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로부터 뜨거운 반응을 얻은 이 연재는 <낮은 한의학>(사이언스북스 펴냄) 책으로도 묶여, 시민과 소통하려는 한의사 사이에서는 필독서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관련 기사 : 정조 독살은 헛소리! 홍삼의 불편한 진실!) 이상곤 원장은 '낮은 한의학' 시즌 2에서는 조선 왕의 건강에 초점을 맞출 예정입니다.
이상곤 원장이 조선 왕의 건강에 초점을 맞춘 이유는, 당시 왕들의 모습이 오늘날 현대인의 그것과 아주 흡사하기 때문입니다. 왕들은 산해진미를 섭취하였지만 격무와 스트레스, 만성 운동 부족 등으로 건강 상태는 엉망이었습니다. 이 원장은 "왜 왕처럼 살면 죽는지를 살펴보면 자연스럽게 현대인의 바람직한 건강 관리법을 알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번 연재의 주인공은 조선사에서 가장 문제적 인물은 광해군입니다. 극단의 평가를 받는 광해군, 과연 그의 심신의 건강은 어땠을까요? (☞관련 기사 : 광해군의 건강학 ① 전쟁 후유증을 여색으로 치료? 로맨티스트는 없었다!)
지난 연재에서 살폈듯이, 광해군은 각종 약재와 섭생으로 몸을 돌보는 대신 무속에 집착함으로써 건강을 회복할 기회를 잃었다. 당시 성리학을 신봉하는 사대부들은 푸닥거리를 통해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유교에 대한 도전으로 여겼다. 무당이 유학의 성지인 한양 도성 안으로 들어오는 것조차 싫어했다.
근대 이전의 질병 치료는 병의 원인과 본질을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결정됐다. 질병을 신의 처벌로 여기면 죄를 회개해야 했고, 귀신이 들어 병이 생겼다고 보면 귀신을 쫓아야 했다. 비문명 세계에선 무속인이 곧 의사였다. 광해군이 오랜 질병으로 힘들어하던 즉위 3년의 기록을 보면 그가 무속에 얼마나 심취했는지 알 수 있다.
"이때 상(임금)이 유교의 가르침에 어긋나는 좌도(左道)에 심히 미혹했다. 명과학(命科學)과 점술에 능한 정사륜, 환속한 중 이응두 등이 궁중에 진출해 상을 모셨는데 총애를 한 몸에 받았고 신임이 두터웠다. 상은 한결 같이 조금이라도 움직일 일이 있으면 길흉이나 금기만 따지는 그들의 말만 들었다.
조회를 하러 정전으로 옮기는 일조차 이들의 말을 따랐다. 심지어 귀신을 섬기고 복을 비는 일이라면 하지 않은 일이 없었다. 거처를 새 대궐로 옮길 때에는 매일 음사를 하느라 북소리 장구소리가 대궐 밖으로 흘러넘쳤다. 도성 백성들이 말하기를 죽어서 귀신이 되면 수라간의 음식을 실컷 먹겠다고 했다."
무속과 저주가 부른 병
왕비에 대한 기록은 무속과 더욱 밀접하다.
"상궁 김 씨(개시)가 왕비(폐비 유 씨)를 심하게 투기해 원수처럼 대했다. 그러다 궁중에 저주가 크게 일어나 흉악한 물건이 (왕비의) 침실에 가득했다. 왕비가 병이 들자 의원들은 사악한 귀신으로 인한 것이라고 했다."
총애를 받은 무당 복동의 기록은 광해군의 질병관을 엿볼 수 있는 또 다른 증거다.
"복동이 저주를 한 것 때문에 국문을 당하였는데, 궁에 들어가 저주한 물건을 파내고 기도를 하기에 이르러 오히려 왕에게 총애를 받았다. (…) 왕이 그에게 셀 수도 없는 수많은 상을 내리니 한 달 남짓 만에 권세가 조야를 흔들었다."
