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한겨레21> "정부, '다음'에 <프레시안> 빼라 압박"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한겨레21> "정부, '다음'에 <프레시안> 빼라 압박"

"청와대 비서관 수시로 전화"…다음 "정부 압력 없었다"

<한겨레21> 최근호는 "다음(Daum)의 다음은 어디에"라는 특집 기사에서 포털사이트 다음 측이 <프레시안>을 뉴스 서비스 '미디어다음'에서 제외한 데에는 이명박 정부의 정치적 압력이 작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다음 측은 지난 6월 30일을 마지막으로 <프레시안>에 뉴스 공급 중단을 요청했었다.

<한겨레21>은 다음의 내부 관계자들의 발언을 통해 이같이 보도했다. 이 잡지는 "다음의 한 고위 임원은 '정부, 여당 쪽에서 보수와 진보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으니, 미디어다음에 <뉴데일리>를 넣어달라는 요청을 받은 적은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 다음의 다른 관계자도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미디어다음의 정치적 균형을 맞춰달라는 압력성 요청이 들어왔다"며 "결국 인터넷 매체에서는 진보적 매체로는 <오마이뉴스>, 보수적 매체로는 <데일리안>만 남기고 <프레시안>과 <뷰스앤뉴스>를 빼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겨레21>은 "'정치적 균형을 맞춰달라'는 요구는 저간의 상황을 무시한 논리가 아닐수 없다. 미디어다음에 진보적 언론이 많이 남게 된 이유는 '조·중·동'이 콘텐츠 공급을 거부했기 때문"이라며 "트래픽을 이유로 <데일리안>을 남겨두고 <프레시안>을 제외한 것은 현실에도 잘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촛불 정국 이후 음으로 양으로 압력 쏟아져"

특히 지난해 촛불 정국 이후 다음에 대한 이명박 정부의 압력이 더욱 높아졌다는 전언이다. <한겨레21>은 "다음 임직원들은 지난해 쇠고기 정국 이후 음으로 양으로 외부적 압력이 쏟아지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고 전했다. 다음의 한 고위 관계자는 "김철균 청와대 국민소통비서관이 미디어다음을 맡고 있는 최아무개 본부장에게 수시로 전화한다"며 "청와대의 전화가 활발한 소통일 수도 있겠지만 압력으로 느낄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최 본부장은 <한겨레21>과의 인터뷰에서 "한 직장에서 함께 일한 사이끼리 편하게 통화할 수 있는 것 아니냐. 압력성으로 느낀 전화는 없었다"고 반박했고 김철균 비서관도 "친분있는 사이에 전화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 아니냐. 대화 내용은 극히 사적인 내용들"이라고 부정했다. 김철균 비서관은 2006년부터 2년간 다음의 부사장으로 일했다.

그러나 "최 본부장도 말할 수 없는 사정으로 속을 끓이고 있다"는 전언이다. 다음의 다른 관계자는 '지난해 중순부터 검찰과 경찰에서 최아무개 미디어본부장에게 수시로 전화를 걸어 특정 게시물에 대한 항의와 차단 요청을 한 것으로 안다'며 '새벽 1~2시에 전화를 받은 적도 많았다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아고라, 카페 등에 대한 정부 압력도 높아져"

또 촛불 이후 뉴스뿐 아니라 아고라나 카페 등의 일반 게시물에 대한 정부의 압력도 높아졌다는 지적이다. 다음의 한 전직 임원은 "경찰청 사이버 수사대를 비롯해 경찰 차원에서 다음 아고라를 감시하는 요원만 70명이 넘는 때가 있었다고 알고 있다"며 "이들이 24시간 아고라에 올라오는 게시물을 검열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또 다음의 한 관계자는 "미디어본부에서 여당의 실세 국회의원실로부터 '경찰에서 연락을 받았는데 이런저런 문제가 있으니 해당 게시물을 즉각 차단해달라'는 전화를 받은 적이 있다"며 "경찰에서 이런 역할도 하는 구나 싶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다음도 비판적 성격이 강한 서비스의 노출도를 줄이는 '고육지책'을 택했다. "지난해 쇠고기 정국의 중심에 있었던 아고라의 노출도를 줄이기 위해 메인 페이지 하단에 있던 메뉴를 접어넣고, 비판적 성격이 강하던 '블로그 뉴스'도 'view'로 이름을 바꾸고 인터페이스도 불편하게 바꿨다. 그 결과 아고라의 경우 페이지뷰가 15~20% 정도 줄어들었다"는 것.

또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추모글의 트래픽을 적게 잡히도록 유도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외협력팀의 한 직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당시 추모 글을 올리는 게시판에 글을 남기려면 로그인을 거친 뒤 제목을 달고 본문을 적게 했다"며 "추모 게시판의 트래픽도 여러 곳으로 분산해 실제보다 더 적게 잡히도록 설계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로그인 없이 곧바로 추모글을 적을 수 있게 한 경쟁 포털인 네이버의 추모 게시판 트래픽에 견줘 5분의 1 정도 밖에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대해 다음은 "정치적 압력은 없다"고 부인하고 있는 상황. 미디어다음을 맡고 있는 최모 본부장은 "이번 결정에는 정치적 이유가 있을 수 없다. 다음의 내부 기준에 맞춰 결정한 사안에 대해 정치적 해석이 나오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다음의 대외 협력 본부도 "청와대나 정부에서 민간기업에 대해 특정 언론사를 빼라고 압력을 넣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