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MB퇴진운동 본격화" VS "쇠고기 문제에 집중"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MB퇴진운동 본격화" VS "쇠고기 문제에 집중"

2차 국민대토론회, '촛불'의 진로 놓고 격론

쇠고기 장관고시 게재가 임박한 가운데, 정부의 고시 강행에 맞선 시민의 두 번째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의 화두는 "이명박 정권 퇴진 운동"이었다.

이제 촛불은 정권 퇴진을 위해 타오른다

24일 밤 9시, 시청 앞 광장에서 두 번째 대토론회 '광우병 쇠고기 촛불운동, 어떻게 승리할 것인가'가 4시간 가량 진행됐다. 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은 간단한 행진을 마친 후 곧바로 광장에 모여 토론을 지켜봤다. 집회에 참여하지 않은 누리꾼도 인터넷을 통해 토론회를 지켜봤다.

많은 참가자들이 앞으로 집회의 성격이 사실상 '정권 퇴진 운동'에 맞춰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운수노조 정호희 정책실장은 "재협상을 이루지 못했다고 해서 우리가 실패한 것이 아니다. 정부가 고시 강행을 선언한 순간 가장 낮은 슬로건과 가장 높은 슬로건, 즉 고시철회와 명박 퇴진이 하나로 묶였다"며 "이미 정권 퇴진 문제와 재협상 문제는 따로 놓고 볼 시기가 지났다"고 말했다.

안티이명박카페 회원인 민석준 씨(다른생각)도 "지금은 작은 의제에 매달릴 때가 아니다. 앞으로를 위해서도 이명박 정권을 끌어내려야 한다"며 "일부에서 '정치적 투쟁으로 변질됐다'는 논란이 있지만 우리는 처음부터 정권 퇴진을 외쳤다"고 주장했다.

고려대 재학생 김지윤 씨는 "나치와 히틀러도 합법적인 선출방식을 거쳤지만 그 결과가 어땠나"며 "현실적으로 국민이 뽑은 정권을 끌어내릴 방법이 없다고 하지만 법에 매여서는 안 된다. 우리 헌법에 4.19 정신을 계승한다고 한데서 이미 국민 저항권을 내포하고 있다. 정권 퇴진이 헌법 정신에 맞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촛불 대토론회가 열렸다. 토론 참가자들은 촛불을 계속 켜야한다는 점에 동의했다. ⓒ뉴시스

퇴진 방법 놓고는 설전

하지만 구체적인 대안 마련 없이 정권 퇴진을 외쳐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문화방송 <100분 토론>에서 일명 '양선생님'으로 유명세를 탄 양석우 씨는 "대통령 탄핵이나 국민투표 모두 현실성이 없다. 대통령 퇴진을 바라는 여론이 절대적으로 높은 수준도 아니다"며 "일단은 국민 사이에 공감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아직은 (대통령 퇴진) 타이밍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이 퇴진한다고 우리나라가 잘 되나"며 "많은 사람이 퇴진 소리에 거부감을 느끼는 게 현실인데 그 거부감을 해소시키지 못한다면 힘이 분열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생태지평 박진섭 부소장도 "과연 촛불만 든다고 이 정권이 물러날 것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소비자들이 생활 속에서 쇠고기 불매운동을 이어갈 수 있게 대안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 일단은 쇠고기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학원생 임재성 씨는 "정부가 쇠고기 문제에 명운을 걸었으니 쇠고기 문제에 집중하는 것이 곧 정권 퇴진 운동으로 이어지는 것"이라며 "우리가 할 일은 정부의 고시 강행과 관보 게재, 그리고 쇠고기 유통을 막는 것이다"고 말했다.

생협연합회 이정주 회장은 "주부들이 '투쟁'이란 단어나 폭력 행위에는 아직 미숙하다"며 "많은 사람이 이번 투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번 투쟁이 소비자 주권 문제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프레시안>을 포함한 6개 매체가 이날 토론회를 생중계했다. 현장에 참석하지 않은 많은 누리꾼이 토론회를 지켜봤다. ⓒ뉴시스

현장에는 정권 퇴진의 목소리를 높이자는 강경파들이 더 많았다. 50일이 넘게 촛불을 들어서도 안 바뀌었는데 더 이상은 기다릴 수 없다는 것이다.

