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통합 신당 '당원중심 vs 시민참여' 논쟁, 왜?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통합 신당 '당원중심 vs 시민참여' 논쟁, 왜?

민주당 내 계파 갈등 재현되나…새정치연합 측 입장은?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통합 신당 창당을 추진 중인 가운데, 정당 구조 모델을 놓고 민주당 내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의견이 분출되고 있다. 일단은 정당의 지향점을 놓고 벌이는 정견 싸움의 양상이지만, 민주당 내의 계파 갈등이 재현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온다. 새정치연합 측의 미묘한 처지도 눈길을 끈다. 

"문재인·안철수 대선공약이었던 온-오프 결합정당 구현"

민주당 정청래·최민희 의원은 13일 오전 통합 신당의 시민참여 방안을 논의하는 토론회를 '통합신당, 온-오프라인 결합  시민참여형 정당으로 승부하자'라는 주제로 열었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난 2012년 대선을 앞두고 이뤄진 '민주통합당' 창당의 한 축이었던 문성근 전 민주당 대표 대행이 발제를 맡았다. 

문 전 대행은 토론회에서 "통합 신당의 수임기구는 '온·오프 네트워크 정당' 건설을 천명하고 당헌당규에 이를 상세히 반영해야 한다"면서 일반 시민들의 경우 입당을 하지 않아도 당의 의사결정에 차등화된 의결권을 통해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전 대행은 "시민참여형 정당은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안철수 후보가 내걸었던 약속"이라며 새정치연합 측을 압박하기도 했다. 

문 전 대행은 지난 2011년 야권 정치단체 '혁신과 통합'의 공동대표를 맡았으며, 이 단체는 시민통합당을 거쳐 민주통합당에 합류했다. 그는 이날 토론회에는 '국민의 명령' 상임위원 자격으로 참석했다. 

시민의 온라인 참여 강화는 문 전 대행의 지론이지만, 민주당 내의 계파 구도에서 보면 이른바 '친노'로 지칭되는 그룹의 이해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당장 2012년 민주당 전당대회와 대선후보 경선에서는 '친노' 측으로 분류된 이해찬 전 당대표, 문재인 전 대선후보가 모바일 투표에서 거의 몰표를 가져가다시피 했다. 

"모바일투표 배제하고 당원 중심 대중정당으로 가야"

그러나 민주당 내에는 다른 흐름도 있다. 새정치연합과의 통합을 주도한 김한길 대표가 대표적이다. '대의원도 1표, 일반 시민도 1표', '현장 표도 1표, 모바일투표도 1표'라는 2012년 대선후보 경선 룰은 2013년 김한길 대표 체제가 들어서며 '당원 중심' 방향으로 선회했다. 현재의 민주당은 공직후보자를 선출할 때 국민참여경선 선거인단에 당원 비중을 50% 이상으로 하도록 정하고 있다. 

전날 민주당 내 '국민정당추진네트워크'(네트워크)가 연 정당모델 토론회에서도 당원 중심 정당론이 제기됐다. 네트워크는 문병호 의원이 상임대표를, 대선 당시 김두관 후보 캠프에 있었던 정진우 전 민주당 부대변인이 사무처장을  맡고 있다. 

정 사무처장은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문 전 대행이 주장하는 완전 오픈 프라이머리는 안 된다"면서 "당원의 권리를 상당 부분 인정하고 개방해야지, 칸막이 자체를 없애고 (당) 안에 있는 사람과 밖에 있는 사람의 권리를 동일하게 하면 (당) 해체 아니냐"고 했다. 그는 다만 "이번 6.4 선거에서는 새정치연합과의 합당 과정에 있으니 그렇게 할 수 없어 공론조사나 배심원제도 얘기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12일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최광웅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은 "당원 중심의 대중정당"을 주장하면서 모바일투표, 여론조사 등 '투명성 저해' 우려가 있는 투표 제도는 배제해야 한다고 했다. 

정당의 본질과 역할에 중심을 둔 정치학적인 토론처럼 여겨지기도 하지만, 참여하고 있는 인물들을 보면 민주당 내의 오랜 '친노 대 비노' 계파 갈등 구도가 재현될 소지도 없지 않은 셈이다. 13일 오전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서는 통합 신당의 당헌당규 등을 놓고 의원들 간에 이견이 분출되거나 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지만, 갈등의 요소는 여전히 잠재돼 있는 형국이다. 

안철수 측 입장은?

눈길은 새정치연합, 이른바 '안철수 신당' 측의 입장에 쏠린다. 새정치연합은 통합 신당 내의 계파 역학 구조에서는 김 대표로 상징되는 '비노' 세력과 한 배를 탄 모양새지만, 정당구조 모델에서는 김 대표의 지론인 '당원 중심' 모델을 따르기 어려운 처지라는 평이 많다. 

기존 민주당 인사들과 공직후보자나 당직자 선출을 놓고 경쟁할 경우, 이들의 당내 조직 기반을 꺾기 어렵기 때문이다. 당장 6.4 지방선거 후보자 경선에서도 당원투표보다 일반 유권자 여론조사 비중을 확대하는 것이 새정치연합 측 후보들의 이해에 부합한다. 

또 지난 1월 26일 부산 신당설명회에서 윤여준 당시 새정치추진위원회 의장은 "고비용 저효율 구조인 기존 정당과 달리 저비용 고효율 구조로 조직을 만들 생각"이라며 '수평·개방형 정당'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윤 의장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온라인 활용을 강조하면서 "온라인 쪽에 비중을 두는 방식으로 운영할까 생각 중"이라고 하기도 했다. 

통합 신당 추진단 산하 당헌당규위원회에 새정치연합 측 대표를 맡은 이계안 공동위원장은 그러나 "(윤 의장의 당시 발언은) 우리 신당의 경우에 그랬다는 것이고, 이번에는 제3지대에 또다른 당을 만드는 것이니 새롭게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민주당과 같이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미리 말할 수 없다"고 했다. 

이 위원장은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제3지대 신당 창당에 근거가 되는 것은 3월 2일과 7일에 나온 문건 2가지밖에 없다"며 "그것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풀어나갈 것이며, 당의 모습을 어떻게 만들지, 당원 중심이냐 당원 뿐 아니라 참여하는 시민들과 다같이 할 것이냐 등은 (민주당과의 협상) 테이블에 가져갈 것으로 (내부에서) 논의된 게 있는 게 아니다. 얘기할 수 없다"고 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