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눈을 감고 바랐지, 조금 다른 내일을…"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눈을 감고 바랐지, 조금 다른 내일을…"

[RevoluSong] 1984의 <회색비>

<프레시안>을 통해 창작곡 릴레이 발표 작업을 하자고 음악인들에게 제안하며 드렸던 부탁은 단지 저항의 노래를 만들어달라는 것은 아니었다. 현실이 우리를 아프게 하고 우리를 분노하게 한다면 그같은 현실을 슬퍼할 수도 있고 그같은 현실을 넘어서자고 다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마음의 파장은 그렇게 명료한 몇 가지의 감정으로만 정리되지 않는다. 부당한 현실에 대응하는 운동의 슬로건은 지극히 분명한 선언으로 명시화되겠지만 예술은 그런 것이 아니다. 예술은 부당한 현실에 의해 받은 상처와 아픔, 그리고 그 현실에 굴복할 수밖에 없는 자괴감과 패배까지를 모두 보듬어 안으며 비로소 존재한다. 또렷하게 현실의 문제를 지적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자고 우리는 해낼 수 있다고 말하지 않더라도 좋은 것은 예술이 현실을 포괄하는 지점이 많아질수록 우리의 현실과 자신의 모습을 더 깊이 들여다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금 많은 사람들은 이명박 대통령의 정치를 신물나게 싫어하고 그의 집권이 빨리 끝나기를 바라지만 결코 거리로 나오지는 못하고 있다. 그것이 단지 경찰의 탄압과 벌금 때문이라고 할지라도 이것이 현실이라면 예술은 우리의 분노와 좌절 사이를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아야 하지 않을까. 슬픔을 말하고 좌절을 말하는 것은 패배를 인정하겠다는 뜻이 아니다. 그것은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현실을 거부하지 않고 또렷하게 응시하겠다는 더 큰 용기이며 정직이다.

여성포크듀오 1984의 노래 <회색비>는 바로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자 하는 진실한 마음이 돋보이는 노래이다. 노래 속 화자는 하루를 다 보내고 방에 누워 달콤한 휴식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혼자 있는 새벽은 자신을 둘러싼 현실을 냉정하게 마주하는 시간. 화자는 결국 지금 자신이 마주하고 있는 어떤 고달픔과 답답함이 거부할 수 없는 현실임을 다시 한번 인정하고 있다. 아무리 혼자 있는 시간이 달콤하다해도 자신에게 주어진 현실은 결코 순식간에 뒤바꿀 수 없는 사실로 존재하고 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 현실은 누군가에게는 현 정부의 가혹한 통치일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불안한 일자리일 수 있으며 또 누군가에게는 지극히 사적인 문제일 수도 있다. 어쩌면 이 모든 것일 수 있을 그 현실 앞에서 화자는 다시 희망과 꿈과 사랑을 되뇌여본다. 하지만 그것은 잘될 거라고 꿈을 잃지 말자고 사랑하자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희망 그 자체에 대해, 꿈 그 자체에 대해, 사랑 그 자체에 대해 되묻는 것이다. 어쩌면 절망과 낙관의 사이까지 고민을 밀고 가는 듯한 이같은 태도는 현실을 담담하게 인정하는 태도와 맞물려 오히려 더 진지하고 깊이있게 고민하고자 하는 마음이 느껴진다. 흡사 오윤의 판화 <검은 새>에서 어둠 속 또렷하게 눈을 뜨고 시대를 응시하고 있던 검은 새처럼 단단하지는 않더라도 그 엄정한 직시의 결기는 그리 다르지 않은 것이다.



<회색비>

작사 김정민
작곡 1984

오늘 하루도 꿈인듯
달콤한 위로의 시간
하지만 새벽녘
내 작은 방에
홀로 누워

현실이구나
이곳이
현실이구나
지금이

현실이구나
이곳이
현실이구나
지금이

눈을 감고서 바랬지
조금은 다른 내일을
달랐지 그저
달랐지 그저

현실이구나
오늘이
현실이구나
지금이

현실이구나
오늘이
현실이구나
지금이

아 아 아
아 아 아

희망 희망 희망 희망
꿈 꿈 꿈 꿈
사랑 사랑 사랑

이 노래를 부른 1984는 1984년생인 김정민과 오수경으로 구성된 여성포크듀오로서 지난 4월 [청춘집중]이라는 EP를 냈다. 올해 나이 스물 여섯, 대학을 마치고 사회에 적응하기 시작한지 채 몇 년이 되지 않은 이들에게 현실의 엄중함은 더 크게 느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직접 가사를 쓰고 노래를 부른 김정민은 "요즈음 들어 문득 사람들도 즐겁지 않구나 하는 생각에 더 슬플 때가 있다"고 했다. "1984년생인 스물 여섯에 사회에 노동자로 진입하는 시기가 되다 보니, 회사를 다니며 먹고 사는 일에 현실적으로 마주하다 보니" 더 그렇다는 것. "사는게 보통 일이 아니더라"고 고백하는 그녀는 그러나 "먹고 살고 삶을 지속시키는 일상의 문제들을 직면하면서 삶과 사회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를 자꾸 잊게 되는 망각의 경험이 독이 아닌 약이라는 생각까지 든다"고 했다. 하지만 그녀의 선택은 "그 약을 처방받지 않고 차라리 아프게 살고 싶"다는 것. 그처럼 힘들지만 정직한 길을 선택했기에 아마도 <회색비>같은 노래가 나올 수 있지 않았을까?

▲ 여성포크듀요 1984. ⓒ1984
굳이 그 설명을 듣지 않더라도 우리는 사회 초년병으로서, 그리고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한 사람의 예술가로서 정직하고 진실하고자 하는 마음을 금세 느낄 수 있다. 그저 건반 반주 하나만을 타고 흘러가는 그녀의 목소리는 자신에게 속삭이듯 떨리는 느낌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노래를 빼어나게 잘한다고 할 수 없을지는 몰라도 고백처럼 진심이 느껴지는 보컬은 듣는 이의 마음을 금세 감응시킨다. 특히 "현실이구나 이 곳이 현실이구나 지금이"라고 말하는 노래의 후렴구는 명료한 멜로디로 남아 자꾸 따라부르게 되는 매력이 있다.

분명 지금 우리의 현실은 화창하게 갠 날씨라고는 말할 수 없을 날씨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회색비가 내리는 날씨를 모른 채 눈 감고 귀 막을 수도 없을 것이다. 어쩌면 현실을 그대로 인정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변화의 출발일지도 모른다. 이 노래의 가치는 바로 그같은 사실을 일러주는 것일지도 모른다. 1984 역시 이 노래가 요즈음 정권과 인생에 있어 쉽지 않은 시간들로 인해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위안이 되었으면 한다고 했다. 마음이 겨울일 때 곁에서 들리는 희망의 노랫소리가 되기를 바란다는 것. 이 노래는 1984의 인터넷 클럽(☞바로 가기)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홍대 앞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장르의 뮤지션들이 2009년 대한민국의 현실을 음악으로 표현한다. 매주 화, 목요일 <프레시안>을 통해서 발표될 이번 릴레이 음악 발표를 통해서 독자들은 당대 뮤지션의 날카로운 비판을 최고의 음악으로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기사 : "다시 음악으로 희망을 쏘아 올리다") <편집자>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