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창립 20주년을 앞두고 처음으로 실시하는 지도부 직선제 선거의 후보 등록을 7일 모두 마쳤다. 조합원 67만여 명이 유권자로 참여해 공직선거를 빼면 전국단위 선거 중 가장 큰 규모로, 첫 직선제 선거는 4파전으로 치러진다.
민주노총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만태)는 지난달 2일 선거 공고를 낸 데 이어, 지난 3일~7일 후보 등록을 실시한 결과 8기 지도부 후보로 총 네 선본이 등록했다.
이번 선거로 선출되는 임원은 위원장·수석부위원장·사무총장으로 3명이 러닝메이트 방식으로 출마하며, 이 중 1명 이상은 여성이어야 한다.
이날 후보 등록을 마친 네 팀(가나다 순)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위원장-전재환(전 금속연맹 위원장), 수석부위원장-윤택근(전 부산지역본부장), 사무총장-나순자(전 보건의료노조 위원장)△위원장-정용건(전 사무금융연맹 위원장), 수석부위원장-반명자(전 공무원노조 수석부위원장), 사무총장-이재웅(전 서울지역본부장)△위원장-한상균(전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장), 수석부위원장-최종진(전 서울지역본부장), 사무총장-이영주(전교조 수석부위원장)△위원장-허영구(전 민주노총 부위원장), 수석부위원장-김태인(전 금속연맹 아남반도체 위원장), 사무총장-신현창(전 한국GM부평비정규직 지회장)
이날 등록한 후보들은 8일부터 내달 2일까지 총 25일간 선거운동을 진행한다. 당장 8~9일로 예고된 전국노동자대회가 후보들의 본격적인 선거운동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투표는 현장 거점 투표, 현장 순회 투표, ARS 투표, 우편 투표(부재자의 경우) 등 총 4가지 방식으로 진행되며, 내달 3일부터 9일까지 총 일주일간 실시된다. 이에 앞서 오는 18일엔 부재자 투표가 진행된다.
우여곡절 끝 첫 직선제 선거, 노동운동 '돌파구' 되나
지도부 직선제는 민주노총의 오랜 숙원이지만, 논의만 무성했을 뿐 실제 시행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번 선거는 1995년 11월 민주노총 출범 후 처음으로 치러지는 직선제 선거로, 지금까지 민주노총은 16개 산별·연맹 조직의 대의원들이 투표권을 행사하는 간접 선거제를 유지해 왔다.
직선제 논의는 지난 1998년 2기 지도부인 이갑용 당시 위원장이 조직 내 민주주의 확장을 이유로 '임기 중 직선제 준비'를 선거 공약으로 내걸며 처음으로 시작됐다.
이후 3,4기 지도부에서도 직선제 논의가 이뤄졌지만 조직적 결정으로 발전하지 못하다가, 2007년 4월 대의원대회에서 공식 결정됐다. 이 결정 이후에도 준비 부족 등을 이유로 미뤄지다가, 지난해 1월이 되어서야 2014년 12월 직선제 선거가 확정됐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은 지난 8월부터 '직선제사업본부'를 설치해 본격적인 실무 작업에 들어갔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일단 투표율의 벽이다. 공직선거와 달리 민주노총 직선제는 50%의 투표율을 넘거야 한다. 노동조합법 16조에 따라 노동조합 임원 선거는 전체 조합원 과반수가 투표에 참여하고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해야 한다.
결국 1차 투표에서 50%의 투표율을 넘지 못하면 투표함을 열어보지도 못한 채 선거가 종료되는 셈이다.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상위 2개 선본이 결선 투표에 오른다.
일각에선 조합원 참여를 확대하려다 자칫 부정선거 등 공정성 시비로 조직의 신뢰에 타격을 입히지 않겠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신승철 위원장은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부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는 다 갖췄다"면서 "내 편이 당선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이 선거가 갖는 의미보다 앞서가면 안 될 것"이라고 했다.
김만태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이날 후보 등록 마감 후 담화문을 통해 "첫 직선제를 보다 공정하고 무결한 선거로 만들기 위해 하루하루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