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번역문**
공자가 말하기를, “문화적 수준이 낮은 주변 이민족이라 하더라도 법률을 구비하고 치안을 잘 유지하면 문화 수준이 높은 중국에 치안이 엉망인 상황과는 다른 모습일 것이다.”
***논어 원문**
子曰, “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也.” (論語, 八佾)
***한글 독음**
자왈, “이적지유군, 불여제하지무야.” (논어, 팔일)
***원문 자구 주석**
夷狄之有君 : 전체가 문장에서 주어 역할. 이적(夷狄)은 주변 이민족. 주변 이민족이 법률을 구비하고 치안을 잘 유지함.
不如諸夏之亡也 : 여(如)는 같다, 동사. 그 앞에 부정부사 불(不)이 있으므로 불여(不如)는 같지 않다. 제(諸)는 여럿, 형용사. 하(夏)는 중국의 별칭. 제하(諸夏)는 여러 제후국. 옛날 책의 亡(망)은 無(무)의 뜻입니다. 따라서 '무'라고 읽음.
***해설**
이 구절에서 군(君)을 임금이라고 해석하면 맛이 갑니다. 군은 국가를 운영하는 법률(=공자가 강조한 예)과 치안이지요. 또한 이적(夷狄)을 오랑캐, 하(夏)를 중국이라고 규정하면 맛이 갑니다. 중국과 주변 이민족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문화적 수준이었습니다.
따라서 문화적 수준이 낮았던 주변 이민족, 문화적 수준이 높았던 중국, 이렇게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위 구절을 보면, 다음과 같은 해석할 수 있죠.
문화적 수준이 낮은 주변 이민족이라 하더라도 법률을 구비하고 치안을 잘 유지하면 문화적 수준이 높은 중국인데도 치안은 엉망인 상황과는 다른 모습일 것이다. 문화적 수준이 높다고 자부하는 중국이 상하질서가 무너져 온통 엉망진창인 현실에 대해 탄식하면서 주변 이민족만도 못할 것이라는 일종의 한탄이지요. 공자는 개탄하고 있는 것입니다. 공자가 살던 시대적 상황을 이 구절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