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누가 르네상스를 두려워하랴"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누가 르네상스를 두려워하랴"

[알림] 미술사학교(교장 노성두) 올 가을학기 강의 안내

인문학 체험공동체인 인문학습원의 미술사학교(교장 노성두)가 올 가을학기 강의를 준비합니다. 노성두 교장선생님은 강의 제목을 <누가 르네상스를 두려워하랴>라 하고 "14-16세기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을 통해서 르네상스의 우주로 진입한다. 나로호는 실패했지만, 인문학까지 자폭할 수 없다. 미술의 문외한, 미술애호가, 미술 전공자, 미술전문가, 그리고 모든 세입자와 임대사업자들을 위한 본격 르네상스 강좌 8주"라고 메모해 보냈군요.

교장선생님은 서양미술사학자로, 독일 쾰른대 철학부 서양미술사, 고전고고학, 이탈리아 어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알베르티의 회화론> <바보배> <고전미술과 천번의 입맞춤> <성화의 미소> 등 70여권의 저서와 역서를 펴냈습니다.


노성두 교장선생님은 2009년 봄 <마술사학교를 열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미술이 어렵다고들 한다. 맞는 말이다. 미술이 쉽게 배울 수 있는 곳이 있다면 나는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전세금 빼서 갖다 바칠 용의가 있다. 학창 시절 지도교수님은 우리를 앉혀두고 이런 말씀을 하셨다.

"미술에도 문법이 있습니다. 구문론과 의미론도 있습니다. 공부를 하지 않고 미술을 감상한다는 것은 러시아어를 모르고 도스토예프스키를 읽으려는 것과 같습니다."

나의 논문을 지도하셨던 요아힘 가우스 교수는 독일 르네상스 화가 알브레히트 뒤러에 대해서 교수임용논문을 썼던 분이다. 독일은 박사학위를 한 다음에 십년 이상 연구에 매진해야 교수임용논문을 쓸 수 있다. 석사박사 할 것 없이 심지어 티브이 드라마나 무한도전에 나오는 탤런트라도 교수가 될 수 있는 우리나라와는 사정이 조금 다르다. 그런데 교수님은 수업시간에 이런 말씀을 하셨다.

"나는 알브레히트 뒤러의 동판화 <멜랑콜리아>에 대해서 임용논문을 썼습니다. 그 당시 나는 이 작품에 얽힌 모든 문제를 다 해결했노라고 자부했습니다.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지금, 나는 이 작품에 대해서 아무 것도 알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여러분들에게 부끄러운 마음으로 고백합니다."

그렇다. 미술이 쉽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나 역시 30년 가까이 서양미술사를 붙들고 씨름하고 있지만, 승산 없는 이 싸움은 끝이 보이지 않는다. 인문학이란 이런 것이다.

그러나 누구나 학자가 될 필요는 없다. 좋지도 않은 머리로 작품 해석에 골머리를 썩혀보았자, 인생만 남루해질 뿐이다. 그 살아 있는 증거가 바로 노성두이다. 학문으로서 미술의 역사를 공부해도 좋지만, 순수하게 즐기고 감상하기 위해서 미술과 친해지려는 것도 훌륭한 접근방식이다. 문학이론을 모두 섭렵해야 소설을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 집사람은 미술이 상식이고 교양이라고 한다. 나는 개인적으로는 철학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교양 없는 인간들의 철학 없는 사유와 상식 없는 사회가 얼마나 쉽게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는지 우리는 2009년 대한민국이라는 살아 있는 현장에서 하루가 무섭게 체험하고 있다.

물론 미술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는 없다. 때로 쓸모없고 부질없기조차 하다. 미술공부를 통해서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은 걸스카우트가 효도르와 격투기를 벌여서 1회 KO로 승리할 것이라는 믿음과 같다. 그보다 가능성이 더 적을 것이다.

그러나 미술의 역사가 꼭 링 안에서만 이루어지라는 법은 없다. 걸스카우트라도 링 밖에서는 효도르와 함께 참이슬을 곁들여 삼겹살을 먹거나 인사동 골목길의 입장료 안 받는 갤러리에 갈 수도 있지 않을까?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1/6,000,000,000의 사나이 효도르는 딸아이에게 앙증맞은 만화 주인공을 손수 그려주는 취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올 가을 강의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제1강[9월3일]
필리포 브루넬레스키 Filippo Brunelleschi (1377–1446)
로렌초 기베르티 Lorenzo Ghiberti (1381–1455)
도나텔로 Donatello (1386–1466)
루카 델라 롭비아 Luca della Robbia (1400-1481)

제2강[9월10일]
조토 Giotto (1266-1337)
프라 안젤리코 Fra Angelico (1387-1455)
얀 반 에이크 Jan van Eyck (um 1390–1441)
로히르 반 데르 베이던 Rogier van der Weyden (1399/1400–1464)

제3강[9월17일]
알베르티 Leon Battista Alberti (1404–1472)
파올로 우첼로 Paolo Uccello (1397-1475)
마사초 Masaccio (1401–1428)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Piero della Francesca (1416-1492)

제4강[9월24일]
조반니 벨리니 Giovanni Bellini (1430-1516)
베노초 고촐리 Benozzo Gozzoli (1420-1497)
안토넬로 다 메시나 Antonello da Messina (ca. 1430–1479)
베로키오 Andrea del Verrocchio (1436–1488)
브라만테 Donato Bramante (ca. 1444–1514)
보티첼리 Sandro Botticelli (1444/1445–1510)

제5강[10월1일]
안드레아 만테냐 Andrea Mantegna (1431–1506)
상갈로 Giuliano da Sangallo (1445–1516)
기를란다요 Domenico Ghirlandaio (1449–1494)
루카 시뇨렐리 Luca Signorelli (ca. 1450–1523)
레오나르도 다빈치 Leonardo da Vinci (1452–1519)

제6강[10월15일]
산소비노 Andrea Sansovino (1460–1529)
미켈란젤로 Michelangelo Buonarroti (1475–1564)
벤베누토 첼리니 Benvenuto Cellini (1500–1571)
페루지노 Pietro Perugino (ca. 1448–1523)
라파엘로 Raffael (1483–1520)
마르칸토니오 라이몬디 Marcantonio Raimondi (1480-1534)
코레조 Antonio da Correggio (1489–1534)

제7강[10월22일]
조르조네 Giorgione (ca. 1477–1510)
티치아노 Tiziano Vecellio (1473/1490-1576)
파르미자니노 Parmigianino (1503–1540)
틴토레토 Jacopo Tintoretto (1518–1594)
베로네세 Paolo Veronese (1528-1588)
엘 그레코 El Greco (1541-1614)

제8강[10월29일]
한스 홀바인 (대) Hans Holbein der Ältere (ca. 1465–1524)
뒤러 Albrecht Dürer (1471–1528)
루카스 크라나흐 Lucas Cranach der Ältere (1472–1553)
알트도르퍼 Albrecht Altdorfer (1480–1538)
루카스 반 데르 레이덴 Lucas van Leyden (1494–1533)
피테르 브뢰헬 Pieter Bruegel (1525/30-1569)

강의는 모두 8강으로 9월부터 매주 금요일 오후 7시, 서울 강남구 신사동 인문학습원 강남강의실에서 열립니다. 참가비는 20만원이며 자세한 문의와 참가신청은 인문학습원 홈페이지 www.huschool.com 전화 050-5609-5609 이메일master@huschool.com을 이용해주세요.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