광해군 5년 대북파가 영창대군 및 반대파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일으킨 계축옥사와 이 사건을 배경으로 벌어진 '폐모살제'에도 무속과 저주가 난무했다. 선조의 정비인 의인왕후 박 씨가 소생 없이 죽고 계비인 인목대비가 영창대군을 낳자 광해군을 지지하는 대북과 영창대군을 지지하는 소북 사이에 왕위 계승 암투가 벌어졌다.
1607년(선조 40년) 겨울 선조가 앓아누웠을 때 궁중에선 선조의 와병이 죽은 의인왕후 박 씨의 탓이라는 소문들이 흘러나왔다. 기록에는 인목대비의 수하 나인들이 의인왕후가 묻힌 목릉으로 사람을 보내 주술을 거는 행동을 했다고 적고 있다. 의인왕후의 사촌 박동량은 저주와 관련해 실록에서 이렇게 증언했다.
"인목대비의 아버지 김제남의 사람들은 선조가 질병에 시달리게 된 이유를 의인왕후에게서 찾고 있다. 수십여 명이 요망한 무당들과 잇따라 목릉에 가 저주하는 일을 대대적으로 벌였다. (…) 이 일이 말할 수 없는 곳(인목대비)과 관련이 되어 있어 더 이상 따지지 못했다."
계축옥사 이후 즉위 7년, 광해군은 왜란으로 불탄 창경궁을 중건해 놓고도 "궁내의 대조전이 어둡고 유령이 나올 것 같다(幽暗不便)"며 가기를 꺼렸다. 도망가듯 다른 궁궐로 자주 옮겨 다니곤 했다. 이 때문인지 광해군은 새 궁궐을 짓는 데 국력을 낭비하며 백성들을 괴롭혔다.
급기야 광해군 9년 성균관 유생들은 전국 각도 유생들에게 돌린 통문에서 "인목대비가 의인왕후의 영혼을 저주했으며 영창대군을 왕위에 올리기 위해 여우 뼈와 목인을 궁중에 묻고 무당을 끌어들여 빌었다. 저주를 수년 동안 계속했고 닭, 개, 염소, 돼지 등의 온몸을 궁중에 던져 임금을 해치려 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인목대비를 옹호한 서인의 인조 반정이 성공한 이후 기록은 반대로 광해군을 공격하고 있다. "부왕의 무덤을 파헤치고 저주로 인목대비를 해치려 했으며 귀매(鬼魅)를 궁중으로 몰아넣어 질병을 퍼뜨리려 했다"는 것이다. 어느 쪽이 진실인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 온갖 주술이 총동원된 전대미문의 드라마가 펼쳐진 것만큼은 사실로 보인다.
▲ 드라마 <불의 여신 정이>에서 운명적 사랑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쾌남 광해군. 하지만 전쟁과 권력 투쟁의 틈바구니 속에서 거의 실제 심신 상태는 정상이 아니었다. ⓒMBC |
질병관(觀)은 어떤 의학 체계에서든 치료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조선의 의료 체계에서 유학과 무속은 나름의 치유 체계를 갖고 있었다. 유학은 구체적인 몸의 치유 문제를 마음과 결합시키고 경건하게 마음을 닦는 수양론에 집중했다. 무속은 인간의 감정을 의례를 통해 안심시키면서 감정을 달래주는 측면이 강했다. 전자가 요즘 말로 '힐링'이라면 후자는 위약(僞藥) 효과, 즉 플라시보 효과에 비유된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광해군의 질병관이 무속에 경도된 데는 이유가 있어 보인다. 형제 간의 왕위 쟁탈전과 불가항력적으로 일어난 임진왜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가 겪은 심신의 피로와 고통은 의약이 쉽게 치유할 수 없는 영역에 있었다.
어떻게 보면 자신에게 가해진 엄청난 심적 부담을 힐링과 마인드컨트롤로 극복하려고 발버둥친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서인들과 인목대비가 보내는 노골적인 질시와 저주는 왕위에 오른 후에도 그를 공포와 불안으로 몰아넣었을 터. 그의 병은 갈수록 깊어만 갔다. (계속)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