘다케시마’가 된다. 독도(돌섬 : 전라도 지방에서는 지금도 돌을 ‘독’이라 발음한다.)를 그들 식으로 발음한 것이 ‘다케시마’일 뿐이다. 독섬은 우리말 ‘돌섬’을 한자로 음차해 놓은 것이다. 혹 일본 고서에 독도를 송도(松島)라고 기록한 것이 있는데, 그것은 ‘홀섬(홀로섬)’의 ‘홀’이 구개음화현상으로 ‘솔’로 발음된 것을 무식한 일본인들이 ‘소나무섬’을 말하는 줄 알고 ‘松島’라고 한 것이다. 그런 구개음화는 우리말에서 ‘형님’을 ‘성님’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다케시마’라고 하든지, ‘송도’라고 하든지 모두 우리말을 그대로 가져다 쓴 것이라는 말에는 이의가 없다.

‘쓰시마’라는 섬이 있다. 이름하여 ‘대마도(對馬島)’라고 한다. 대마도는 선조 28년까지 우리나라에 조공을 바치던 우리나라 땅이다. 그 섬의 도주(島主) 평의지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6개월 전에 조선땅을 두루 다니면서 지리를 알고 갔던 이중첩자였다. 그래서 승승장구 한양까지 진격할 수 있었다. 쓰시마는 큰 섬 두 개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말 ‘두 섬(ㅅ두섬)’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다. 즉 ‘ㅅㄷㅜ시마(ᄯㅜ 시마)’가 쓰시마(對馬島)로 음차된 것이다. 언어로 볼 때 일본은 우리의 문화가 들어가서 이루어진 후진국이었다. 서양문물을 조금 일찍 받아들여 오늘의 일본이 되었을 뿐이다.

요즘 일본과 경제전쟁(?)이라는 용어를 쓰는 시대가 되었다. 전쟁을 하면 이겨야 한다. 전쟁은 반드시 이겨야 한다. 그러나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더욱 소중한 것이라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

/ 중부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