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악성코드 발생을 이유로 일부 언론사의 뉴스를 노출하는 서비스인 뉴스캐스트 기사공급 차단을 결정한 지 하루 만에 악성코드 관리기준을 종전대로 완화키로 했다. 진보계열 매체를 중심으로 강력한 반발이 일어난 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13일 네이버 뉴스캐스트 서비스를 담당하는 윤영찬 이사는 네이버 다이어리를 통해 "악성코드 문제가 아무리 심각하다고 해도 문제 해결 후 재노출될 때까지의 시간이 너무 길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는 점, 해당 언론사 기사를 보려는 이용자들에게 필요 이상의 불편을 끼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총선을 앞두고 이 정책을 악용하는 해커들이 생길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며 "새로운 악성코드 관리 기준의 적용을 당분간 유예하고 앞으로의 악성코드 대책 방안을 언론사와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악성코드 발견 시 최소 35시간가량 노출을 제어하는 새 악성코드 관리기준을 도입한 첫 사례가 적용된 후 반발이 일자, 다시 악성코드 발생 시 일단 차단 후 문제가 해결되면 바로 노출하는 종전 기준으로 돌아간 것이다.
이와 관련, 지난 11일과 12일 사이 네이버는 <오마이뉴스>, <한겨레>, <경향신문>, <데일리안>, <중앙데일리>, <스포츠서울>, <코리아헤럴드>, <아이뉴스24> 등 8개 언론사가 뉴스캐스트로 보낸 기사에서 악성코드를 발견해 새 적용기준에 맞춰 이들 언론사 노출을 48시간 동안 제한했다.
그러나 이들 언론사에서 강한 반발이 일자, 네이버가 종전 기준을 재적용키로 한 발 물러선 것이다. 이들 언론사 기사는 13일자로 모두 재서비스되고 있다.
한편 이번 사태가 논란이 되자 정치권에서도 네이버의 뉴스캐스트 차단에 특정 목적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었다. 최영희 민주통합당 의원은 "총선이라는 민감한 시기에 왜 굳이 사흘이나 (뉴스서비스 노출을) 차단시켜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진보언론 차단 해제를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