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 대한 중국 관영 언론의 보도가 눈길을 끈다.
중국 당국의 입장을 사실상 대변하는 언론들은 이명박 대통령에게 남북관계 개선을 당부하는 원자바오(溫家寶) 총리의 말을 전하면서도 보다 직접적으로 남북관계의 진전을 촉구했다.
이명박 정부의 주도적 노력 필요성에 방점
<신화통신>은 10일 원자바오 총리가 이 대통령을 만나 최근 남북 당국간의 접촉과 인도주의적 협력을 언급하며 남북관계의 개선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움직임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원 총리는 또 중국은 그에 대한 한국의 적극적인 노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원 총리는 이 같은 발언은 한·중·일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한 것과 맥락은 같지만 공개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실제로 한국의 역할이 훌륭했다기보다는 앞으로 그렇게 해 달라는 말을 외교적으로 돌려 말한 것이라는 평가다.
지난 4~6일 북한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난 원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북측은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희망했을 뿐 아니라 일본, 한국과도 (관계를) 개선하려 한다고 했다. 이번 방북에서 얻은 가장 큰 느낌이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또 "우리는 북미 사이에 진지하고 건설적인 대화를 하는 것을 지지하고 북일과 북남 사이의 접촉 강화를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신화통신>은 이어 "중국은 남북한의 조상이 같고 민족이 같으며 화해·협력의 흐름이 있었고 그것이 양국 국민들의 염원이라고 여긴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통신은 "남북관계의 발전은 한반도의 비핵화를 촉진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며 동북아시아의 지속적인 평화와 안정을 실현하는 데 매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남북관계는 북한의 핵 포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핵 포기 후에야 남북관계를 개선하겠다는 이명박 정부의 정책은 잘못됐다는 중국의 의중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이명박 대통령은 한국은 남북관계 발전에 관심이 많으며 그러한 태도는 변치 않을 것이고,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그러나 한중 정상회담 후 청와대 김은혜 대변인이 전한 이 대통령의 관련 발언은 <신화통신>의 보도와 거리가 있다.
김 대변인은 "원자바오 총리는 이달 초 방북 결과를 설명한 자리에서 김정일 위원장이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전해달라고 했다고 밝혔다"며, 이에 이 대통령은 "북한이 진정으로 핵을 포기한다면 우리는 얼마든지 열린 자세로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고만 밝혔다.
'그랜드 바겐'은 보도에서 아예 제외시켜
한중 정상회담의 가장 중요한 이슈인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 관영 언론들의 태도 또한 당국의 속내를 드러냈다는 평가다.
원 총리는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제안한 '그랜드 바겐'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로 협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한국 정부 관계가자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날 중국의 주요 언론들은 이처럼 지극히 원론적인 원 총리의 발언조차 보도하지 않은 데 더해 '그랜드 바겐' 자체에 대해 아무런 기사를 쓰지 않았다. 이는 중국이 그랜드 바겐에 동의하지 않으며 다른 해법을 지지한다는 무언의 의사 표시라는 해석이다.
이에 대해서는 <로이터> 통신의 베이징발 기사는 전후 사정을 파악하게 해준다.
통신은 "한국의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은혜 대변인은 원 총리가 '그랜드 바겐에 적극 협력할 의사가 있다고 표현했다'고 말했다"면서 "그러나 중국은 그 아이디어(그랜드 바겐)에 공개적으로 지지하지(endorse)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처럼 '그랜드 바겐'을 둘러싼 뒷말이 무성하자 청와대 박선규 대변인도 12일 정례브리핑에서 "접근방법이 약간 다르긴 했다"고 한 발 물러섰다.
이는 이 대통령의 그랜드 바겐 구상이 중국과 일본 등 관련국의 광범위한 동의를 얻고 있다고 선전해 온 지금까지의 기류와는 적지 않은 온도차가 감지되는 대목이다.
그러면서도 박 대변인은 "그러나 북한의 핵문제가 풀려야 한다는 원칙에 이의가 없었고,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는) 정치·경제 등 각 분야에서 각국의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긴밀하게 구축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 과정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외교적 리더십이 상당히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