김지윤 씨는 "정권퇴진으로 나아가는 게 우리 목표가 돼야 한다"며 "어청수 청장 하나 사퇴시키지 못하면서 쇄신 운운하는 국민 기만 정권을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고 말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이창한 정책위원장은 "이 정권 텃밭인 경상도에 사는 농민 한 분은 밥 먹다 숟가락을 떨어뜨려도 대통령을 욕한다. 이미 국민 감정은 극에 달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다만 어떻게 정권 퇴진 운동을 이끌지는 고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민석준 씨는 "법 절차에 맞게 탄핵 등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국민들이 정부에 반기를 드는 것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했다.

현장토론에 참석한 역사를 전공한다는 대학원생은 "국민투표 등의 카드는 결국 정부에 회생의 기회를 주는 꼴이다. 코스타리카의 경우 자유무역협정(FTA)에 많은 국민이 반대했으나 6개월 뒤 국민투표에서 찬성표가 절반이 넘게 나왔다"며 "당장 우리나라에서도 6.10 항쟁 뒤 정치협상을 벌여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왔지만 끝까지 직선제를 고수해 승리했다. 지지율 7% 대통령에게 시간을 줘서는 안 된다"고 했다.

새로운 방식 놓고 다양한 의견 나와

당장 이번 주로 예상되는 장관 고시 게재를 앞두고 다양한 대안 의견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 촛불 집회에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자는 주장도 제기됐다.

임재성 씨는 당장 쇠고기 유통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을 줄기차게 폈다. 임 씨는 "고시가 강행되면 곧바로 반출이 중단됐던 쇠고기가 풀린다. 유통을 막아야 한다"며 "많은 시민이 그날 창고 앞으로 모여 스크럼을 짜고 유통을 막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내가 연행되더라도 쇠고기 유통은 안 된다'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호희 정책실장도 "누리꾼들이 이미 보관 창고 위치와 검역소 20군데 위치를 다 파악해뒀다"며 "봉쇄에 많은 시민이 참여해달라. 민주노총과 운수노조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박진섭 부소장은 야당을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야당이 좋든 싫든 활용해 우리 편을 조금이라도 더 늘려야 한다"며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등원하는 민주당이지만 우리 편으로 들어오도록 끌어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석준 씨는 "정부에서 여론조사를 시민 압박용 카드로 활용한다"며 "우리도 근거로 삼을 수 있는 여론조사를 자체적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양석우 씨는 "새로운 정당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가 남미처럼 대통령궁을 막고 대통령 퇴진을 유도할 수는 없다. 국민의 뜻을 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정당을 만들자"고 했다.

다음 아고라에서 활동하는 나명수 씨(강사)는 정부 언론장악 시도를 막는 게 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쇠고기 집중 의도도 정권의 언론장악 환경 하에서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며 "두 가지를 함께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한 누리꾼은 "보다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거리 시위를 낮에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누리꾼은 "서울에서 같은 방식으로만 집회를 열 것이 아니라 대구 등 지역으로 많은 사람이 내려가 장미꽃 퍼레이드를 열자"고 제안했다.

아고라 누리꾼 소금사탕은 "이번 28일에 이번 싸움을 끝내야 한다. 최소 1만 명, 많게는 10만 명 이상이 한꺼번에 경찰 바리케이트를 넘어 청와대로 향하자"고 인해전술을 펼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어쨌든 촛불은 끄지 말자

다양한 의견이 나왔지만 절대 촛불을 꺼서는 안 된다는 데는 참석자 모두가 동의했다. 지금까지 정부가 협상을 미루고 고시를 미룬 이유도 촛불의 위력이라는 것이다.

이창한 정책위원장은 "농민들은 지역민들과 촛불을 같이 이어갈 방법을 고민할 것"이라며 "지역 시내에 사는 시민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김지윤 씨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0일 청와대 뒷산에서 아침이슬을 들으며 우리를 봤다고 하는데 얼마나 두려웠겠나"며 "많은 사람이 촛불을 들고 거리로 모이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나명수 씨는 "마음 속에 촛불을 들고 시민들이 조용히 경복궁에서 청와대로 이동하자"며 "상징적이지만 대통령에 창피 주는 방법을 찾아보자"고 말했다.

민석준 씨는 "민주노총 조합원 여러분이 그 동안 생명줄을 걸고 싸워온 투쟁에 함께하지 못해 죄송하다. 농민 여러분들이 터전을 빼앗겨 갈 때 도와드리지 못했던 것도 사죄드린다"며 "하나의 목적을 위해 우리 모두 연대하자"고 제안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