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KBS) 이사회가 수신료를 1000원 인상하되 당초 논의되던 2TV의 광고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하자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가 발끈하고 나섰다. 종합편성채널 진출을 노리는 언론사들의 '밥그릇'에 금이 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까지 단단히 화가 났다.
<조선일보>는 22일 '수신료 올리고 광고도 계속하겠다는 KBS'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KBS 경영진이 수신료를 6500원으로 올리는 대신 2TV 광고를 없애겠다고 말해 온 것과는 완전히 다른 결정"이라고 비난했다.
이 신문은 "KBS는 수신료를 걷는 공영방송이면서도 매출에서 차지하는 광고 비중이 40%에 이르는 기형적 구조를 갖고 있다"면서 "KBS 2TV가 상업방송 채널과 다름없이 선정적인 오락프로그램과 막장 드라마를 내보내는 것도 광고를 유치하고 광고 수입을 유지하기 위한 측면이 크다"고 '막장' 시비까지 걸었다.
<조선일보>는 이와 함께 KBS의 구조조정 노력이 미흡함을 지적하면서 "KBS가 국민에게 수신료를 더 요구하려면 광고를 어떻게 줄이고 없앨 것인지 구체적인 일정부터 밝혀야 한다"고 광고 축소를 촉구했다.
<중앙일보> 사설 제목도 '명분도 염치도 안 보이는 KBS 수신료 인상안'이다. 이 신문은 KBS가 수신료 인상을 위해 광고를 줄여 독립성과 공정성을 제고하겠다고 밝힌 점을 강조하면서 "이번에는 수신료도 챙기고 광고도 그대로 내보내겠다고 선언했다"며 "공익성과 상업성을 넘나들며 손쉽게 국민의 주머니를 털고 제 잇속만 챙기겠다는 뜻 아닌가"라고 비난했다.
<동아일보> 역시 'KBS 개혁, 광고 없는 청정방송이 시청자 요구다'라는 직설적인 제목의 사설을 통해 "이번 2TV 광고 유지 결정은 KBS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미디어산업의 구조와 기능의 측면에서 봐야 한다"며 "KBS가 광고를 더 많이 따기 위해 상업방송과 시청률 경쟁이나 벌여서는 저질 논란에서 벗어나기 힘들다"고 단정했다.
이 신문은 더불어 'KBS 광고 전면 폐지'를 주장하면서 방송통신위원회에 "KBS 이사회의 3500원 안을 그대로 국회에 제출하지 말고 종합적이고 거시적인 검토를 거쳐 광고를 단계적으로 완전히 없애는 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조·중·동'과 함께 종편 진출을 노리는 <한국경제>의 사설은 더 솔직했다. 이 신문은 "(광고 축소·폐지 없는 수신료 인상은) 정부가 추진하는 미디어산업 발전 방향과도 역행한다"며 "정부는 수신료를 인상하는 대신 광고를 없애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수익기반을 확충함으로써 유료방송 시장 활성화와 미디어산업 빅뱅, 글로벌 미디어기업 육성을 꾀하는 데 주안점을 둬 왔다. 자칫 이 같은 정책구도가 흔들리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매일경제>는 사설 대신 A35면 '공영방송 KBS에 시청자만 봉'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번 인상안에 대한 일부 전문가들의 비판 의견을 중점적으로 전했다.
이와 같이 종편 준비 언론사들이 맹비난을 쏟아내는 것은 한정된 상태로 성장은커녕 축소되는 방송광고 시장을 감안할 때 KBS 2TV가 광고를 유지할 경우 종편 사업의 미래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이에 야권에서는 30년 동안 KBS 수신료가 동결돼 인상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종편 사업자들 먹이를 나눠주려고 KBS 수신료를 인상하려 한다"는 의구심이 끊이지 않았고, <한국경제>의 사설처럼 정부도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던 터였다.
네 신문 모두 KBS의 '방만한 경영(인력) 구조' 등에 대한 시비를 걸며 여론전을 벌일 태세여서 이날 발표되는 KBS 김인규 사장의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KBS 수신료가 전기요금에 합산돼 징수되는 통합징수방식이어서 '준조세'의 성격을 띠고 있어 국민들이 이번 1000원 인상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도 수신료 결정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